초록
목적: RGP 렌즈의 디자인 개발 및 처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대의 각막 형상을 형태별, 난시도별, 각막 정점으로부터의 거리별로 분석하였다. 방법: 각막 지형도 검사(corneal topography)를 이용하여 20대 총 252안의 각막형태를 분류하고 각막 정점으로부터 일정 간격 내의 각막곡률반경을 측정한 후 난시도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20대의 각막형태는 원형 14.3%(36안), 타원형 31.3%(79안), 대칭 나비형 28.6%(72안), 비대칭 나비형 17.5%(44안), 부정형 8.3%(21안)로 분류되었다. 원형 및 타원형 각막은 각막난시도가 낮은 경우가 많은 반면 대칭 나비형 및 비대칭 나비형 각막은 높은 경우가 많았다. 각막 정점에서 일정 간격으로 각막곡률반경을 측정하였을 때 원형 및 타원형 각막에서는 각 구간별로 상대적인 각막곡률반경이 난시도와 상관없이 모두 일관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대칭 나비형 및 비대칭 나비형 각막에서는 각막 정점으로부터 반경 1.0-1.5 mm 범위의 상대 각막 곡률반경이 감소하여 반경 1.0 mm 이내보다 오히려 급경사를 이루었으며 이러한 양상은 난시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난시도 1.50-2.00 D 및 2.25-2.75 D의 나비형 각막에서는 반경 3.5 mm부터 각막 곡률의 변화가 더 심하게 나타났다. 결론: 각막 형상 및 난시 정도에 따라 각막 중심부에서 주변부로의 각막곡률반경의 변화 정도가 달라짐을 보이므로 RGP 렌즈의 제조 및 처방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Purpose: In order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he design development of RGP lenses and its clinical prescription, the corneal types of Korean twen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corneal shapes, astigmatic degree, and the certain distance from the corneal apex. Methods: Corneal types of total 252 eyes in 20s were firstly classified, then their corneal radii from the certain distance from the corneal apex were measured by corneal topography and further analyzed based on the astigmatic degree. Results: Korean 20s' corneal types were classified as 14.3%(36 eyes) of round, 31.3%(79 eyes) of oval, 28.6%(72 eyes) of symmetric bow tie, 17.5%(44 eyes) of asymmetric bow tie, 8.3%(21 eyes) of irregular shapes. The round and oval typed corneas had mild astigmatic degree whereas the higher astigmatic degree in symmetric and asymmetric bow tie typed corneas were shown. The relative corneal radii of round and oval typed corneas at each distance from corneal apex were shown to consistently increase regardless of astigmatic degrees when they measured at certain distances from the corneal apex. However, the relative corneal radii of symmetric and asymmetric bow tie typed corneas within 1.0-1.5mm from the corneal apex were decreased, which showed steeper slope than it within 1.0 mm and somewhat different based on astigmatic degrees. Bigger change of corneal radii outer 3.5 mm from the corneal apex in symmetric bow tie typed corneas with astigmatism of 1.50-2.00 D and 2.25-2.75 D appeared. Conclusions: The consideration of radial change from the central cornea to peripheral cornea is necessary for manufacturing RGP lens and its prescription since they showed different change in corneal radii by corneal patterns and astigmatic degre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