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 소상공인의 조직화 인식도 상호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와 정책적 시사점 : 군집분석을 이용한 접근

An Empirical Study and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Correlations of Korean Small Businessman's Perception of Systematization Using Cluster Analysis

  • 투고 : 2011.02.12
  • 심사 : 2011.03.10
  • 발행 : 2011.03.31

초록

본 연구는 소상공인 조직화를 프랜차이즈, 공동브랜드, 업종별 협회, 시 군 구에 등록된 상인회로 구분하고, 조직화된 소상공인들의 경영전략 선정에 있어서 어떠한 가치관을 가지는 지에 대하여 군집분석에 의한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조직화된 소상공인들은 인구통계적인 특성에서 성별, 학력, 연령별로 유의한 조직화 인지와 조직화 효과 그리고 최종적인 경영성과에 차이가 있음을 밝혀냈다. 또한 조직화된 소상공인들의 경영전략 가치관에 대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격 경쟁지향과 마케팅 경쟁지향, 무개념 경영등 3가지 유형의 프로파일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소상공인의 조직화에 대한 프로파일 도출과 조직화 인식도에 따른 경영성과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향후 정부에서는 자영업의 시설개선과 현대화 사업 못지않게 소상공인 조직화 개발과 지도와 같은 경영현대화 사업에 더욱 많은 노력을 경주하여야 하는 필요성을 밝혀 주었다.

In this study, association of small business is divided into four groups: Franchise, Joint Brand, Industry Association and Registered Retailer. Cluster analysis is taken to find what kind of strategic considerations associated small businesses choose when they set up new strategie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assoc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and final performance of management by gender, academic background, and age. The data also find three clusters: price competitive, marketing competitive and neither group. Implications of this study is that government should focus more on not only improving infrastructures of self-businesses but also associating small businesses, modernizing managerial systems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노승혁, 윤성욱, 서근하, "재래시장 상인의 불황극복과 경영혁신을 위한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28권, 4호, pp.19-44, 2006.
  2. 매일경제, "내수 살리는 길은 비욘드 코리아" 2009.1.27.
  3. 신용수, 남병탁, "기업의 전략및 조직구조와 고용조정의 관련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경제연구, 22권 2호, pp.83-105, 2004.
  4. 서근하, "한국의 영세 자영업자의 사회적 생존과 경영혁신을 위한 소상공인 정책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 소상공인 성장동력", 중소기업연구, 29권 4호, pp.265 -293, 2007.
  5. 송장준, "중소유통 조직화.협업화 촉진방안 연구", 중소기업중앙회.중소기업연구원, 2006
  6. 윤성욱, 신진교, 서근하, "한국 자영업의 경영혁신을 위한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구조적 특성이 경영몰입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소비문화연구, 11권 2호, pp.67-89, 2008.
  7. 윤성욱, 한지희, "고객 가치에 근거한 명품소비자의 시장 세분화에 관한 탐험적연구", 소비자학연구, 19 권 4호, pp.135-159, 2008.
  8. 전인우, "소상공인의 조직화,협업화 모델제시와 정책 방향", 중소기업연구원 연구보고서, 2007.
  9. 중소기업청, "재래시장 활성화 업무계획", pp.1-13, 2009.
  10.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 pp.1-400, 2007.
  11. BarNir, Anat, John M. Gallaugher, and Pat Auger ,2003, "Business Process Digitization, Strategy, and the Impact of Firm Age and Size: The Case of the Magazine Publishing Industry,"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8, pp.789-813. https://doi.org/10.1016/S0883-9026(03)00030-2
  12. Burns, T., G. M. Stalker, 1966, The Management of Innovation. Tavistok, London.
  13. Caruana, A., M. H. Morris and A. J. Vella, 1998, "The Effect of Centralization and Formalization on Entrepreneurship in Export Firms,"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36, pp.16-29.
  14. Dalton, D. R., W. D. Toder, M. J. Spendolini, G. J. Fielding, and L. W. Porter, 1980,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Performance : A Critical Review,"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5, No.1, pp.4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