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지적 교수전략을 바탕으로 한 수업 성찰과 멘토링 효과

The Effect of Reflection and Mentoring Based on Gender - Sensitive Teaching Strategies

  • 홍경선 (군산대학교 교양교직과) ;
  • 김동익 (군산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 구수연 (군산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안진경 (군산대학교 교양교직과)
  • 투고 : 2010.10.18
  • 심사 : 2011.02.14
  • 발행 : 2011.03.31

초록

본 연구는 성인지 교수전략을 활용하여 공대 교수의 수업을 분석하고, 수업 개선을 위한 멘토링을 실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대 여학생에게 적절한 수업을 탐구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한 명의 공대 교수의 수업을 한 학기 동안 비디오로 촬영하여 이를 4회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수업 분석과 성찰일지 작성, 수업개선을 위한 멘토링을 통하여 수업의 변화를 보였다. A 교수의 수업은 대략적인 계획에서 구체적인 계획으로, 자신의 수업에 대한 만족에서 수업에 대한 의문과 변화 시도로, 부정적인 지적에서 긍정적인 지도로, 교수 자신의 기준 강조에서 학생들의 다양성 인정으로, 부정적인 지적에서 긍정적인 지적으로, 현재 상태의 부정적 진단을 통한 엔지니어 의식고취에서 현재 부족한 부분을 메울 수 있는 구체적인 정보 제공으로 변화하였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 effective instruction for female students in an engineering classroom through gender -sensitive teaching strategies by analysing recorded classroom instruction, reflective journals of professor, and mentoring instructions of A professor teaching "non-steel materials and design" in an engineering classroom. This study which used a qualitative approach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howed changes of A professor in his way of teaching. The changes are: making rough lesson plan ${\rightarrow}$ making detailed lesson plan being satisfied with his teaching skills ${\rightarrow}$ trying to improve his teaching skills, using negative feedback ${\rightarrow}$ using positive feedback, pointing weaknesses as pre-engineers ${\rightarrow}$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needed to be engineers. This paper deals with the theory comparison between a conventional engineering education and new engineering education, in which conventional models may fail to give satisfactory results. Finally, we provide real application example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and generality of the proposed method in this paper.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삼근(2008). 여성주의 교육학.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 군산대학교 CaMP-WE 사업단(2007). 성인지 교수법 가이드북.
  3. 민무숙.이정희(2005). 공학분야 전공 여성들의 교육과 직업경험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5(2): 65-93.
  4. 윤명옥(1999). 초.중.고등학교 교사들의 양성평등의식 차이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이은실(2001). Best Teacher의 수업특성: 포항공대 졸업생의 추천기준 분석. 고등교육연구. 12(1): 91-118.
  6. 정해숙.양애경.김홍숙(1995). 교사의 양성평등의식 조사 및 제고 방안 마련을 위한 정책연구. 교육인적자원부.
  7. 조벽(2004). 조벽 교수의 명강의 노하우, 노와이. 서울: 해냄출판사.
  8. 최진섭(1996). 수업에 대한 교사의 반성적 사고가 수업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허창수(2006). 성인지 관점의 양성평등 교육과정 운영과 교사양성제도에 대한 제언. 교육과정연구. 24(4): 55-81.
  10. Fox, M. F.(1989). Women and higher education: Gender differences in the status of students and scholars. In Women: A feminist perspective, 4th ed., edited by Jo Freeman. CA: Mayfield.
  11. Hacker, S. L.(1989). Pleasure, power, and technology: Some tales of gender, engineering, and the cooperative workplace. London: Unwiin Hyman.
  12. Ingram, S. and Parker, A.(2002). Gender and modes of collaboration in an engineering classroom: A profile of two women in student teams. Journal of business and technical communication. 16(1): 33-68. https://doi.org/10.1177/1050651902016001002
  13. Jay, J. K.(2001). Matters of reflection in quality teaching: A study of teacher's reflection in the context of their professional live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ashington.
  14. Jones, M. G. and Wheatley, J.(2006). Gender differences in teacher-student interactions in science classroom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9): 861-874.
  15. Loughran, J. J.(2002). Effective reflective practice: In search of meaning in learning about teaching.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3(1): 33-43. https://doi.org/10.1177/0022487102053001004
  16. Myers, D. J. and Dugan K. B.(1996). Sexism in graduate school classrooms: Consequences for students and faculty. Gender and Society, 10(3): 330-350. https://doi.org/10.1177/089124396010003008
  17. Saymour, E. and Hewitt, N. M.(1994). Talking about leaving. Why undergraduates leave the science. CO: West View Press.
  18. Spiro, R. J., Coulson, R. L., Feltovich, P. H., & Anderson, D. K.(1988). Cognitive flexibility theory: Advanced knowledge acquisition in ill-structured domains. Paper presented at the tenth annual conference of The cognitive science society. NJ: Erlba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