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pplying of Teaching-Learning Model Using UCC in Gifted Students' Project Learning and Effect-analysis by Gender

영재학생의 프로젝트학습에서 UCC 활용 교수.학습 모형의 적용과 성별에 따른 효과 분석

  • Received : 2011.01.24
  • Accepted : 2011.03.28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pply a teaching-learning model using science oriented UCC created by students themselves(4C model) in a gifted students' project learning and investigate its effects in science-related affective property by gender in order to use UCC systematically in a gifted students' project learning course. After conducting of gifted students' using UCC project learning, We surveyed gifted students' recognition about it. Nonparametric test has done with the results of before and after science-related affective property tests of them. As results, gifted students took an active part in 'using UCC project learning'. Girls are more active and interested than boys whereas more boys felt a difficulty in creating UCC than girls. Girls' creativity was improved and anxiety about science was decreased whereas the results of boy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using UCC project learning' is more effective than tha of boys to girls.

이 연구에서는 현재 학생들의 인지양식에 부합되는 UCC 활용 교수 학습 모형(4C 모형)을 영재학생들에게 적용하였을 때 과학 관련 정의적 특성의 효과 면에서 어떤 성별 특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재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UCC 활용 프로젝트학습을 실시한 후 그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과학 관련 정의적 특성에서의 사전 사후 검사 결과를 비모수 검정을 통해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영재학급 학생들은 UCC 활용 프로젝트 학습에 매우 적극적으로 임하였으며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흥미와 참여도가 더 높았고, UCC 제작에 관한 어려움은 남학생이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학생들의 경우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지만 여학생들의 창의성이 향상되었고, 과학 불안이 감소되었다. 따라서 UCC 활용 프로젝트학습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에게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 (2007). 과학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 2007-79호 [별책 9]. 서울: 대한 교과서(주).
  2. 국가인적자원위원회 (2007). 제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08-'12)(안).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3. 김미숙, 조석희, 진석언 (2005). 학년과 성별에 따른 영재와 평재의 수학/과학 창의성과 리더십 차이 및 두 능력의 관계 분석. 교육심리연구, 19(3), 799-820.
  4. 김민아, 이길재 (2008). 과학 영재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 향상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유전영역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6(4), 577-586.
  5. 김연화, 최경희, 이향연 (2009). 중학교 과학 프로젝트 수업이 학생들의 문제해결력과 태도 및 흥미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3), 155-180.
  6. 김장현 (2009). UCC의 교육적 활용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교.
  7. 김효남, 정진우, 정완호 (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8. 박병태 (2010). 초등 과학 최상위권 학생의 과학 탐구 능력 문제 해결 과정에서의 성별 특성. 영재교육연구, 20(2), 527-546.
  9. 방송통신위원회 (2008). 2008인터넷 미디어교실 사업계획. 서울: 방송통신위원회.
  10. 손정우, 조선옥 (2008). 학습 흥미 진작을 위한 과학 관련 TV 프로그램의 특성과 학습자생산 미디어 학습자료(UCC)에 관한 중학생들의 인식조사. 교과교육학연구, 12(2), 537-553.
  11. 손정우, 조선옥 (2010). 학습자 생산 미디어(UCC) 활용교육을 위한 과학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그 효과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13(2), 123-144.
  12. 송승연 (2009). UCC(User Created Contents)를 활용한 중학교 생물과 교수․학습 방안.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13. 심규철, 김현섭 (2005). 과학영재의 학습양식에 대한 재능 영역 및 성별에 따른 비교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4), 403-412.
  14. 이국행, 정덕호, 이건형, 유수창, 이영환 (2009). 과학영재아의 성별과 학년에 따른 학습전략의 차이. 영재와 영재교육, 8(2), 197-220.
  15. 이효녕, 조현준 (2008). 과학영재 교육에서 자율탐구활동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 32(2), 33-50.
  16. 이종기, 박경화 (2006). 고등학교 과학 영재 학생의 탐구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젝트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 31, 83-96.
  17. 임길선, R. E. Yager. (2007). 과학영재성의 지속적 계발을 위한 교수 .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방향. 한국일본교육학연구, 11(2), 1-20.
  18. 하주현, 김명숙 (2010). 우수과학영재를 위한 창의적 문제발견/문제해결 모델개발. 영재와 영재교육, 9(1), 141-172
  19. Feldhusen, J. F. (1993). Gender differences in classroom interactions and career aspirations of gifted student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18(3), 355-362. https://doi.org/10.1006/ceps.1993.1025
  20. Kalsbeek. D. H. (1989). Linking learning style theory with retention research: The TRAILS project. Association for Institutional Research, 32, 1-7.
  21. Preckel, F., Goetz, T., Pekrun, R., & Kleine, M. (2008). Gender differences in gifted and average-ability students: Comparing girls' and boys' achievement, self-concept, interest, and motivation in mathematics. The Gifted child quarterly, 52(2), 146-159. https://doi.org/10.1177/0016986208315834
  22. Prensky, M. (2000). Digital game-based learning. New York: Mcgraw-Hill.
  23. Schmidt, S. D. (1983) Understanding the culture of adults returning to higher education: Barriers to learning and preferred learning style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242248)
  24. Semple. E. E (1982). Learning style. A review of literature.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222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