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서해 군산 연안의 2001년부터 2010년까지의 용존성무기영양염류의 변동

The Variation of the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in the Costal Area of Gunsan, Yellow Sea from 2001 to 2010

  • Heo, Seung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Kweon, Jung-Ro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Park, Jong-Soo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투고 : 2011.10.25
  • 심사 : 2011.12.26
  • 발행 : 2011.12.31

초록

본 연구는 국립수산과학원의 국가해양환경측정망 자료를 이용하여 2001년부터 2010년까지 년 4회 군산연안의 10개 정점에서의 용존성무기영양염류의 조사시기별 및 정점별 변동을 분석하였다. 용존성무기질소(DIN)의 연도별 평균값은 표층과 저층 모두 비슷한 농도 분포를 보였는데, 10년간 표층 평균은 0.421mg/L(0.198~0.846mg/L)였고, 저층 평균은 0.344mg/L(0.148~0.717mg/L)였다. 연도별 평균값은 표층에서 2002년 0.846mg/L로 가장 높았고 그 이후 차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2010년 0.198mg/L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저층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군산연안의 10개 정점에서의 DIN의 10년간 평균의 암모니아질소, 아질산질소 및 질산질소의 비율은 각각 27%, 3% 및 70%정도로서 대부분 질산질소였으며, 표 저층간의 차이도 거의 없었다. 용존성무기인(DIP)의 연 평균값은 2002년 저층에서 0.085mg/L로 높은 값을 보인 것을 제외하고는 표 저층간의 농도 차이는 거의 없었으며, 표층에서 10년 평균이 0.024mg/L 였으나, 2008년 0.021mg/L, 2009년 0.007mg/L, 2010년 0.008mg/L로 농도가 급격히 낮아졌다. 2002년부터 2010년까지 DIN/DIP 농도비를 비교한 결과 표층에서 평균 6.0(3.2~10.1), 저층에서 평균 4.6(2.6~7.0)으로서 2002년을 제외하고는 연도별 및 표 저층 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2004년부터 조사된 용존성무기규소는 7년 평균이 표층에서 0.372mg/L, 저층에서 0.352mg/L로 표 저층간에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표층에서 2005년 평균 0.552mg/L, 2006년 평균 0.575mg/L의 값을 보인 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009년에는 0.130mg/L로 최소값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염분과 용존성무기영양염류와의 10년간 상관관계는 표층에서 용존성무기질소는 -0.72, 용존성무기인은 -0.46, 용존성무기규소는 -0.63 이었으며, 저층은 용존성무기질소는 -0.70, 용존성무기인은 -0.44, 용존성무기규소는 -0.57로서, 군산 연안의 용존성무기영양염류은 금강으로 부터의 담수유입에 의한 영향이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금강을 통해 용존성무기질소가 많이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존성무기영양염류는 군산시에 가까운 정점 1, 2, 3에서 높은 값을 보였는데, 이는 금강과 군산시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조사 시기에 따른 농도 변화는 크지 않았으나, 연도별 평균값을 보면 2001년부터 용존성무기영양염류의 농도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그 원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variation of the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were investigated four times per year in the costal area of Gunsan, Yellow Sea from 2001 to 2010.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10 stations and phsico-chemical parameters were analyzed including water temperature, salinity, suspended solids, dissolved oxygen, chemical oxygen demand, chlorophyll a and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The average of dissolved inorganic nitrogen(DIN) for ten years at Gunsan area showed similar concentration between surface and bottom. The average of DIN at surface was 0.421mg/L (0.198~0.846mg/L) and bottom was 0.344mg/L(0.148~0.717mg/L). The highest value of annual average of DIN at surface was 0.846mg/L in 2002 and the lowest value was 0.198mg/L in 2010. The percentage of ammonia, nitrite and nitrate for the average DIN of 10 years showed 27%, 3% and 70% which showed most of DIN was nitrate. Dissolved inorganic phosphate(DIP) for ten years at Gunsan area showed similar concentration between surface and bottom and DIP was decreasing from 2003 to 2010. The average of DIP of 10 years was 0.024mg/L and annual average 0.021mg/L in 2008, 0.007mg/L in 2009 and 0.008mg/L in 2010 which showed decreasing pattern from 2007 to 2010. The average of DIN/DIP ratio from 2002 to 2010 was 6.0(3.2~10.1) at surface and 4.6(2.6~7.0) at bottom. The average value of dissolved inorganic silicate from 2004 to 2010 showed 0.372mg/L at surface layer and 0.352mg/L at bottom layer and was on decreased from 2006 to 2010. The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knowrelation among the salinity and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at the surface and bottom layer. The correlation factor of DIN was -0.72, DIP was -0.46 and dissolved inorganic silicate was -0.63 at surface layer and DIN was -0.70, DIP was -0.44 and dissolved inorganic silicate was -0.57 at bottom layer. The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at the nearshore of Gunsan was affected from the freshwater discharge of Geum river. Especially, a lot of DIN flowed into the nearshore of Gunsan from Guem river. The concentration of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at Gunsan showed high at station 1, 2 and 3 and there was a little concentration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ruise time. The concentration of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showed high value at the station 1, 2, 3 which exist nearshore of Gunsan city and it means these stations mainly affected by Geum river and Gunsan city. The annual average of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showed gradually decreased from 2003 to 2010 and we need more research on this condi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정노, 김종구, 고태승(2001), 장기관측자료에 의한 금강하구둑 수문조작에 따른 수질 변화 평가, 한국수산학회지, 제34권, 제4호, pp. 348-354.
  2. 김종구, 김양수(2002), 새만금 사업지구의 연안해역에서 부영양화관리를 위한 생태계모델의 적용, I. 해역의 수질 특성 및 저질의 용출 부하량 산정, 한국수산학회지, 제35권, pp. 348-355.
  3. 박승윤, 김형쳘, 김평중, 박경수, 박정숙(2007), 아산연안 수질환경의 특성과 장기변동, 한국환경과학회지, 제16권, 제12호, pp. 1411-1424.
  4. 양원석, 최용규, 조성환(2000), 군산연안의 적조발생과 동태 연구, 서해수산연구소보고서, pp. 264-278.
  5. 양재삼, 김기현, 김영태(2003), 곰소만 조간대 해수 내 질소 성분의 시공간적인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 제8권, 제3호, pp. 251-261.
  6. 유병철, 유선재, 조주환(1994), 금강 하구에 나타나는 황색 수색대의 환경특성, 한국수산학회지, 제27권, 제1호, pp. 97-105.
  7. 이상호, 권효근, 최현용, 양재삼, 최진용(1999), 하구언 수문작동으로 인한 금강 하구역의 물리적 환경변화 II. 염분구조와 하구유형, 한국해양학회지, 제4권, 제4호, pp. 255-265.
  8. 최용규, 이삼근, 박경구, 이영식(2000), 전북 연안의 담수 유입과 관련된 DIN, DIP의 계절 변화, 국립수산진흥원연구보고, 58, pp. 114-124.
  9. 최현용, 이상호, 유광우(1999), 금강하구언 대량 방류시황해 중동부 해역의 염분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 제4권, 제1호, pp. 1-9.
  10. 해양수산부(2002),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 p. 330.
  11. Antia, N. J., C. D. McAllister, T. R. Parsons, K. Stephens and J. D. H. Strickland(1963), Future measurements of primary production using a large volume plastic sphere. Limnology and Oceanography, Vol. 8, pp. 166-183. https://doi.org/10.4319/lo.1963.8.2.0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