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odem Transformation of Spatial Structure in the Changjiang Delta Region: 1978~2006

장강삼각주지구(長江三角洲地區) 공간구조(空間構造)의 현대적(現代的) 변용(變容) : 1978~2006

  • Ryu, Je-Hun (Dept. of Geograph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류제헌 (한국교원대학교 제2대학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0.12.23
  • Accepted : 2011.02.07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oday, the name of Changjiang (Yangtze) Delta Region is used to designate an economic region which consists of sixteen cities including Shanghai City. The region has achieved the highest rate of economic growth in the world as well as in China since China its opened its toward the world marke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n transition of spatial structure in the region after the opening (1978) and the membership of WTO (2000). In the examination, the study divides the spatial structure into three aspects: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economic integration. The outcome of examination suggests that spatial division of industry, horizontally and vertically, has not reached a satisfactory level even if it is still in progress. The study proposes that the intervention of government in the market and company activity has hindered the spatial division of industry including service sector between the cities, and thus the economic integration. It further suggests that the specialization of urban function has not entered into the maturing stage, with the shortage of mid-size cities that would mediate spatial-economically between the large-size cities and the small-size cities in the urban hierarchy.

오늘날 장강삼각주지구(長江三角洲地區)(약칭: 장삼각(長江三))라는 명칭은 행정구역상으로 상해시(上海市)(1개 성급(省級) 성시(城市))를 비롯한 16개 성시(城市)(3개 부성급(副省級) 성시(城市))와 12개 地級(지급) 城市(성시)를 가리킨다. 개혁 개방(1978) 이후, 특히 포동신구(浦東新區)의 개발 개방(1992) 이후, 지금까지 장강삼각주지구(長江三角洲地區)의 발전 속도는 중국에서는 물론이고 다른 국가에서도 그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빠른 것이다. 본 연구는 1978년부터 2006년까지 장강삼각주지구(長江三角洲地區) 공간구조(空間構造)의 현대적(現代的) 변용(變容)을 산업화(産業化), 성시화(成市化), 경제일반화(經濟一般化)라는 세가지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산업화에 있어서 수평적이고 수직적인 공간적 분화가 지금도 진행되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까지 만족할 만한 수준에는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시장과 기업의 활동에 대한 정부의 지나친 행정적 간섭이 서비스 산업을 비롯한 산업의 성시(城市) 간(間) 공간적 분화를 수반하는 경제일체화(經濟一體化)를 방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동일한 공업 업종에 대한 중복 투자와 건설로 인하여 성시(城市) 기능(機能)의 특화(特化)가 아직까지 성숙 단계에 접어들지 못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성시(城市) 계층(階層)의 구성에 있어서 대성시(大城市)와 소성진(小城鎭)의 기능을 공간-경제적으로 중계하는 역할을 하는 중등성시(中等城市)의 숫자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교원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