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선시대 수노리개에 나타난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pressive Features of Embroidered Norigae in the Chosun Dynasty

  • 양숙향 (순천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투고 : 2011.01.19
  • 심사 : 2011.03.16
  • 발행 : 2011.03.30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formative features of embroidered norigae in form, color, pattern and expressive technique through positive analysis of relics and various of collections of work and to consider expressive features of embroidered noriga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mbroidered norigae has handcrafted decoration. it was made by being sewed for women longing for their family's happiness. Embroidered norigae is a dress worn by women that is hung on a coat string or the waist part of a skirt. Second, it is eco-environmental. Embroidered norigae applied things seen in nature such as flowers, butterflies and bees to its pattern. Third, it has practicality. Embroidered norigae has high practical value besides a decorative function. Needle case norigae and incense case norigae provide functions in accordance with women's wisdom and skill as well as practicality. Fourth, it is praying for good luck. Women embroidered patterns symbolizing their desires in life such as their family's happiness, wealth, many sons and a long life. Fifth, it has balance and harmony. The knot of embroidered norigae has a perfect symmetry in the front/back part and in the right/left part. And the main body and tassel are symetrical in the right/left part, which gives stability and comfortableness. Embroidered norigae is classified into knot, main body and decorative part in its form. The three kinds express their unique beauty by being harmonized together. Finally, it has a property of melody. Movement of the tassel has a property of melody shaken by the wind and movement of its wearer.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문화재연구소(1997) 매듭장. 서울: 신부사. 27.
  2. 국립민속박물관(2005) 한민족역사문화도감(의생활). 서울: 산하인쇄. 362.
  3. 국립중앙박물관(2004) 한국전통매듭. 서울: 중앙문화 인쇄. 31-33.
  4. 금기숙(1994) 조선복식미술. 서울:열화당. 138-142.
  5. 금기숙(1999) 패션디자인을 위한 전통복식의 활용현황에 관한 연구. 복식 43, 69-82.
  6. 김민정 . 이상은(2008) 조선후기 자수문양에 나타난 해학성 연구. 한복문화 11(2), 199-200.
  7. 김세환(1994) 한국 노리개의 조형적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완길(1994) 한국화장문화사. 서울: 열화당. 140.
  9. 김은영(1998) 전통 매듭. 서울: 대원사. 32.
  10. 김종태 . 김지아 . 김지윤(2003) 자수 문양의 종류와 상징성. 국립민속박물관 .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공편, 391-399.
  11. 김지선(2007) 한국전통 꽃문양의 상징성과 형태 및 색채 특성에 따른 조형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52.
  12. 박성실 . 조효숙 . 이은주(2005) 조선시대 여인들의 멋과 차림새. 단국대학교출판부, 172.
  13. 사회과학원 고전연구실(1992) 북역 고려사 제7책. 서울: 도서출판 신서원. 594, 597, 598. 민족문화 추진위원회 옮김(2005) 고려도경. 서울: 도서출판 서해문집. 159.
  14. 석주선(1985) 한국복식사. 서울: 보진재. 360-373.
  15. 양숙향(2009) 매듭과 장식. 제12회 서울국제매듭전, 72.
  16. 유희경 . 김문자(2001)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304-308.
  17. 육당 전집 편집위원회 (1974) 육당 최남선 전집 9. 서울: 현암사. 451.
  18. 은영자.정명숙(1984) 조선시대 노리개에 반영된 여성의 가치관 고찰. 과학논집 10, 5.
  19. 이경자 . 홍나영 . 장숙환(2003) 우리옷과 장신구. 서울: 열화당. 146-147.
  20. 이경자(2005) 노리개. 서울: 이화여대출판부. 5-46, 113.
  21. 이세진(1983) 조선왕조후기 노리개에 관한 연구. 서울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승희(2005) 우리나라 노리개에 關한 硏究.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은숙 . 김진구(1987) 朝鮮時代의 노리개에 관한 硏究. 韓國生活科學硏究 5, 113.
  24. 정명숙(1984) 전통자수 표현기법 연구. 명지대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차명순(2002) 전통매듭과 현대 매듭의 만남. 서울: 느림. 28.
  26. 한영화(1994) 빛깔있는 책들 전통자수. 서울: 대원사. 67.
  27. 허동화(1997)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규방문화. 서울: 현암사. 80.
  28. 허동화 . 심연옥(2006) 끈목 . 매듭. 서울:한국자수 박물관 출판부. 72-91, 144, 156, 180-182.
  29. 홍복의 . 박경자(1992) 유물수노리개와 현대 수노리개의 비교연구. 복식 18, 374-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