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과 일본의 감즙 제조와 염색법 및 염색물 변용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Persimmon Juice, Persimmon Dyeing Method, and Transfiguration of Persimmon-dyed Items in Korea and Japan

  • 박순자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Park, Soon-J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1.01.29
  • 심사 : 2011.03.16
  • 발행 : 2011.03.30

초록

It is not clear to assume the history of dyeing by persimmon juice without an early knowledge of an accurate record. However, the beginning of persimmon dyeing in Korea is estimated to be around the $13^th$-$14^th$ century, even though there are no supporting record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definite records of persimmon dyeing in Japan from around the 17th century. Persimmon juice was originally used for fishing tools in both Korea and Japan, but upon entering the Modern Era it eventually transfigured into a dye for fabric. In Korea, persimmon-dyed fabrics were used for traditional clothing until it also became a popular choice for modern clothes in the 1990s. In Japan, persimmon juice was originally used for varnishing surfaces of household items, but it recently became a material for arts, crafts, and even apparels. The main difference between persimmon dyeing of the two countries is the presence and absence of the fermentation process. In Korea, persimmons are picked and water is immediately added to its juice to produce the dye. In contrast, Japan produces a fermented persimmon dye. As a result, in Korea the dye can not be preserved for long periods, whilst in Japan it is matured in the storage for 2-3 years. Today's pursuit of eco-friendliness and wellness has prompted an inclination towards natural material clothe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both countries to push scientific research into improving the storage methods and colorfastness of persimmon-dyed products for the increase of use consumption in other areas of persimmon and arrowroot dyed fabrics, and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 friendly material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부자(1971) 제주도 服飾의 民俗學的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부자(1995) 濟州道衣生活의 民俗學的 硏究.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고주형 ․ 홍지운 ․ 권숙희(2010) 20대 여성을 위한 관광문화상품 갈옷 블라우스 연구. 2010년도 한국의류학회 추계학술대회집, 234.
  4. 권숙희 ․ 홍선철(2007) 제주문화상품 갈옷의 패턴 그레이딩 DB를 위한 기초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5(1), 111-125.
  5. 김동욱 ․ 고부자(1973) 衣生活-農夫服(柿下衣類)-갈옷. 한국민속종합보고서-제주도편, 225-227.
  6. 김의숙(1991) 제주도 牧者服 考察.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태능(1982) 제주도사논고. 서울: 세기문화사.
  8. 김효선(1996) 풋감의 성분분석보고서.
  9. 남윤자 ․ 홍명화(1986) 濟州道 갈옷의 衛生的 特性에 관한 硏究. 경희대학교논문집 제15집 자연과학편, 43-49.
  10. 박덕자(1994) 제주 갈옷. 제주: 제주농업기술원. 1-36.
  11. 박덕자(1998) 媒染劑와 紫外線을 處理한 織物의 감즙染色.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박덕자 ․ 박순자․고정삼(1999) 媒染劑와 紫外線을 處理한 織物의 감즙染色. 한국지역생활과학회지 10(1), 1-6.
  13. 박순자(1995) 감즙 染色布의 물리․화학적 성질에 관한 實驗的 硏究. 한국의류학회지 19(6), 955-967.
  14. 박순자(2001) 갈옷 -그 특성과 전망-. 서울: 경춘사. 7-12.
  15. 박순자 ․ 박덕자(1998) 제주도 풋감즙을 이용한 의류 개발. 제주도서부농업기술센터.
  16. 박순자 ․ 손원교(1999) 갈옷과 흰옷 및 그 의복형태의 차가 착용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3(1), 30-41.
  17. 손경자(1987a) 濟州道 갈옷의 實態調査에 대한 應用方案 硏究. 석주선기념박물관지, 37-61.
  18. 손경자(1987b) 감즙농도에 따른 Cellulose 섬유의 引張强度 및 色差연구. 세종대학교 논문집 14, 23- 34.
  19. 손경자(1988) 한국의 전통갈옷(柿澁染色) 특성연구. 제7회 아시아복식학술회의발표요지 중화복식학회.
  20. 신봉섭 ․ 김영만 ․ 안태준(2003) 감추출액에 의한 견직물 염색. 韓蠶學誌 45(1), 66-70.
  21. 신승렬 ․ 김미현 ․ 김주남 ․ 원충연 ․ 서지형 ․ 김광수 (1995) 세포벽 분해효소 처리에 따른 감과실의 세포벽 유리다당류의 변화. 한국식품과학회지 2(1), 173-183.
  22. 이혜선(1991a) 제주도 갈옷의 유래 및 제작방법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논문집 33, 165-174.
  23. 이혜선(1991b) 감즙처리布의 物性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논문집 33, 175-182.
  24. 이혜선(1994) 갈옷에 關한 硏究.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이혜선(2004) 갈옷의 현대화와 마케팅 전략. 제주문화예술정책연구 창간호.
  26. 정덕상(1997) 풋감즙을 이용한 염색제품의 색상변화방지. '96 산 ․ 학 ․ 연 공동기술개발 제주지역 컨소시엄사업 최종보고서.
  27. 정영옥 ․ 이순자 ․ 전병관(1997) 저장감즙을 이용한 직물의 염색연구. 한국지역생활과학회지 8(2), 73-81.
  28. 제주관광협회(1999) 갈옷디자인공모전. MBC방송 (1999. 7. 10).
  29. 제주대학교박물관(1993) 만농 홍정표 선생 사진전 '제주사람들의 삶'.
  30. 제주도청(1973) 제주도문화재 및 유적 종합보고서- 衣生活編. 339-429.
  31. 조선총독부(1929) 生活狀態調査(其二) 제주도조사자료 제19편.
  32. 진성기(1969) 南國의 歲時風俗. 제주: 제주민속문화 연구소.
  33. 진은주(2005) 함평서 천연염색 갈옷 '봅데강' 만드는 가수 은희. (2011.01.25). http://blog.naver.com/bhgoh.
  34. 최진현 ․ 염정현 ․ 배도규(2009) 천연색소 자원의 활용. 섬유기술과 산업 13(2), 113-121.
  35. 현혜경(1976) 제주도 服飾에 관한 연구-해녀복과 농민복(갈옷)의 實物을 중심으로-. 수도師大 석사학위논문.
  36. 홍희숙(2001) 추구혜택과 패션이미지가 제주지역 패션문화상품 갈옷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9(2), 73-84.
  37. 鄭性鎬 역(1993) 光瀬龍 저. 小說 미야모토 무사시(上). 서울: 도서출판 나나. 98.
  38. 網野善彦(1986)異形の王権. 日本: 平凡社. 96. 이혜선 1991a 재인용.
  39. 李善愛(1998) 濟州島の柿渋染め. 纖消誌 39(1), 35-39.
  40. 井之木泰(1985) 日本民俗大系 13卷 技術と民俗(上). 日本: 小學館. 574.
  41. 今井敬潤(1990) 柿の民俗誌. 大阪: 現代創造社. 201- 229.
  42. 今井敬潤(1995a) 柿渋染めの文化史(上). 月刊染織$\alpha$ 172, 36-40.
  43. 今井敬潤(1995b) 柿渋染めの文化史(下)-柿渋染めの柿渋づくり-. 月刊染織$\alpha$ 173, 72-75.
  44. 大森雅人 ․ 石井香久子 ․ 權惠珠․鈴木信康(1999) 韓國濟州道の柿渋染めに関する研究(第1 報) . 溱川女子短大紀要 33, 99-104.
  45. 鎌田敏子(1993) 韓國濟州道に伝わる柿渋染め. 月刊染織$\alpha$ 149, 32-36.
  46. 勝俣鎭夫(1982) 一揆. 東京:岩波書店 123. 이혜선 1991a 재인용.
  47. 高橋誠一郞(1999) 柿澁のプリント. 月刊染織$\alpha$ 214, 64-68.
  48. 寺田昌道(1998a) 柿澁を生かした暮らしの工芸品. 月刊染織$\alpha$ 208, 23-27.
  49. 寺田昌道(1998b) 柿渋染め商いのれん․柿渋染めク ラフト. 月刊染織$\alpha$ 210, 61-65.
  50. 寺田昌道(1998c) 染めの色材として溢れる魅力の柿渋. 月刊染織$\alpha$ 212, 58-59.
  51. 寺田昌道(1999a) 柿渋による布染め各種技法のポイン ト. 月刊染織$\alpha$ 216, 60-63.
  52. 寺田昌道(1999b) 太陽の光と爽やかな風が美しい柿 渋染めをつくる. 月刊染織$\alpha$ 214, 57-59.
  53. 寺田昌道(2000) 柿澁のクラフト. 東京: 木魂社. 74-113.
  54. 梁慧正 ․ 朴燦一 ․ 宮崎淸(2001) 庶民生活のなかで親しまれてきた 柿渋染め. 日本デザイン學會 デザイン學研究 BULLETIN of JSSD. 46-47.
  55. 梁慧正 ․ 宮崎 淸(2003) 柿渋染め労働着ガルオッとその変容. デザイン學研究 50(2), 9-18.
  56. 雍州府誌(1964)日本: 光彩社 . 이혜선 1991a 재인용.
  57. 橫出洋二(1997) 京都 ․ 南山城의 柿澁山地の歴史と現狀. 月刊染織$\alpha$ 201, 36-38.
  58. Bonkowski JE(1969) Textile Research Journal 39, 243. 신봉섭 등 2003 재인용.
  59. Miligan B, Holt LA(1995)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10, 335. 신봉섭 등 2003 재인용.
  60. Park SJ(2002) The 4th FABI EXHIBITION. 4, 48.
  61. Park SJ(2003) Bunka Gakuin Korea-Japan Fair Exhibition. Korea Fiber Center.
  62. Park SJ(2005) Korea-Japan Friendship Year 2005, Korea-Japan Fashion Art Exhibition. Silk Gallery
  63. Park SJ(2010) The 9th BUNKA FASHION ART EXHIBITION. Seoul Namsan Public Library.

피인용 문헌

  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rsimmon Juice Dyed Print-fabrics following the Printing Method and a Comparative Study of the Products' Properties vol.23, pp.3, 2012, https://doi.org/10.7856/kjcls.2012.23.3.317
  2. Dyeability and Functionality of Synthetic Fabrics treated with Persimmon Juice vol.26, pp.2, 2014, https://doi.org/10.5764/TCF.2014.26.2.131
  3. Combination Dyeing of Silk Fabrics with Hibiscus flowers and Persimmon Juice Extract vol.17, pp.3, 2015, https://doi.org/10.5805/SFTI.2015.17.3.476
  4. Mechanical Properties of Synthetic Fabrics Dyed with Persimmon juice vol.28, pp.2, 2016, https://doi.org/10.5764/TCF.2016.28.2.109
  5. 여대생의 체형별 신체만족도와 의복이미지 연구 vol.23, pp.3, 2012, https://doi.org/10.7856/kjcls.2012.23.3.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