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of green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reative activities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녹색가술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 Oh, Dong-Kyu (CHUNGCHEONGNAMDO EDUCATION RESEARCH AND INFORMATION INSTITUTE)
  • 오동규 (충청남도교육연구정보원)
  • Received : 2011.02.07
  • Accepted : 2011.03.21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development of green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reative activitie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follow. Basically this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ree steps of preparation, development and improvement. First, in the preparation step, Need analysis were analyzed by investigation the needs of the society. Then the themes of this program were determined by thestages based on the National and social issues. Second, in the development step, the following was included. 1) Begin with Setting up education goals of this program. 2) selecting of learning object and content. 3) structuring educational program. Third, in the improvement step, program was verified of validity by experts

이 연구는 저탄소녹색성장의 중요성을 밝히기 위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녹색기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 교육 프로그램은 준비-개발-개선 단계로 개발하였다. 이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비 단계에서 녹색기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사회의 요구분석과 경상북도교육청의 녹색성장교육실천메뉴얼, 에너지관리공단의 에너지인정도서, 미국의 NEED프로젝트를 바탕으로 녹색 기술에 관한 예비 주제를 선정하였다. 예비 주제는 현실성, 관련성, 활동성의 요소로 최종 주제를 정하였다. 둘째, 개발 단계에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목표를 선정하고, 활동프로그램의 내용을 정하였다. 세부 학습목표와 교육내용, 학습방법, 평가방법을 정하였다. 녹색기술교육프로그램은 에너지, 천기에너지, 태양과 풍력에너지, 그린홈, 그린카, 재활용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개선 단계에서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을 초등학교 교사와 기술교육전문가를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초등학생 12명을 대상으로 현장평가를 실시하였다. 개선 요구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재개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Thomas. L. Friedman. (2008) 역 최정임, 이영민 Code Green 뜨겁고 평평하고 붐비는 세계. 북이십일 경기도
  2. 경상북도교육청. (2009). 녹색성장교육실천메늉얼.
  3. 교육과학기술부. (2009) 녹색성장교육 활성화방안
  4. 교육과학기술부. (2009) 초중고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5. 변응찬. (2010). 녹색성장과 생활환경. 보건복지 포럼. pp.66-72.
  6. 에너지관리공단. (2007). 에너지인정도서 초등학교 5-6학년용.
  7. 윤순진. (2009). 저탄소녹색성장의 이념적 기초와 실재, ECO 13권 1호, pp 219-266)
  8. 이귀호․주홍신. (2009). 녹색기술 연구개발 정책방향. 대한환경공학회지. 31권 3호. pp.163-172.
  9. 이상갑. (2001). 주제 중심 통합적 접근에 의한 기술교과프로그램의 개발.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충북 청원
  10. 이상원․이지형. (2009). 통합교과적 접근을 통한 초등학교 녹색교육 내용개발방안.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2권 제3호 pp.47-70
  11. 이선준. (2010). 국가녹색정책수립에 따른 고등학교에서의 녹색환경교육 방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학위논문
  12. 이진우․이은주. (2009). 녹색인간. 서울: 이담북스
  13. 장옥화. (2009). 창의적 체험활동의 실천사례. 서울교육.2010 봄. pp.128-133
  14.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2010
  15. 지식경제부. (2008). 지식․혁신주도형 녹색성장을 위한 산업발전전략
  16. 한기주. (2008). 녹생성장의 개념 및 추진배경. 직업과 인력개발. 2008 가을 pp. 4- 13.
  17. Brad and Terry Thode. (2002). Technology in action. Glencoe/McGraw-Hill
  18. ITEA. (2007). Standards for Technological Literacy: Contents fot the study of technology. VA:ITEA
  19. ITEEA http://www.itea.org/green/green.htm
  20. 인천시교육청 http://www.greenedu.plusw.com/index.htm
  21. 광주광역시 서부교육지원청 http://seobu.gen.go.kr/index.htm
  22. green-technology http://www.green-technology.org/what.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