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tructural and Other Influential Characteristics of Western Timber Roof Truss in Modern Buildings - Focusing the Record of Modern Buildings among the Cultural Assets maintained by Public Institution -

근대 건축물에 사용된 서양식 목조 지붕 트러스의 구조요인 및 기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공공기관이 관리하는 문화재 중 근대건축물 기록을 중심으로 -

  • 이윤희 (공주대학교 건축공학과) ;
  • 유혜란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
  • 권기혁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 Received : 2011.06.02
  • Accepted : 2011.08.22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Western style timber roof trusses used as typical roof structures of buildings during a modern period have been developed with the interactions with their facade and functionality. The shapes of trusses and member sizes have been diversely changed by the purposes of architects, historical circumstance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For this reason, the change in the shapes of western style timber trusses along the times is one of important technology assets demonstrating the development of their structures during the modern perio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roughout parametric analysis of which parameters were determined from the collected and classified documents on western style timber roof structure built in the modern period carefully obtained from public institutions. Results of the parametric analysis are as follows. The number of king-post trusses and modified king-post trusses built between 1920 and 1937 reaches almost half of the total number of truss types investigated. The mean values of their spans, distances, tributary areas, and height are respectively, 10.5m, 2.4m, $24.37m^2$and 3.24m. The cross-section areas of trusses tend to reduce since the city construction law was enacted in 1920. Also, this study found that western architects usually used larger structural members than eastern architects and usages and finishing materials of roof trusses are not always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design parameters.

Keywords

References

  1. 강성원, 20세기 전반기 양식건축구법의 변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08
  2. 박창범, 20세기 전후 목조 지붕트러스의 수용양상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2008
  3. 志賀龜之助편, (洋風)建築構造設計圖중, 大日本工業學會, 1922
  4. 篠原太郞, 洋式建築構造雛形, 太陽社書店, 1931
  5. 임금화․김태영, 목조 지붕 트러스의 유입 및 수용양상,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2권 제8호, 2006
  6. 김성수, 근대건축문화재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2009
  7. 사단법인 도코모모코리아․대주ENC, 구조선은행 군산지점 구조안전성평가, 2011
  8. Francis D.K. Ching, A Visual Dictionary of Architecture , John Wiley & Sons, Inc, 1995
  9. 材松貞次郞, 日本近代建築技術書, 彰國社(제1판), 1976
  10. 호리 가즈오 저 / 주익종 역, 한국근대의 공업화, 전통과 현대, 2003
  11. 문화재청, 덕수궁 복원정비 기본계획, 2005
  12. 장기인, 건축구조학, 보성문화사, 1998
  13. 문화재청, 울산 언양성당 및 사제관 기록화보고서, 2005
  14. 문화재청, 구 목포사범학교 본관 기록화조사보고서, 2009
  15. 김정신, 한국 근대초기 서양 목구조의 수용과 교회 내부공간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14권 5호, 2005
  16. 문화재청, 명동성당 실측조사보고서, 2002 외 48건
  17. 문화재청(www.cha,go.kr - 간행물)
  18. (주)동양구조, 용산신학교 정밀안전진단보고서, 2004
  19. 사단법인 도코모모코리아, 용산 원효로성당 구조안전성평가, 2008
  20. 서대문구청,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관 구조안전진단, 2009
  21. 서울특별시 종로구청, 번사창 정밀안전진단 및 보수공사 설계용역보고서, 2008
  22. 김정동, 살아있는 역사, 사리지는 건축물, 대원사, 2001
  23. Wolfgang Schueller, 건축구조설계, 브레인코리아, 2003
  24. 김태영, 건축용 목재 제재치수에 관한연구, 청주대학교 산업과학연구, 제23권 제1호, 2005
  25. 권오현․신창호, 건축구조학, 보문당, 2000
  26. 장동찬․장성훈, 해법건축구조역학, 기문당, 2005
  27. 김종성․김익환․김철환․박광재․이은택, 건축․구조․디자인, 구미서관, 2003
  28. 이효열, 건축구조학, 기문당, 2003
  29. 에두아르도 또하르 저 / 김용부 역, 구조의 철학, 기문당,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