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o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the Husbands and Wives in Dual-Earner Families

맞벌이 부부의 가사분담이 남편과 부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Yoo, Gye-Sook (Dept. of Children and Family Studies, Kyunghee University) ;
  • Kang, Sue-Hyang (Dept. of Children and Family Studies, Kyunghee University) ;
  • Oh, Ah-Rim (Dept. of Children and Family Studies, Kyunghee University) ;
  • Lee, Joo-Hyun (Dept. of Children and Family Studies, Kyunghee University)
  • 유계숙 (경희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강수향 (경희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오아림 (경희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이주현 (경희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Received : 2011.01.01
  • Accepted : 2011.02.09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o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husbands and wives in dual-earner families. Data were collected from 193 couples in dual-earner families; the questionnaire measurements were based on recommendations from the literature review.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inquiries concerning gender role attitudes, marital communication efficiency, division of household labor, satisfaction in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nd marital satisfaction. Each of these categories had an individual measurement scale that enabled measurement of its impact on marital satisfac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ouples in dual-earner families showed egalitarian gender role attitudes and high levels of marital communication efficiency. They also reported high levels of satisfaction with their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nd their marital lives. Wives in dual-earner families had more egalitarian gender role attitudes compared with their husbands, and husbands perceived themselves to be investing more time in performing household chores (that is, in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than was perceived by their wives. Husbands were also more satisfied with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nd marital life compared to their wives. Finall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atisfaction in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nd in marital communication efficiency (as perceived by the couples) significantly predicted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wives' age, marital communication efficiency, and the differences in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s perceived by the couples) significantly predicted wives' marital satisfac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기연(2000). 맞벌이 부부의 공평성 인지.의사 결정참여 및 가정생활만족도: 사무직.관리.전문직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강학중(2007). 맞벌이 남편의 가사 및 자녀돌봄 분담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기은광(2003). 맞벌이부부의 가사노동공평성인지와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금옥(1998). 부부의 성역할 성향과 의사소통도 및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미령(2009). 연령대에 따른 여성의 결혼만족도 차이 및 영향요인 비교. 한국가족복지학 26, 35-62.
  6. 김선미(2008). 가사도우미에 의한 가사노동대체,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4), 15-33
  7. 김유순(1998). 공평성 인식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6(2), 213-231.
  8. 김진영(2005). 기혼여성의 성행동 및 성만족도와 결혼만족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진옥(2005). 근로기혼여성의 이중노동부담에 관한 실증연구: 가사노동분담에 관한 협조적 적응, 이중노동부담, 적응지체 가설의 검증. 한국사회복지학 57(3), 55-72.
  10. 김현주(2003). 부부의 경제 및 가사역할의 수행과 인식 수준에 따른 결혼만족도. 가족과 문화 15(1), 97-130.
  11. 김화자(1990).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부부의 의사소통 효율성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초등학교, 중, 고등, 대학교의 학부모를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두경자, 유희숙(2000). 확대기 맞벌이 부부의 결혼만족 및 영향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4(1), 47-57.
  13. 마경희(2004). 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 분담. 한국사회학회 심포지엄 논문집 119-144.
  14. 문숙재, 허경옥, 홍윤정(1997). 부부간 가사노동분담과 공평성 인지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5(2), 345-358.
  15. 박주희(1994). 취업 부부의 가사노동의 시간과 성별 분리 정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성영애, 양세정(1996). 가사노동시간의 결정요인: 비취업주부와 취업주부의 비교. 인천대학교 논문집 2(1), 89-106
  17. 손문금(2005). 맞벌이 부부의 무급노동분담에 대한 실증적 연구: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페미니즘 연구 5, 239-287.
  18. 심순아, 정옥분(2004). 중등기혼여교사의 결혼만족도와 직무수행과의 관계.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6(4), 141-156.
  19. 심혜선, 이정우(2001). 도시주부의 부부간 의사소통효율성, 가정관리전략 및 가정생활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5), 129-145
  20. 유계숙(2010). 맞벌이부부의 가사분담이 부인의 일-가족 전이와 결혼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여성연구 49(1), 41-70.
  21. 유희숙(1999). 취업주부와 남편의 가사노동 참여와 결혼만족도.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유희숙, 두경자(1999). 취업주부와 남편의 가사노동 참여 실태 및 영향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3(1), 123-134.
  23. 윤경자(1997). 성역할 태도가 부부의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4), 222-234.
  24. 이명신(1998). 맞벌이 부부의 스트레스 결정요인: 전문직부인과 생산직부인의 비교. 한국가족복지학 2, 115-148.
  25. 이명신(2001). 전문직 맞벌이 부부의 권력구조와 가사분담. 사회과학연구 19(1), 43-78.
  26. 이미숙(1996). 맞벌이부부의 성역할태도와 성역할정체감이 가사분담과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논집 16(1), 153-173.
  27. 이미숙(1997). 맞벌이 부부의 가사분담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성평등 연구 1, 279-288.
  28. 이미숙(2000). 부인의 취업상태에 따른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부인의 가정성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4), 145-161.
  29. 이수정(1997). 맞벌이 부부의 가족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은희(2002).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맞벌이 남녀의 성역할 태도와 결혼만족도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0, 99-119.
  31. 이정우, 강기연(2001). 맞벌이 부부의 공평성 인지.의사결정 참여도 및 가정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9(9), 137-152.
  32. 이택면, 김승연, 우원규, 이주영, 강석훈(2009). 2009년 여성가족패널조사 사업보고서 및 제2차 기초분석 보고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3. 정기선, Yoshinori Kamo, 이지혜(2004). What Makes Husband and Wife Satisfied with their Marriages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 and Japan. 한국인구학 33(1), 133-160.
  34. 정은애(2007). 자녀수에 따른 어머니의 결혼 만족도와 부모역할만족도의 관계.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조정문(1995). 결혼생활의 공평성 인지와 결혼만족. 한국사회학 29, 559-584.
  36. 조지은(2005). 기혼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부모기 전이부부를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지혜정(2006). 부부의 심리사회적 요인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4(1), 51-80.
  38. 채로(2003). 맞벌이부부의 가사노동시간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채로.이기영(2004). 맞벌이부부의 가사노동시간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265-281.
  40. 최수선(1995). 남편의 가사노동참여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최유경(2002). 결혼 초기 부부의 스트레스인지와 대처방안이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최정혜(2006). 맞벌이교사들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 한국 가정과 교육 학회지 18(3), 163-173.
  43. 통계청(2009). 2009년 사회조사 결과 보도자료.
  44. 통계청(2010a). 경제활동인구조사.
  45. 통계청(2010b). 통계청 사회조사 등을 통해 바라본 우리나라 부부의 자화상.
  46. 한국여성개발원(1994). 1994 여성통계연보.
  47. 홍윤정(1996). 부부간 가사노동 분담과 공평성 인지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Amato, P. R. & A. Booth (1995). Changes in Gender Role Attitudes and Perceived Marital Quality.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0(1), 58-66.
  49. Bianchi, S. M., Milkie, M, A, Sayer, L. C., & Robinson, J. P.(2000). Is Anyone Doing the Housework? Trends in the Gender Division of Household Labor. Social Forces, 79(1), 191-228.
  50. Bieuvenu, M. J. (1970). Measurement of marital communication, The Family Coordination 19(1), 26-31.
  51. Crouter, A. C., & Helms-Erikson, H.(2000). Work and family from a dyadic perspective: variations in inequality. In Milardo, R. M., & Duck, S.(Eds), Family as relationship (pp100-133).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Inc.
  52. Fowers, B. J.(1991). His and her marriage: A multivariate study of gender and marital satisfaction. Sex Roles 24(3), 209-221.
  53. Frisco, M. L., & Williams, K.(2003). Perceived housework equity, marital happiness, and divorce in dual-earner households. Journal of Family Issues 24, 51-73.
  54. Hawkins, A. J., Roberts, T. A., Christiansen, S. L., & Marshall, C. M(1994). An evaluation of a program to help dual-earner couples share the second shift. Family Relations 43, 213-220.
  55. Jeries, N.(1979). Marital satisfaction as perceived by wives.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Research Journal 7(4), 226-233.
  56. Larsen, A. & Olson, D. H.(1990). Capturing the complexity of family systems: Integrating family theory, family scores, and family analysis. In Draper, T. W., & Marcos A. C.(Eds), Family Variable(pp19-47). Newbury Park, CA: Sage.
  57. Lye, D. N., & Biblarz, T. J. (1993). The effects of attitudes toward family life and gender roles on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Family Issues 14, 157-188.
  58. McHale, S. M., & Crouter, A. C.(1992).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Incongruence between sex-role attitudes and family work roles and its implications for marriag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4(3), 537-547.
  59. Pina, D. L., & Bengston, V. L. (1993).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nd wives's happiness: ideology, employment, and perceptions of suppor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5, 901-912.
  60. Schumm, W., Nichols, C., Schectman, K., & Grigsby, C. (1983).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to the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by a sample of 84 married mothers. Psychological Report 53, 567-572.
  61. Spanier, G. B., & Lewis, R. A.(1980). Marital Quality: A review of the seventi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2(4), 825-839.
  62. Suitor, J. J.(1991). Marital quality and satisfaction with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cross the family life cycl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3(1), 221-230.
  63. Veroff, J., Young, A., & Coon, H, M.(2000). The early years of marriage. In Milardo, R. M., & Duck, S.(Eds), Family as relationship(pp19-38)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Inc.
  64. Wilkie, J. R., Ferree, M. M., & Ratcliff, K. S.(1998). Gender and fairness-marital satisfaction in two-earner coupl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0(3), 577-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