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완.백석윤 (1998). 초등수학교육론, 서울: 동명사.
- 고은미.남미경.황해익 (2009). 스캐폴딩 집단유형 및 능력수준에 따른 역동적 평가과정이 유아의 측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0(5), 225-243.
- 고은미.정명숙 (2007). 유아측정능력에 대한 역동적 평가방안 탐색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3), 317-336.
- 고은미.정명숙.황해익 (2008). 참조물을 활용한 역동적평가의 교수과정이 유아의 측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1), 275-292.
- 고은미.황해익 (2008). 유아측정능력에 대한 역동적 평가도구 개발 연구, 유아교육연구 28(4), 265-288.
- 김수동.이의갑.김경희.김선희.박은아.신명선.김수진.박가나.서수현.전영석 (2005). 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 연구(I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5-3.
- 김윤숙.김정환 (2009). 역동적 평가를 통한 실제적 지능 향상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1), 1-18.
- 교육과학기술부 (2010). 초등학교 교사용 수학 지도서 1-1, 서울: 두산동아(주).
- 교육인적자원부 (200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
- 남미경 (2007). 유아의 기하능력에 대한 소집단 역동적 평가방법의 교수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2(6), 259-286.
- 남미경.고은미 (2006). 유아의 기하능력에 대한 역동적 평가의 적용방안 탐색, 유아교육논총 15(2), 81-101.
- 남미경.최혜진.손원경 (2007). 만 4, 5세 유아의 기하학습잠재력과 역동적 평가의 교수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2(2). 119-139.
- 남미경.황해익 (2004). 역동적 평가유형에 따른 유아의 수학학습잠재력과 수학문제해결과정의 차이, 유아교육연구 24(6), 213-234.
- 남미경.황해익 (2005). 역동적 평가유형에 따른 4, 5세 유아의 수개념과 수학문제해결전략의 차이, 열린유아교육연구 10(3), 113-138.
- 백순근.김경진 (2004). 역동적 평가를 활용한 수업이 유아의 수개념 학습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18(1), 145-162.
- 백영숙 (2005). 교수-학습 과정의 역동적 평가를 통한 유아교사의 창의성 변화 탐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화진 외 (2010). 2009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I 2010-4.
- 최혜진 (2006). 패턴과제를 이용한 유아수학학습능력의 역동적 평가 방안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1(4), 359-380.
- 최혜진.유수경 (2008). 역동적 평가에서의 유아의 인지양식에 따른 패턴문제 해결력, 아동학회지 29(1), 339-353.
- 최혜진.황해익 (2006). 유아수학학습능력의 역동적 평가 결과의 활용방안 모색: 개별유아의 사례들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0(2), 5-31.
- 한순미 (2008). 개별화 교수.학습에서의 평가 방안: 역동적 평가를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20(1), 49-73.
- 황해익 (2008). 유아의 수학학습능력에 대한 역동적 평가 도구 개발, 교육평가연구 21(1), pp.201-226.
- 황해익.남미경 (2004). 유아의 수학문제해결력에 대한 역동적 평가 방안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9(1), 165-184.
- 황해익.남미경 (2007). 유아의 기하학습잠재력 측정을 위한 역동적 평가도구 개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1(2), 137-160.
- 황해익.유수경 (2008). 유아 수학 학습 능력의 역동적 평가에 대한 교수효과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2), 217-236.
- Bodrova, E., & Leong, D. (1996). The vygotskian approach to early children education, 박은혜.신은수 역 (2010). 정신의 도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Jitendra, A. K., & Kameenui, E. J. (1991). Expert's and novice's error patterns in solving part-whole mathematical word problem.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0(1), 42-51.
- Sternberg, R. J., & Grigorenko, E. L. (2002). Dynamic testing: The nature and measurement of learning potential, 염시창 역 (2006). 학습잠재력 측정을 위한 역동적 평가, 서울: 학지사.
-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정희옥 역(2009). 마인드 인 소사이어, 서울: 학이시습.
피인용 문헌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Model for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Using Manipulatives -Focused on Middle School Mathematics- vol.27, pp.4, 2013, https://doi.org/10.7468/jksmee.2013.27.4.5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