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가상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한 경남수목원의 환경가치추정 연구

A Study on Measuring the Environmental Value of Gyeongnam Arboretum Using the CVM

  • 강기래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하성근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이기철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Kang, Kee-Ra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Ha, Sung-Gyon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Kee-Cheo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0.10.11
  • 심사 : 2010.12.13
  • 발행 : 2011.02.28

초록

숲과 식물은 누구나 소중하다고 인식은 하지만 언제나 우리 주변에 있어 왔기에 그 중요함을 간과해 왔다. 수목원은 이러한 숲과 식물에 대한 자연학습장의 역할과 생태계의 식물을 수집, 전시하여 이용자들에게 환경에 대한 교육과 휴양, 식물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는 시설의 하나이다. 누구나 방문 비용을 투입하면 맑은 공기와 쾌적한 환경, 다양한 식물에 대한 지식과 여가 환경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이용객들이 소비한 금액이 누리고 있는 수목원의 올바른 가치인지는 고려해 봐야 할 과제 중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수목원이 제공하고 있는 환경은 비시장재(Extramarket Goods), 또는 공공재(Public Goods)이며, 이러한 공공재의 가치를 추정하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와 방법들이 경제학자와 통계학자, 수학자들 사이에서 꾸준히 연구되어 왔다. 그 중 가상가치측정법(CVM)은 환경재의 평가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미국대법원에서 환경의 복원 비용 배상을 위한 추정 방법으로 적용되었다. 본 연구는 CVM을 수목원의 가치 측정에 접목시켜 이용자 및 일반 국민들이 막연하게 생각하던 특정한 환경의 가치를 현재의 통용되는 화폐액으로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제시금액에 대한 응답에서 수목원의 환경에 대한 교육적 가치(envedu)가 높을수록, 소득(inc)이 높을수록 "예"의 응답을 할 확률이 유의한 수준으로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경남수목원을 방문하고 있는 이용객 일인당 인식하는 환경의 가치는 WTPmean 15,648원, WTPmedian 13,648원, WTPtruncated 15,449원으로 추정하였다. 이를 연간 경남수목원이 제공하는 환경적 가치로 환산하면 WTPmean 8,408,265,024원, WTPmedian 7,333,589,024원, WTPtruncated 8,301,334,762원으로 추정하였다. 이러한 제시된 금액은 수목원의 보전가치로 볼 수 있으며, 비 이용자들에게도 자연환경의 소중함을 일깨워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인들에게도 수목원과 숲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가치를 인식하는데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The importance of forests and plants are appreciated by all of us, but it is often overlooked because we are surrounded by it. The arboretum is one of facilities which provide users with education on the environment, knowledge about plants, and recreation, playing a role as a nature school by exhibiting and collecting plants of various ecosystems. Anyone can enjoy fresh air, a pleasant environment, and knowledge about a wide variety of plants on the condition that they aactually visit it and pay the entrance fee. However, it has not been measured whether the expense which users pay to enjoy an arboretum is a true value of arboretums. The environment that arboretums offer is extra-market goods, or public goods. A variety of ideas and methods to measure the value of public goods have been researched among economists, statisticians, and mathematicians.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is most widely used a s an assessment method on environment goods and adopted as an estimation method for compensation for restoration of the environment by the American Supreme Cou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current monetary value correspondingent to the value of arboretums by applying the CVM. The survey suggested that when an arboretum provides a high educational value and when the respondents have a higher income, it is more likely that they would be willing to pay for entrance into the arboretum. The quantified value in monetary terms for the environmental value of Gyeongnam Arboretum is WTP mean \15,648; WTP median \13,648; and WTP truncated \15,449 per visitor. In annual terms, the amounts are calculated at WTP mean \8,408,265,024; WTP median \7,333,589,024; and WTP truncated \8,301,334,762. These quantified amounts can be thought to represent the value of conservation of arboretums and awaken users to the precious value of nature. Also, they are helpful to let the general public have proper knowledge about and recognize the value of arboretums and forest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연구재단

참고문헌

  1. 강기래(2009)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자연휴양림 휴양가치측정. 한국조경학회지 37(5): 42-52.
  2. 강기래(2010) 자연휴양림보존가치 측정을 위한 조건부가치측정법(CVM) 추정액 비교. 한국조경학회지 38(2): 25-36.
  3. 곽승준, 유승훈, 조승국(2002) 한려해상국립공원 보존의 경제적 가치: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하여. 한국경제학회지 50(2): 85-104.
  4. 권오상(2003) 가상가치평가법을 이용한 유전자변형제품의 소비자 수용성에 관한 계량분석. 농업경제연구 44(2): 111-131.
  5. 김민정(2004) 수목원을 활용한 생태학습당 개선방안.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승우, 김홍균, 유샹희, 이호생, 임종수, 정태용, 한택환, 홍종호(2000) 환경경제학: 이론과 실제. 서울: 박영사.
  7. 김용수, 하성근, 박찬용(2009) 수목원 기능별 지표의 주용도와 특성화 방안: 대구, 경북, 경남수목원을 대상으로. 한국임학회지 98(4): 370-378.
  8. 김종표(2001) 수목원 및 수목원 이용의 활성화 방안. 고려대학교 자연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나정화(1999) 대곡수목원조성에 따른 비오톱구조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7(4): 167-172.
  10. 노형진(2001) 한글 SPSS10.0에 의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 형설출판사: 서울.
  11. 박완규, 홍성표 역(2009) Gujarati의 계량경제학. Damodar N. Gujarati, Dawn C. Porter. Basic econometrics. 5th ed. 서울: 도서출판 지필.
  12. 박주헌(2000) 환경경제학. 서울: 경문사.
  13. 백동렬, 정용문, 변재상(2003) 충남금강수목원의 이용실태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6(6): 14-24.
  14. 손종은, 송형섭(2002) 자기안내식 환경해설판의 기능 효과 분석: 홍릉수목원을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91(6): 742-749.
  15. 송동욱, 안영희(2008) 국내 수목원, 수목원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녹지환경학회지 4(3): 37-42.
  16. 신영철(1997) 이중양분선택형 질문 CVM을 이용한 한강 수질개선 편익측정. 자원환경경제연구 6(1): 171-192.
  17. 신영철(2004) 환경자원의 조건부가치 측정. 파주: 한국학술정보(주).
  18. 유진채, 김정은(2008) 일점오양분선택모형을 이용한 청주.청원지역의 수달서식지 보호의 비시장적 가치추정. 자원.경제연구 17(2): 349-379.
  19. 윤국병(1972) 남산공원선인장 수목원 탐방기: 선인장류. 최신원예: 122(0): 45-50.
  20. 이언동(2007) 생태수목원 조성에 관한연구: 금원산생태수목원을 중심으로. 진주산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충기, 조윤미(2004) CVM을 이용한 체험관광의 가치평가. 관광연구저널 18(2): 217-232.
  22. 이해춘, 안경애(2008) CVM을 이용한 개인정보 유출의 손실가치 분석. 생산성논집 22(2): 1-24.
  23. 이해춘, 정현식, 김태영(2004) 3중양분선택.개방형 CVM을 이용한 수도권 대기질의 편익가치 자원. 환경경제연구 13(3): 387-415.
  24. 임연진, 배준규, 주진순, 이대섭(2008) 국립수목원 방문객의 방문경험에 따른 동기요인 및 만족도 분석: 최초방문객과 재방문객의 비교.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2(2): 47-55.
  25. 채충락(2002) 수목원의 환경교육 기능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한상열, 이민하, 유리화, 김재준(2007) 소백산국립공원의 자산가치 평가: Turnbull 분포무관모형의 적용.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1(4): 37-45.
  27. 허성수, 김종현, 한광현, 신언동, 강지민(1999) 관광수목원 조성을 위한 식재수종의 선택과 배치 및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4): 36-58.
  28. 홍성권, 김재현, 정수정, 김명수, 태유리(2010) 행정중심 복합도시 내 수목원의 경제적 가치 분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2(1): 67-81.
  29. 황재복, 송석보, 이동창, 심경구(2001) 남부지방 수목원의 잡초식생의 특성. 한국잡초학회지 21(4): 314-319.
  30. Ciraicy-Wantrup, S. V.(1947) Capital returns from soil-conservation practicies. Journal of Farm Economics 29: 1181-1196. https://doi.org/10.2307/1232747
  31. Davis, R. K.(1963) The Value of Outdoor Recreation: An Economic study of the Maine Woods. PH. D. Dissertation, Harvard University.
  32. Duffield, J. W. and D. A. Patterson(1991) Inference and optimal design for a welfare measure in dichotomous choice contingent valueation. Land Economics 67: 225-239. https://doi.org/10.2307/3146413
  33. Hanemann, W. M.(1984) Welfare evaluation in contingent valuation experiments with discrete response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71(3): 1057-1061.
  34. Hidano Noboru, Kato. Takaaki(2008) Determining variability of willingness to pay for Japan's antiglobal-warming policies: a comparison of contingent valuation surveys. Environmental Economics & Policy Studies 9(4): 259-281. https://doi.org/10.1007/BF03354011
  35. Johanson, P., B. Kristrom and K. G. Maler(1989) Welfare evaluation in contingent valuation experiments with discrete response data: Comment.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71: 1054-1055. https://doi.org/10.2307/1242684
  36. Boyle, Kevin J., Richard C. Bishop, and Michael P. Welsh(1985) Starting Point Bias in Contingent Valuation Bidding Games. Land Economics 61(2): 188.
  37. Mitchell, Robert C. and Richard T. Carson(1981) An Experiment in Determining Willingness to Pay for National Water Quality Improvement. Resources for the Future. Draft Report to U. 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 C.
  38. Michael Ahlheima, Benchaphun Ekasinghb, Oliver Frora, Jirawan Kit-chaicharoenb, Andreas Neefc, Chapika Sangkapituxb, and Nopasom Sinphurmsukskul(2010) Better than their reputation: enhancing the validity of contingent valuation mail survey results through citizen expert groups. Journal of Environmental Planning & Management; Mar 2010. 53(2): 163-182. https://doi.org/10.1080/09640560903529196
  39. Haab Timothy C. and Kenneth E. McConnell(2002) Valuing Environmental and Natural Resources: The Econometrics of Non-Market Valuation. New Horizons In Environmental Economics, USA.

피인용 문헌

  1. Measuring the Economic Benefits of Establishing Saemangeum Arboretum vol.48, pp.5, 2014, https://doi.org/10.14397/jals.2014.48.5.35
  2. Visitor support for growth and funding in public built environments: the case of an arboretum vol.33, pp.4, 2018, https://doi.org/10.1007/s10901-018-95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