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ggestion of Thermal Environment Miniature for Evaluation of Heating Efficiency Based on Thermal Conductivity Measurement Method of Building Materials

건축재료의 열전도율 측정방법에 의한 바닥재 난방효율 평가용 열환경 모형 제안

  • Jeon, Ji-Soo (Building Environment and Materials Lab, School of Architecture, Soongsil University) ;
  • Seo, Jung-Ki (Building Environment and Materials Lab, School of Architecture, Soongsil University) ;
  • Kim, Su-Min (Building Environment and Materials Lab, School of Architecture, Soongsil University)
  • 전지수 (숭실대학교 건축학부 건축환경재료연구실) ;
  • 서정기 (숭실대학교 건축학부 건축환경재료연구실) ;
  • 김수민 (숭실대학교 건축학부 건축환경재료연구실)
  • Received : 2010.10.14
  • Published : 2011.05.25

Abstract

Today, global warming is one of main problems all over the world. The cause of the global warming is carbon dioxide outbreak by the rapidly increasing energy u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ave energy in each industrious field.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half of total energy consumption over the world was used for construction and building. Therefore, the saving of the building energ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decreasing total energy consumption. With the considerable increase in building energy consumption, a green building rating system and certification are required to reduc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and $CO_2$ emissions. Of various elements reducing building energy, the thermal conductivity of materials affects the energy consumption as a basic element, which is directly related with 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particular, as the thermal conductivity of finishing materials is an important factor to decide heating energy efficiency of floor heating system, the investigation and development are necessary.

오늘날 지구온난화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주요한 문제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지구온난화는 급속한 에너지 사용량의 증가에 의한 이산화탄소 발생의 증가가 가장 큰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이에 대비하기 위해서 는 모든 영역에서 에너지 절약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세계의 총에너지 사용량 중 건설 활동과 건물운영에서 사용되는 에너지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절반이 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건물에너지 발생량을 줄이는 것은 전체 에너지량을 절감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건물에너지 소비에 대한 관심의 증대와 함께 건물의 에너지 소비와 $CO_2$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 친환경 건축물 등급 및 인증이 요구되고 있다. 건물에너지를 줄일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 중에서 재료의 열전도율은 패시브적인 방법으로 건물에너지를 직접적으로 줄일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특히 전통적으로 바닥 복사난방시스템을 사용하는 우리나라의 주거건물에서 바닥마감재의 열전도율은 난방에너지 효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본 논문에서는 주거건물의 난방에너지 절감을 위해 건축 재료의 열전도율 측정방법을 조사하고 난방 효율 평가를 위한 축소모형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ASTM C 177: Standard Test Method for Steady-State Heat Flux Measurements and Thermal Transmission Properties by Means of the Guarded-Hot-Plate ApparatusKS L 9016: 보온재의 열전도율 측정 방법.
  2. Min, S., J. Blumm, and A. Lindemann. 2007. A new laser flash system for measurement of the thermophysical properties. Thermochimica Acta 455: 46-9. https://doi.org/10.1016/j.tca.2006.11.026
  3. U.S Department of Energy, Energy Efficiency & Renewable Energy. 2008 Building Energy Data Book. November 2008.
  4. Zhang, Y. P., K. P. Lin, R. Yang, H. F. Di, and Y. Jiang. 2006. Preparation, Thermal performance and application of shape-stabilized PCM in energy efficient building, Energy and Buildings 38(2006) 1262-269. https://doi.org/10.1016/j.enbuild.2006.02.009
  5. KS L 1604: 단일체 세라믹스의 레이저 플래시법에 의한 열확산률, 비열 용량, 열전도율 시험 방법.
  6. KS L 3306: 열선법에 따른 내화 벽돌의 열전도도 측정.
  7. ISO 8301: 단열-정상상태 열 저항 및 관련 특성 측정-열류계 시험 장치.
  8. 김봉훈. 2007. 탄소 나노튜브 나노유체의 열전도도에 대한 연구. 설비공학논문집 19(3): pp. 275-283.
  9. 김세동. 2010. 이광식, 박원주, 최은혁, 건축전기설비의 에너지절약 성능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0. 김수민. 2009. 탄소나노재료를 이용한 고효율.고열전도율 축열건축재료, 대한건축학회 12: 42-44.
  11. 김흥열, 채한식, 전현규, 염광수. 2007. Fiber Cocktail을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열전도율 특성 및 모델제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7권 제1호(통권 제51집), 10.26-27.
  12. 서정기, 김수민. 2010. 목질마루바닥재의 열전도성능 분석을 통한 열전도율 개선 방안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0(1): pp. 49-53.
  13. 서정기, 전지수, 김수민, 박윤, 전병완. 2010. 바닥난방시스템에서의 목질 마루바닥재의 열전도율 향상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pp. 72-73.
  14. 송승영, 이현화, 송설영. 2007. 축소 모형 실험을 통한 흙집의 동계 열환경 및 에너지성능 평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3(9): pp. 173-180.
  15. 유동렬. 건축설비계획. 문운당. 2006년 1월. p. 199.
  16. 에너지관리공단(www.kemco.or.kr). 2008년도 에너지사용량 신고 분석결과 발표.
  17. 이승언, 강재식, 정영선, 최현중. 2003. 환경 및 시간경과에 따른 건축용 단열재의 열전도율 변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12): 235-241.
  18. 전지수, 서정기, 김수민. 2010. 국.내외 열전도율 측정기준 고찰을 통한 건축재료의 측정 방법 연구,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 논문집(2010 3.11∼12), pp. 239-240.
  19. 홍원표. 2010. 병원건물의 스마트그리드시스템의 에너지절약평가 및 경제성분석.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24(4): 129-139. https://doi.org/10.5207/JIEIE.2010.24.4.129

Cited by

  1. Assessment on Thermal Transmission Property of Wall Through a Scaled Model Test vol.43, pp.6, 2015, https://doi.org/10.5658/WOOD.2015.43.6.8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