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Fire Control System with an Analysis of Impact Vibration and Impact Energy

충격체의 진동 및 충격량 분석을 이용한 사격 통제장비 개발

  • Received : 2010.08.27
  • Accepted : 2010.11.05
  • Published : 2011.02.20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a development of a fire control system with an intelligent judgment algorithm of hit or not. The presented algorithm analyzes an impact energy and impact signals according to impact materials. And the detected signals are used to judge the correct hit or not. Furthermore,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s applied in the developed fire control system.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can supply a simple installation of the practical system and free from ageing of communication wire. The presented system is verified in the practical fire test, and the results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ment system.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사격통제장비를 대신하여, 명중탄과 피탄의 충격파형과 충격량을 검출하여 제어기 내부에 저장된 명중탄의 데이터와 상호 비교하여 표적기의 충격에 대한 명중 여부를 자체적으로 구분하는 알고리즘과 무선통신을 이용한 신형 사격통제장비의 개발내용을 기술하였다. 본 논문에서 적용한 명중탄 및 피탄의 구분은 타겟을 통과하는 명중된 관통탄과 그렇지 않은 경우의 타겟이 가해지는 충격량의 차이 및 변화로부터 명중탄의 범위를 산정하고, 이를 통하여 사격후의 결과를 판단하는 방식이다. 또한, 기존의 사격장비에서 적용하고 있는 유선통신으로 인한 배선 및 시설 노후화에 대한 문제를 Zigbee 무선 통신을 활용하여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사격통제장비의 개발이 가능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실제 사격시험을 통하여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태국, 임창균, 김강철, "영상처리 기반 모의 사격 표적지 탄착점 추출",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ol. 11, No. 1, pp. 117-128, 2010.
  2. 김재훈, 유준, "표적추적센서의 측정 바이어스 오차 보상에 의한 사격통제장치 성능 향상 기법",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Vol. 3, No. 2, pp. 121-130, 2000.
  3. 곽기호, "소형.저 전력 프로세서를 이용한 소화기 사격통제장치 주제어보드 설계기법 연구",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Vol. 8, No. 2, pp. 30-37, 2005.
  4. 한규칠, "사격효과측정 모델연구", Journal of the Military Operations Research Society of Korea (MORS K) , Vol. 3, No. 1, pp. 97-107, 1977.

Cited by

  1. A Study on Crack Formation in the K11 Objective Individual Combat Weapon Fire Control System using Analysis of Variance vol.43, pp.3, 2015, https://doi.org/10.7469/JKSQM.2015.43.3.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