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istoricizing of the Civilian Massacre through oral history

구술기록을 통한 민간인학살사건의 역사화

  • Published : 2011.07.30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for a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discussion on a methodological medium, orality to historicize the 'Civilian Massacre', of countless counter-memories which are inherent in Korean society. In other words, prior to collection of oral sources, it is to produce reliable oral history through a discussion on oral history research methodology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of oral history, after theorizing occurrence process of dominant-memory and counter-memory, orality's meanings as a counter-memory and the necessity for historicization of neglected memories, focusing on a 'memory' which is a fundamental background of an 'oral' act. Based on this basic process, oral recording process was performed in Changsoo-myeon, Yeongdeok-gun, Kyung-book Province where was selected as a research target for the civilian massacre that is a case to figure out what kind of high-quality record is produced, with a precise understanding of a particular methodology, oral history.

이 글은 한국 사회에 내재된 무수히 많은 대항기억들 중 '민간인학살사건'이라는 대항기억을 역사화 하기 위하여 구술이라는 방법론적 매개체에 대한 이론적 방법론적 논의를 시작해보기 위함이다. 즉 구술 자료의 수집에 앞서 '구술'이라는 행위의 근본적 바탕이 되는 '기억'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지배기억과 대항기억의 발생과정, 대항기억으로써의 구술이 가지는 의미, 소외된 기억들의 역사화 필요성을 이론화한 후 구술사연구방법론, 구술기록의 질적연구방법론에 대한 논의를 통해 신뢰성이 높은 구술기록의 생산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초를 바탕으로 구술이라는 특정 방법론에 대한 정확한 숙지 아래에서 어떤 질 좋은 기록물이 생산되는지를 알아볼 수 있는 한 사례로써 민간인 학살사건의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에 대한 구술기록화 과정이 진행되었다.

Keywords

Cited by

  1. 사건 아카이브의 시론적 연구 vol.51, pp.None, 2011, https://doi.org/10.20923/kjas.2017.51.175
  2. 민간 디지털 아카이브 수집정책 연구 vol.53,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17.53.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