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sychological Aspects of "Myeong-Dang" (Bright Yard, Auspicious Site) According to Pungsu

땅에 투사된 자기의 상징 - 명당의 분석심리학적 측면 -

  • Cheol Joong Kang (Department of Psychiatry, School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강철중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Received : 2011.04.25
  • Accepted : 2011.06.03
  • Published : 2011.06.25

Abstract

Pungsu is an ancient logic that systemizes geography based on th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Principle. It is defined as the unique and highly systemized ancient Eastern art of selecting auspicious sites and arranging harmonious structures such as graves, houses, and cities on them by evaluating the surrounding landscape and cosmological directions. Pungsu helps allegedly one improve life by receiving vital energy(Shengqi, 生氣)-energy flow that flows under the ground. It is traditional belief that the living lead their lives on the ground, indirectly receiving the energy coming out of the ground, whereas the dead are buried under the ground, allowing them to directly absorb energy from the ground, which makes Shengqi the dead receive bigger and more obvious than that the living receive. This energy absorbed by the dead from the ground was believed to be passed on to their descendants. This phenomenon is called "Induction of vital energy between Ancestors and Descendants". People searched for the sites which were believed to contain rich and positive vital energy flow. They also tried to bury their ancestors under such sites hoping to receive the Shengqi coming from underground which they believed would help them thrive and prosper. The efforts to locate the sites which have the most vital energy, auspicious sites or "Bright Yard(明堂)", are easily observed in Asia including China and Korea. The ultimate goal of searching for auspicious sites lies in human(whether alive or dead) receiving vital energy from the nature to enjoy happy lives. In choosing a place to live or to bury their dead ancestors, people tried to understand the energy flow of the site considering the factors related with mountain, water, and direction. If we take a closer look into the methods of finding auspicious sites, we can see that people have tried to see the outer conditions of lands, mountains and waters within the perfect harmony if possible. Auspicious site or Bright Yard is the site with those elements in perfect order and harmony, that is, it is the place which derives the most vital energy from the best order and harmony of nature. As this shows, an auspicious site symbolizes totality-the Self, and it seems to be projected to the land. It is believed to be an attempt that the reason why we try to find auspicious sites to internalize the totality that we projected to the outer world. Therefore, this auspicious site is what our foremost values, symbol of the Self, such as harmony, equilibrium, perfection, and uniqueness are reflected to the land. Through the process of finding such a site, we try to gain totality of psyche.

풍수는 음양오행설에 기초를 둔 주거지와 묏자리의 환경에 대한 체계이다. 풍수에서는 땅 속에 존재하는 생기의 흐름이 있다는 믿음을 전제로, 그 흐름을 중요시 하여 가능하면 그 생기를 잘 받을 수 있는 땅에 집터나 묘지를 만들고자 한다. 산 사람은 땅 위에 얹혀 살며 그 기운(생기)을 얻는 반면, 죽은 자는 땅 속에서 그 기운을 직접 받아들이기 때문에 산 사람 보다는 죽은 사람이 얻는 생기가 더 크고 확실하다고 믿는다. 이렇게 죽은 사람이 얻는 생기는 후손에게 그대로 이어진다고 여겼는데 이를 동기감응, 혹은 친자감응이라고 한다. 땅속의 기운이 좋은 곳을 찾아 살거나 혹은 그러한 곳에 조상의 뼈를 묻음으로써 후손들이 그 기운을 이어받아 후손들의 번영을 기원하는 것이다. 풍수에서 땅속의 생기를 잘 받을 수 있는 위치의 땅을 명당이라고 한다. 명당을 선정하는 방법에 대해 과거로부터 많은 경험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이 풍수의 이론이다. 최고의 자리라고 알려진 명당의 형국을 상징적으로 살펴보면, 사위와 원등으로 표현되는, 조화와 균형이라는 측면에서 전체성의 상징인 자기(Self)의 상징을 발견할 수 있다. 명당을 찾고자 하는 노력은 서양의 연금술사들이 최고의 물질인 금을 얻기 위해 행해온 것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명당은 우리 마음속의 최고의 가치인 조화와 균형, 완전성 그리고 전일성인 자기의 상이 땅에 투사된 것이다. 우리는 그것을 찾는 과정에서 우리 정신의 전체성을 추구하는 과정과 유사한 모습을 엿볼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08년도 부산대학교병원 임상연구비와 2007학년도 부산대학교 신임교수연구정착금 지원으로 이루어 졌음.

References

  1. 곽박(오상익 주해)(1993) : 장경, 동학사, 서울.
  2. 김열규(1971) : 한국민속과 문학연구, 일조각, 서울.
  3. 남만성 옮김(1996) : 노자 도덕경, (주)을유문화사, 서울.
  4. 무라야마 지쥰(최길성 옮김)(1992) : 조선의 풍수, 민음사, 서울.
  5. 스티스 톰슨(윤승준, 최광식 공역)(1992) : 설화학원론, 계명문화사, 서울.
  6. 아니엘라 야훼(이부영 역)(1989) : 회상, 꿈 그리고 사상, 집문당, 서울.
  7. 윤홍기(2001) : 왜 풍수는 중요한 연구주제인가? 대한지리학회지 36(4): 343-355.
  8. 융, CG(이부영 옮김)(1993) : 인간과 무의식의 상징, 집문당, 서울.
  9. 이도희(2005) : 한국의 전통상.장례 의례절차의 상징성, 심성연구 20(2): 65-156.
  10. 이부영(1998) : 분석심리학, 일조각, 서울.
  11. 이부영(2002) : 자기와 자기실현, 한길사, 서울.
  12. 최창조(1984) : 한국의 풍수사상, 민음사, 서울.
  13. 프란츠 칼 엔드레스, 안네마리 쉼멜(오석균 옮김)(1996) : 수의 신비와 마법, 고려원 미디어, 서울.
  14. 한국문화상징사전 편찬위원회(1992) : 한국문화상징사전 1권, 동아출판사, 서울.
  15. 한국문화상징사전 편찬위원회(1995) : 한국문화상징사전 2권, 동아출판사, 서울.
  16. Chevalier J, Gheerbrant A.(translated by Buchanan-Brown J)(1996) : The Penguin Dictionary of Symbols. Penguin Books, London.
  17. Cooper JC(1987) : An illustrated encyclopedia of traditional symbols Thames & Hudson, London.
  18. Jung CG(1953) : CW 12, Psychology and Alchemy, Routledge & Kegan Paul Ltd., London.
  19. Jung CG(1958) : CW 11, Psychology and Religion : West and East, Routledge & Kegan Paul Ltd., London.
  20. Jung CG(1959) : CW 9ii, Aion, Routledge & Kegan Paul Ltd., London.
  21. Jung CG(1960) : CW 8,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the Psyche, Routledge & Kagan Paul Ltd., London.
  22. Jung CG(1963) : CW 14, Mysterium Coniunctionis, Routledge & Kegan Paul Ltd., London.
  23. Jung CG(1964) : Man and His Symbols, A Laurel Book, New York.
  24. Jung CG(1970) : CW 10, Civilization in Transi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New York.
  25. Jung CG(1971) : CW 6, Psychological Types, Routledge & Kagan Paul Ltd., London.
  26. von Franz ML(1974) : Number and Time (Translated by Andrea Dykes),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Evanston.
  27. Xu, Shanji and Xu Shanshu(1969) : Dili-Renzixuezhi [The Fact that All Humanity Must Know], Hsin-chu, Chulin Shuchu.
  28. Yoon HK(2006) : The Culture of Fengshui in Korea, Lexington Books, Lanh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