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gital Image as Scientific Evidence: A Theoretical Inquiry of the Roles of Digital Technologies in Visualizing Risk

과학적 증거물로서 디지털 이미지: 위험의 시각화에서 디지털 영상기술의 역할과 위치

  • Kim, Soo-Chul (Soongsil University BrainKorea 21 Digital Media Division)
  • 김수철 (숭실대학교 미디어학부 BK)
  • Received : 2011.02.28
  • Accepted : 2011.04.29
  • Published : 2011.05.15

Abstract

This paper is a theoretical inquiry of the changing roles of digital technologies in the representation of risk. Critically examining existing perspectives on risk society and risk communication, this paper argues that digital technologies and images in risk communication have been relatively understudied. Having said that, this paper suggests that Actor-network Theory provide useful theoretical tools for current studies on how digital technologies affect contemporary risk communication practices. Furthermore, this paper examines varied recent studies investigating how digital technologies of visualization are at play in risk communication practices. In doing so, this paper demonstrates how digital images and technologies interrupt the processes that scientific evidence is presented and facts are constructed in varied contemporary scientific reasoning. It will focus on the emerging mode of seeing and visual regime made possible by the increased usage of digital image and technologies, which are characterized by networked connection, sensor, computerized algorithm, and increased storage space. Finally this paper will discuss on the implications on future studies on the roles of digital images and technologies in risk communication practices in Korean context.

이 논문은 위험 커뮤니케이션에서 디지털 이미지 및 영상 기술의 역할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다. 구체적으로 행위자네트워크이론(Actor-network Theory)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이 논문은 이 이론이 디지털 영상 기술과 그에 따라 변화하는 영상 문법의 역할, 그리고 현재의 시각 문화와 시각 체제에 미치는 구체적인 결과를 적절하게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 단초를 제공해주고 있음을 주장한다. 다음으로 이 논문은 과학적 증거 제시 및 설명 과정에서 디지털 영상 기술이 차지하고 있는 역할에 대한 최근의 논의를 살펴본다. 컴퓨터 네트워크와의 연결성, 센서 시스템, 컴퓨터 알고리즘, 증대된 저장 용량 등으로 특징지어지는 디지털 영상기술이 어떠한 종류의 새로운 바라보기(seeing)를 가능하게 하며 이는 기존의 과학적 설명 방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가 토론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이상의 논의가 한국 사회에서의 위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대한 연구에 지니는 함의에 대하여 토론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