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네온컬러를 활용한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Utilizing Neon Color

  • 투고 : 2011.01.04
  • 심사 : 2011.01.31
  • 발행 : 2011.02.28

초록

21C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TV나 영화, 잡지,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나 영상물은 이제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이다. 시대가 바뀌고 무한한 정보의 공유와 기계의 발전으로 인해 유행과 사상이 빠르게 전달되고 있으며, 좀 더 감각적이고 자극적인 것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 주위에는 마치 공기처럼 특별한 존재감 없이 인간의 식별능력을 넘어선 수많은 색(컬러)이 있다. 이러한 컬러는 시각문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되고, 그 시대의 트렌드(trend)를 가장 빠르게 반영하게 된다. 바로 이 점에서 최근 각광받고 있는 네온컬러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여러 선행 연구에서 컬러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네온컬러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 지지 않고 있어 네온컬러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와 같이 시각문화 속에서의 컬러의 중요성과 그 심리를 파악하며 네온컬러의 특성과 시각문화가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내고 그것을 어떻게 미술교육에 응용하여 실연(實演)할 것인가를 연구 하였다.

For us who live in the 21 century, a variety of media and videos such as TV, movies, magazines, internet, etc. have now become indispensable entities. Because of changing age, unlimited sharing of information, and development of machines, fashion and ideas are rapidly conveyed and theres is also a tendency to seek after more sense based and stimulating things. Around us, there are innumerable colors which do not seem to have any special presence like the air and go beyond human ability to identify them. Such colors exert direct influence upon the visual culture and most rapidly reflect that age's trend. It is precisely from this perspective that the importance of neon colors, which have recently received the spotlight, have emerged in a magnified way. Yet, although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colors by earlier studies,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neon colors and as such, I felt the need for a study of neon col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psychology of colors within the visual culture, discover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neon colors and the visual culture, and seek ways to demonstrate it by applying it to art edu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Ingrid Riedel, 色의 신비, 학지사, 2006.
  2. 백낙선, 마음으로 읽는 색채심리, 미진사, 2010.
  3. 김민경, 튀는 색깔이 뜨는 인생을 만든다, 명진출판, p.73, 1999.
  4. 하워드 선/도로시 선, 내 삶에 색을 입히자, 예경, p.77, 2003.
  5. http://www.istyle24.com/Zine/ZineView.aspx?BoardNo=3575
  6. http://www.design.co.kr/section/news_detail.html?info_id=42874&category=000000000002&pageno=1
  7. http://biz.heraldm.com/common/Detail.jsp?newsMLId=20100730000632
  8. 이화식, 미술교육, 참교육과미래, 2008.
  9. 윤혜림, 색채심리 마케팅과 배색이론, 도서출판 국제, 2008.
  10.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79호에 따른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IV)-미술, 교육과학기술부, 2007.
  11. http://blog.naver.com/eyaki28?Redirect=Log&logNo=110026121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