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ost-Colonial Significance of the Mimicry and Translation in The Host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본 [괴물]의 영화적 모방과 번역의 의미

  • Received : 2010.12.30
  • Accepted : 2011.02.21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is article attenpts to analyze, from the perspective of post-colonialism, 'Goemul'(English title, The Host), the Korean blockbuster movie that scored the greatest box-office succes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inema. As Goemul eagerly copies the monster movie, a representative genre of Hollywood movies, it has close affinity with Hollywood blockbuster movie in many repects. At the same time, however, it also contains a resistance discourse that criticizes and mocks colonial of Korean society under American influences. This movie successfully carries out a post-colonial cultural translation that transforms mimicry into resistance to colonialsim. Hence, this artcle focuses on how Goemul borrows many aspects of the Hollywood monster movie but goes beyond the simple copying of it to reach post-colonial signification subverting the existing cultural regime.

이 논문은 한국형 블록버스터로서 역대 최다 흥행 기록을 세운 영화, [괴물]을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분석해보고자 한다. [괴물]은 할리우드의 대표적 장르인 괴수 영화를 적극적으로 모방함으로서 한국 영화중에서도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와 유사한 면모를 많이 지닌 영화라 할 수 있다. 그러면서도 동시에 [괴물]은 미국 영향 아래 있는 현재의 한국적 식민 상황을 비판하고 조롱하는 저항 담론이 살아 있는 한국영화이기도 하다. [괴물]은 이전에 만들어진 한국형 블록버스터 영화들과는 차별화된 방식으로 모방을 식민주의에 대한 저항으로 확장시키는 탈식민적 문화번역에 성공한 영화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영화 [괴물]이 할리우드 괴수 영화를 차용하면서도 이 차용이 단순한 흉내 내기에 머물지 않고 식민 지배를 전복시키는 탈식민적 의미작용으로 어떻게 확장되고 있는가에 역점을 둘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Annette Kuhn, ed. Alien Zone: Cultural, Theory and Contemporary Science Fiction Cinema, Verso, 1990.
  2. Babara Creed, The Monstrous-Feminine:Film,Feminism, Psychoanalysis, Routledge, 1993.
  3. Barbara Creed, The Monstrous-Feminine:Film,Feminism, Psychoanalysis, Routledge, pp.8-30, 1993.
  4. 켈리 올리버, 크리스테바 읽기, 박재열 옮김, 시와 반시, pp.91-100, 1997.
  5. 켈리 올리버, 크리스테바 읽기, 박재열 옮김, 시와 반시, pp.14-15, 1997.
  6. 호미 바바, 문화의 위치: 탈식민주의 문화 이론, 나병철 옮김, 소명 출판, 178-79면, 2005.
  7. 호미 바바, 문화의 위치: 탈식민주의 문화 이론, 나병철 옮김, 소명 출판, p.229, 2005.
  8. 호미 바바, 문화의 위치: 탈식민주의 문화 이론, 나병철 옮김, 소명 출판, p.230, 2005.
  9. 호미 바바, 문화의 위치: 탈식민주의 문화 이론, 나병철 옮김, 소명 출판, p.226, 2005.
  10. 호미 바바, 문화의 위치: 탈식민주의 문화 이론, 나병철 옮김, 소명 출판, p.130, 2005.
  11. 호미 바바, 문화의 위치: 탈식민주의 문화 이론, 나병철 옮김, 소명 출판, pp.132-133, 2005.
  12. 호미 바바, 문화의 위치: 탈식민주의 문화 이론, 나병철 옮김, 소명 출판, p.228, 2005.
  13. 나병철, “역자 서문”, 문화의 위치: 탈식민주의 문화 이론
  14. 박상기, “탈식민주의 양가성과 혼성성”, 탈식민주의: 이론과 쟁점
  15. 호미 바바, 문화의 위치: 탈식민주의 문화 이론, 나병철 옮김, 소명 출판, p.319, 2005.
  16. 호미 바바, 문화의 위치: 탈식민주의 문화 이론, 나병철 옮김, 소명 출판, p.430, 2005.
  17. 호미 바바, 문화의 위치: 탈식민주의 문화 이론, 나병철 옮김, 소명 출판, pp.425-426, 2005.
  18. 박선주, "문학언어에서 영상언어로: '번역'의 관점에서 바라본 문학작품의 영화적 변용", 문학과 영상, 제8권, 2호, 문학과 영상학회, p.161, 2007.
  19. 호미 바바, 문화의 위치: 탈식민주의 문화 이론, 나병철 옮김, 소명 출판, p.432, 2005.
  20. 호미 바바, 문화의 위치: 탈식민주의 문화 이론, 나병철 옮김, 소명 출판, p.433, 2005.
  21. Gayatri Spivak, "The Politics of Translation", Destabilizing Theory: Contemporary Feminist Debates, Ed. Michele Barrett and Anne Philips. Cambridge: Polity, 1992, p.179.
  22. 박선주, "문학언어에서 영상언어로: '번역'의 관점에서 바라본 문학작품의 영화적 변용", 문학과 영상, 제8권, 2호, 문학과 영상학회, 162면,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