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pplication of Free Water Surface Constructed Wetland for NPS Control in Livestock Watershed Area

축산단지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자유수면형 인공습지 적용

  • 이정용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 강창국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 이소영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 김이형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1.06.17
  • Accepted : 2011.10.14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Various development activities have lead to the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such as natural wetlands. In order to protect these natural wetland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OE) in Korea enacted the Wetland Conservation Act in 1999 and designated protected areas for wetland conservation. The MOE adapted the use of Best Management Practices (BMP) such as retention ponds and constructed wetlands to treat the polluted water before entering the water system. One of these projects was a free-water surface flow (FWS) constructed wetland built as a secondary treatment unit for piggery wastewater effluent coming from a livestock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Water quality monitoring for the constructed wetland was conducted during rainfall ev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removal efficiencies of TSS, BOD, TN, TP were 86, 60, 45, 70%, respectively. It was observed that the removal efficiency of particulate matter and phosphorus was high compared to nitrogen. Therefore, a longer hydraulic retention time was needed in order to improve the treatment efficiency of nitroge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wetland design,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constructed wetlands.

금강수계의 논산 양지리에 위치한 인공습지는 축산폐수처리시설에서 방류되는 처리수의 추가처리와 함께 강우시 유역에서 유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본 시설은 2008년 설치된 이후부터 시설검증을 위한 모니터링을 수행중에 있으며 본 연구결과는 시설의 설치 직후로부터 1년간의 모니터링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모니터링 결과, 평균 오염물질 저감효율은 TSS가 86%, BOD가 60%, TN은 45%, TP의 경우 70%로 산정되었다. 대부분의 모니터링에서 입자상 물질과 인의 평균 저감효율이 60% 이상의 높은 저감효율을 보이는 반면 질소의 경우 축산폐수의 높은 질소농도에 비해 낮은 유기물 농도에 의하여 낮은 저감효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유출수내 질소제거능 향상을 위해서는 긴 수리학적 체류시간 및 추가적 DO공급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이형, 강주현, 강우 시 발생하는 고속도로 유출수의 초기우수 특성 및 기준, 한국물환경학회지, Vol. 20, No. 6, pp. 641-646, 2004a.
  2. 김이형, 강주현, 고속도로 강우 유출수내 오염물질의 EMC 및 부하량 원단위 산정, 한국물환경학회지, Vol. 20, No. 6, pp. 631-640, 2004b.
  3. 농림부, 농업용수 수질개선을 위한 인공습지 설계.관리 요령, 농업기반공사, 2004.
  4. 박재홍, 최의소, 조일형, 인공습지를 이용한 축산폐수의 처리, 한국물환경학회지, Vol. 20, No. 2, pp. 157-162, 2004.
  5. 신재석, 김성철, 조광주, 최충호, 최인욱, 박정자, 박구현, 바이오산업폐수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Hybrid 인공습지 시스템의 적용가능성 연구, 한국습지학회지, Vol. 11, No. 1, pp. 115-121, 2009.
  6. 이상돈, 우리나라 습지 보전 현황과 향후 관리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습지학회지, Vol. 5, No. 1, pp. 1-13, 2003.
  7. 이소영, Marla C. M., 최지연, 김이형, 축사 유역관리를 위한 인공습지의 정화능력평가, 한국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발표논문 초록집, pp. 222, 2009.
  8. 정용준, 하수종말처리장 방류수와 비점오염원 처리를 위한 주암호 인공습지 2년 운영사례, 한국물환경학회지, Vol. 22, No. 6, pp. 1031-1037, 2006.
  9. 최선화, 안열, 김호일, 인공습지의 수질정화효율 평가,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 349-356, 2006.
  10. 환경부, 비점오염원관리업무편람, 2006.
  11. 환경부,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설치 및 관리 운영 매뉴얼, 2008.
  12. 환경부, 금강수계 비점오염저감시설 모니터링 및 유지관리 보고서, 2009.
  13. Haberl, R., Constructed wetlands: A Chance to Solve Wastewater Problems in Developing Countries, Wat. Sci. Tech., Vol. 40, pp. 11-17, 1999.
  14. Mitsch, William J., Xinyuan Wu, Robert W. Nairn, Paul E. Weihe, Naiming Wang, Robert Deal, and Charles E. Boucher., Creating and restoring wetlands: A whole-ecosystem experiment in self-design. Bioscience, Vol. 48, No. 12, pp. 1019-1030, 1998. https://doi.org/10.2307/1313458
  15. Mitsch, W. J., Development of Macrophyte Communities and Subsequent Ecosystem Function in Two Created Wetlands: A Whole-Ecosystem Experiment, In proceedings of the Nanjing International Wetlands symposium, Society of wetlands scientists, Nanjing, pp. 55-65,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