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Pesticide Residues in Leafy Vegetables Collected from Wholesale and Traditional Markets in Cheongju

청주지역 도매시장과 재래시장 유통 엽채류 중 농약의 잔류 특성

  • Noh, Hyun-H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 Biologic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Life and Environment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Kwang-H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 Biologic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Life and Environment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Jae-Y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 Biologic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Life and Environment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Park, Hyo-Kyou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 Biologic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Life and Environment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Park, So-Hy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 Biologic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Life and Environment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Sun-H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 Biologic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Life and Environment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yung, Kee-Su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 Biologic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Life and Environment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노현호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
  • 이광헌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
  • 이재윤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
  • 박효경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
  • 박소현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
  • 김선호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
  • 경기성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 Received : 2011.12.05
  • Accepted : 2011.12.17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residual characteristics of pesticides and assess their safety. Nineteen agricultural commodities, collected from wholesale and traditional markets in Cheongju. Nineteen agricultural commodities including perilla leaves were collected from the markets on October 29th, 2010. Total 240 pesticides which can be analyzed by multiresidue analysis method by GLC and HPLC were monitored and the pesticides detected were confirmed by GC-MSD and LC-MS. Five pesticides, alachlor, bifenthrin, endosulfan, procymidone and triflumizole, were detected from five samples, such as welsh onion, leek and celery in case of wholesale market and perilla leaves and welsh onion in case of traditional market. Detection rate of 13.2% was obtained as a result of pesticide analysis but 2.6% of the pesticides detected exceeded their maximum residue limits. The estimated daily intakes (EDIs) and maximum permissible intakes (MPIs) of the pesticides detected were less than 26% and 0.05% of their acceptable daily intakes (ADIs) respectively, representing that residue levels of the pesticides detected would be safe.

청주지역 소재 도매시장과 재래시장에서 유통 중인 농산물 중 농약의 잔류 특성을 조사하고 검출농약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도매시장과 재래시장에서 총 38점의 농산물을 채취한 후 240종의 농약을 대상으로 GLC, HPLC 및 GC-MSD를 이용한 다성분동시분석법으로 농산물 중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잔류농약 분석 결과 도매시장에서 채취한 대파에서 alachlor, 부추에서 endosulfan, 셀러리에서 procymidone이 검출되었으며, 재래시장의 경우 깻잎에서 bifenthrin, 대파에서 triflumizole이 검출되어 13.2%의 검출율을 보였지만 잔류허용기준 초과율은 검출 농약의 2.6%이었다. 검출된 농약의 일일섭취추정량(EDI)과 최대섭취허용량(MPI)은 각각 일일섭취허용량(ADI)의 26%와 0.05% 미만으로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European commission (2002)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 in products of plant origin in the european union.
  2. European commission (2003)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 in products of plant origin in the european union.
  3. European Commission (2004)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products of plant origin in the European Union, Norway, Iceland and Liechtenstein 2002 Report, SANCO/17/04 final.
  4.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1)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Pesticide Program, Residue Monitoring.
  5. U.S FDA (2002)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pesticide program, residue monitoring 2001 report.
  6.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06) 2005년 농산물 안전성 조사 결과.
  7.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09) 2008년 농산물 안전성 조사 결과.
  8.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10) 잔류농약 분석법 편람.
  9. 김미라, 나미애, 정우영, 감창수, 선남규, 서은채, 이은미, 박유경, 변정아, 엄준호, 정래석, 이진하 (2008) 지역특산품 중 잔류농약 실태조사, 농약과학회지 12(4):323-334.
  10. 김성훈, 최원조, 백용규, 김우성 (2008) 국내유통농산물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안전성 평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2(4):323-334.
  11. 남혜선, 최용훈, 윤상현, 홍혜미, 박용춘, 이진하, 강윤숙, 이종옥, 안영순, 홍영표, 김희연 (2006) 유통중인 농산물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한국식품과학회지 38(3):317-324.
  12. 도정아, 이희정, 신용운, 최원조, 채갑용, 강찬순, 김우성 (2010) 국내 유통 농산물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9(6):902-908.
  13. 박병준, 손경애, 백민경, 김진배, 권혜영, 홍수명, 임건재, 홍무기 (2010) 과채류 중 Neonicotinoid계 농약의 모니터링 및 인체노출평가, 농약과학회지 14(2)104-109.
  14. 박소연, 정지강, 강정미, 김소희, 양지영, 강순아, 전혜경, 박건영 (2009) 연중 시중유통 배추에서의 160가지 농약의 잔류실태 모니터링,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8(7):970-975.
  15. 보건복지부 (2006)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2005), 영양조사(1).
  16. 승형정, 박성규, 하광태, 김욱희, 최영희, 김시정, 이경아, 장정임, 조한빈, 최병현 (2009) 서울특별시 강북지역 유통 농산물 중 농약 잔류실태조사(2008),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4(4):357-367.
  17. 식품의약품안전청 (2004) 식품 중 동시다성분 분석법 개선 연구.
  18. 식품의약품안전청 (2006) 농산물 중 중금속 실태 조사.
  19. 식품의약품안전청 (2008) 식품공전 (제II권) pp.10-9-1-1 - 10-15-5-52.
  20. 식품의약품안전청 (2009) 식품의 농약 잔류허용기준.
  21. 양승태, 손진창, 정광현, 이창일, 김미정, 박희숙, 차춘근 (2009) 경상북도 내 유통 농산물 중의 잔류농약 동향(2004-2008),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4(4):338-347.
  22. 양용식, 서정미, 김종필, 오무술, 정재근, 김은선 (2006) 광주지역에서 유통되고 있는 수입 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조사, 보건환경연구원보 21(2):52-59.
  23. 이주영, 최원조, 이희정, 신용운, 도정아, 김우성, 최종미, 채갑용, 강찬순 (2010) 2009년 유통 농산물 중 잔류농약 실태조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5(2):192-202.
  24. 전종섭, 권문주, 오세홍, 남화정, 김혜영, 고종명, 김용희 (2006) 인천광역시 유통 농산물의 최근 3년간의 잔류농약 실태 조사연구, 한국환경농학회지 25(2):180-89.
  25. 채갑용, 이영자, 이종옥, 김우성, 김소희, 강윤숙, 이선화, 김상엽, 정동윤, 김형수, 김영탁, 김홍표, 최재천, 마정애, 최희주, 김양선, 남혜선, 치용훈, 이진하, 오해성, 윤상현, 홍혜미, 이주연, 최수영, 방옥균, 안상회 (2004) 식품의 농약 잔류실태조사 및 안전성 평가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청연구보고서 8(2):1960-1968.
  26. 한국작물보호협회 (2009) 농약사용지침서, p.262, pp.323-326.
  27. 홍무기, 원경풍, 황인균, 최동미, 이강봉, 오금순, 허수정, 서정혁, 임무혁, 정석윤, 유정림, 이경진, 이은경 (2002) 식품중 잔류농약 모니터링-소면적 재배 채소류, 견과 종실류, 콩류 및 서류를 대상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청연구보고서 6:67-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