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정보탐색을 위한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사용용이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소비자특성을 중심으로

The Exploratory Study on the Easiness of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s for Searching Food Service Information: Focusing on Consumer Characteristics

  • 김기진 (우석대학교 외식산업조리학과) ;
  • 이보순 (우석대학교 외식산업조리학과)
  • Kim, Gi-Jin (Department of Food Service & Culinary, Woosuk University) ;
  • Lee, Bo-Soon (Department of Food Service & Culinary, Woosuk University)
  • 투고 : 2011.08.31
  • 심사 : 2011.12.13
  • 발행 : 2011.12.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 특성에 따라서 외식정보탐색을 위한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속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목적을 살펴보면, 외식정보탐색을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용이성 속성에 대해 살펴보고, 그 속성의 중요도 순위를 살펴보며, 사용용이성 구성개념들 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다. 아울러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사용용이성 속성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대구 경북, 부산 경남의 3개 지역에 거주하는 스마트폰 이용자를 중심으로 표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11년 1월 3일부터 2011년 2월 3일까지 1개월 동안 이루어졌고, 총 264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응답자들은 사용용이성의 측정항목 중 음식점을 찾는 기능, 음식점 추천, 인기 순 정렬 등의 기능들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도출된 요인들 중 외식업체 선택용이성과 커뮤니케이션 기능이 높은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거주 지역에 따라서 외식업체 검색 기능, 실용성, 외식업체 선택용이성, 커뮤니케이션, 메뉴 선택용이성 등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the exploratory study on the easiness of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s for searching food service information based on consumer characteristics. Examining the attributes of the easiness of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s for searching food service information, this study checks the order of priority in the attributes and analyzes the correlation among the constructs of easiness of use, along with the difference in easiness of use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the users of smart phones who live in 3 areas such as Seoul/Kyongki, Daegu/Kyongbuk, and Busan/Kyongnam from Jan. 3-Feb. 3, 2011, and total 264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spondents considered the functions of searching restaurants, recommended restaurants, and the popularity list more important among the measurement items of easiness of use, and there was high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asiness to select restaurants and communication functions among all the factors draw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unction of searching restaurants, practicality, the easiness to select restaurants, communication, and the easiness to select menu on area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