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Damage Assessment Caused by Hydrogen Gas Leak in Tube Trailer Storage Facilities

수소 Tube Trailer 저장시설에서의 수소가스 누출에 따른 사고피해예측에 관한 연구

  • 김종락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재난과학과) ;
  • 황성민 (인천대학교 대학원 안전공학과) ;
  • 윤명오 (서울시립대학교 재난과학과)
  • Received : 2011.06.14
  • Accepted : 2011.12.09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As the using rate of an explosive gas has been increased in the industrial site, the regional residents adjacent to the site as well as the site workers have frequently fallen into a dangerous situation. Damage caused by accident in the process using hydrogen gas is not confined only to the relevant process, but also is linked to a large scale of fire or explosion and it bring about heavy casualties. Therefore, personnel in charge should investigate the kinds and causes of the accident, forecast the scale of damage and also, shall establish and manage safety countermeasures. We, in Anti-Calamity Research Center, forecasted the scope of danger if break out a fire or/and explosion in hydrogen gas facilities of MLCC firing process. We selected piping leak accident, which is the most frequent accident case based on an actual analysis of accident data occurred. We select and apply piping leak accident which is the most frequent case based on an actual accident data as a model of damage forecasting scenario caused by accident. A jet fire breaks out if hydrogen gas leaks through pipe size of 10 mm ${\Phi}$ under pressure of 120 bar, and in case of $4kw/m^2$ of radiation level, the radiation heat can produce an effect on up to distance of maximum 12.45 meter. Herein, we are going to recommend safety security and countermeasures for improvement through forecasting of accident damages.

산업현장에서 폭발성가스의 사용이 꾸준이 증가 함에 따라 작업자는 물론 일반지역주민들에까지 사고로 인한 생명에 위험을 처하기도 한다. 수소사용공정에서의 사고피해는 공정자체에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대형화재나 폭발로 이어져 다수의 사상자를 유발시키므로 사고의 유형과 원인을 규명하고 피해규모를 예측하여 이에 대한 안전대책을 수립,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MLCC(Multi Layer Ceramic Capacitor) 소성공정의 수소저장 사용시설에서 화재 폭발시 위험범위를 예측하였다. 실제 사고데이터의 분석결과 사고발생빈도가 가장 많은 배관누출에 대하여 사고 피해예측 시나리오 모델로 선정, 적용하였다. 10 mm Hole에서 120 Bar의 압력으로 수소가스 누출시 Jet fire가 발생되며 Radiation Level 4($kw/m^2$)의 경우 최대 12.45 m까지 복사열의 영향을 주었다. 또한 사고피해 예측을 통한 안전성확보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CCPS, "Guidelines for Chemical Process Quantitative Risk Analysis", Second Edition(2000).
  2. CCPS, "Guideline for Chemical Process Quantitative Risk Analysis", New York, pp.267-276(2000).
  3. CCPS, "Guidelines for Vapor Cloud Dispersion Models", Second Edition(1996).
  4. CCPS, "Evaluation the Characteristics of Vapor Cloud Explosions Flash Fire and BLEVES"(1994).
  5. NASA, Safety Standard for Hydrogen and Hydrogen Systems(1997).
  6. NFPA 52, "Compressed Natural Gas Vehicular Fuel Systems"(1998).
  7. NFPA 30A, "Code for Fuel Dispensing Facilities and Repair Garages"(2003).NFPA 50A. Standards for Gaseous Hydrogen Systems at Consumer Sites(1999).
  8. NFPA 50A. Standards for Gaseous Hydrogen Systems at Consumer Sites(1999).
  9. FM Global Property Loss Prevention Data sheet 7- 91, Hydrogen(2000).
  10. SFPE, "The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Second Edition.
  11. Shell Hydrogen Co., Safety Considerations in Retailing Hydrogen(2002).
  12.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에 의한 시행규칙.
  13. 김종락,김기범, "삼성전기 MLCC 소성공정 공정안전 관리보고서", 삼성전기 녹색경영그룹 공정안전(2010).
  14. 이지은, "화학공장에서 에틸렌 누출에 따른 중대산업 사고 피해 예측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2010).
  15. 하동명, 정기신, 이성진, 조용선, 윤명오, "가솔린탱크의 위험성평가를 위한 노말헵탄의 연소특성치 측정 및 고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24, No.6 (2010).
  16. 하장호, 김인식, 정우영, "화재발생시 직류 플래시오버 특성에 미치는 연소화염의 영향",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17, No.2(2003).
  17.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Kosha Code D-23-2002; 수소저장설비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 등"(2004).
  18.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Kosha-Code D-42-2006; 화학공장의 피해 최소화에 대한 기술지침"(2006).
  19.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Kosha Code P-14-2000; 누출원 모델링에 관한 기술지침"(2004).
  20.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Kosha Code P-31-2001; 사고피해 예측기법"(2004).
  21.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Kosha Code P-37-2000; 최악의 누출시나리오에 기술지침"(2004).
  22.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중대산업사고사례집", pp.5- 15(2010).
  23.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KoshaCode D-39-2005; 벤트스텍의 공정설계 지침 등"(2005).
  24. 황인선, "Model Development of Risk Assessment for CNG Tube Trailers",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