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진출 한국기업 물류관리자의 자격요건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Assessment of Competency Requirements for Logistics Managers in China

  • 홍의 (광운대학교 동북아통상학부) ;
  • 김진수 (유니코로지스틱스(주))
  • 투고 : 2011.11.19
  • 심사 : 2011.12.16
  • 발행 : 2011.12.27

초록

본 연구는 물류관리자들이 갖추어야할 기술 및 자격요건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중국에 진출해 있는 국내기업의 물류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에 사용할 총 43개의 항목을 문헌연구 및 전문가집단과의 토의를 거쳐 추출하였고, 요인분석을 통해 이 항목들을 특성별로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연구에 사용하였다. 조사 결과, 공급체인에 관한 인식정도, 의사결정능력, 분석능력, 의사소통스킬, 공급체인의 비용에 관한 지식, 대인관계기술, 정보흐름의 통합능력 등을 포함하는 물류계획그룹의 항목들이 가장 중요한 물류관리자의 자격요건인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회수물류의 기술이나 환경관련 법규의 파악정도 등이 포함된 환경인식그룹의 항목들은 그 중요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는 요인분석 결과 선택된 총 23개 항목 중 물류관리자들의 업무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진 것은 14개로 전체의 61% 정도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물류업계로 진출하기 희망하는 미래의 물류인, 물류를 전공하고 있는 학생들, 이들을 지도하는 학자들 그리고 중국시장 진출을 계획하는 기업들에게 흥미로운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한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상위에 랭크된 요건들을 갖추고 있는 관리자들을 중국으로 파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업 내 교육훈련프로그램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현재 혹은 잠재적 물류관리자들이 자신들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떤 부분에 노력을 경주해야 하는지 판단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competencies required by logistics managers or supply chain managers in China. And this research also attempts to show their relative importance and key knowledge areas that require improvement. Using a survey questionnaire, data was collected against forty three logistics and supply chain management skills or competencies, which were then grouped into four categories and analys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supply chain awareness, ability to make decisions, analytical skill, communication skill, supply chain cost, people skill, and integration of internal or external information flow which belong to logistics planning group a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Competencies for effective and efficient logistics functioning. On the other hand, reverse logistics and IATA regulations from environmental awareness group show little influence on logistics managers for improving their logistics performances. The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a variety of parties including prospective logisticians, students, teachers and companies considering expanding their business to Chinese market. For example, the results permit companies to employ appropriate logistics managers who are qualified with sufficient skills and competencies suggested in this research. In the case of practitioners, the results provide a benchmark for comparison with their current level of abilities and suggested competenc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