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 운전자에 의한 보행자-차량 교통사고의 심각도 영향 요인 분석

Factors Affecting Injury Severity in Pedestrian-Vehicle Crash by Novice Driver

  • 최새로나 (한양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 박준형 (한국교통연구원 글로벌녹색융합연구본부) ;
  • 오철 (한양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투고 : 2011.03.07
  • 심사 : 2011.07.04
  • 발행 : 2011.08.31

초록

교통사고는 단일요인에 의해 발생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교통사고의 사후분석시 명확한 인과관계를 규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보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를 대상으로 교통사고의 심각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사고발생 시 인명피해가 큰 보행자-차량 교통사고의 사고 심각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사고 심각도의 증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성별, 연령, 교통법규위반 횟수, 교통사고위치 등의 운전자 특성에 관련된 각종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운전자 운전 경력에 따라 분류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BLR)을 적용하여 운전경력별 사고심각도 영향 요인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운전경력 그룹에 관계없이 운전자 연령, 교통법규위반 횟수, 교통사고위치가 보행자-차량 교통사고 심각도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통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운전자 특성은 향후 운전자 인적 특성과 더불어 도로환경 및 차량관련 요소에 관련된 교통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Since a variety of factors are associated with crash occurrence, the analysis of causes of crash is a hard task for traffic researchers and engineers. Among contributing factors leading to crash, the characteristics of driver is of keen interest.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severity of pedestrian in the collision between pedestrian and vehicle. In particular, our analyses were focused on the novice driver.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technique was adopted for the analyses. The results showed that driver's age, crash location, and the frequency of violations were dominant factors for the severity.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seful information for deffective policy- and education-based countermeasures.

키워드

참고문헌

  1. 명묘희․김광식(2008), "위법운전자에 대한 제재수준과 정책수단 선택의 교통안전효과 비교", 대한교통학회지, 제26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89-100.
  2. 박영욱(2001), "초보운전자 관리제도에 관한 연구", 교통안전연구논집, 제20호, pp.33-49.
  3. 신용균․류준범․강수철(2007), "난폭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대한교통학회지, 제25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89-98.
  4. 유근영(1996), "의학 보건학을 위한 범주형자료분석론", 서울대학교출판부.
  5. 임강원(2008), "우리나라 초보운전자의 교통사고 특성", 교통안전연구논집, 제12권, pp.21-34.
  6. 이현주(2007), "운전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운전행동의 차이 및 법규위반횟수에 대한 인과관계 분석", 대한토목학회지, 제25권 제2호, 대한토목학회, pp.39-50.
  7. 하태준 외 2명(2003), "신호교차로 보행자교통사고 특성과 방지대책에 관한 연구(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2002년도 대한토목학회, 대한토목학회, pp.53-56.
  8. A. James McKnight et al.(2003), "Young novice drivers: careless or clueles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5, pp.921-925. https://doi.org/10.1016/S0001-4575(02)00100-8
  9. Anders Nyberget al.(2007), "Practicing for and performance on drivers license tests in relation to gender differences in crash involvement among novice drivers", Journal of Safety Research, Vol. 38, pp.71-80. https://doi.org/10.1016/j.jsr.2007.01.001
  10. Carlo Giacomo Prato et al.(2010), "Modeling the behavior of novice young drivers during the first year after licensure",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0. 42, pp.480-486. https://doi.org/10.1016/j.aap.2009.09.011
  11. Daniel R. Mayhew et al.(2003), "Changes in collision rates among novice drivers during the first months of driving",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5, pp.683-691. https://doi.org/10.1016/S0001-4575(02)00047-7
  12. Divid F. Preusser(2006), "The Novice Driver Problem", Transportation Research E-Circular, Issue E-C101, pp.2-3.
  13. Evans Leonard(1991), "Traffic safety and the driver" Van Nostrand Reinhold
  14. Fridulv Sagberg et al.(2006), "Hazard perception and driving experience among novice driver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38, pp.407-414. https://doi.org/10.1016/j.aap.2005.10.014
  15. Hamish A. Deery(1999), "Hazard and Risk Perception among Young Novice Drivers", Journal of Safety Research, Vol. 30, pp.225-236. https://doi.org/10.1016/S0022-4375(99)00018-3
  16. J. Gabriel Molina et al.(2007), "Post-license education for novice drivers: Evaluation of a training programme implemented in Spain", Journal of Safety Research, Vol. 38, Issue 3, pp.357-366. https://doi.org/10.1016/j.jsr.2006.10.010
  17. Peter Chapman et al.(2002), "Visual search patterns in trained and untrained novice driver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F Vol. 5, pp.157-167. https://doi.org/10.1016/S1369-8478(02)00014-1
  18. Sirkku Laapotti et al.(2001), "Novice drivers' accidents and violations-a failure on higher or lower hierarchical levels of driving behaviour",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33, pp.759-769. https://doi.org/10.1016/S0001-4575(00)00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