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rovements for the Altitude Criteria related to the Adaptive Reuse Permission on Mountains District -with special emphasis on 'Management of Mountains District Act' and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산지전용허가 표고기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산지관리법'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 노현우 (수원대학교 국토미래연구소) ;
  • 최형석 (수원대학교 도시.부동산개발학과)
  • Received : 2011.08.10
  • Accepted : 2011.09.06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altitude criteria of 'Management of Mountains District Act' and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are different because the adaptive reuse permissions on mountains district by two acts have been operated individually and each criteria has some problems for applicati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proposals for improvements of altitude criteria by two acts. The altitude criteria of the duel legal systems were researched by literature review and inherent issues were derived by interview with public officers and GIS tools applied to ca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duel criteria systems need to be integrated based on the format by 'Management of Mountains District Act'. Second, the criteria index(50/100) by 'Management of Mountains District Act' need to be adjusted due to the preserved area ratio in mountains district and the each definition of 'the peak point of the mountain' and 'the tail of the mountain' can be changed as 'the highest point within the same slope(including ridge)' and as 'the average of the highest and the lowest point on boundary between the mountain district and the other land use district'. Third, the method of slope division may be determined by the conditions of local areas and the discrepancy between the two slopes in common boundaries must be adjusted. Finally, the maps containing preservation areas and development areas need to be notified.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산림과학원, 2007, 평균경사도 산출 및 능선구분 프로그램, 39.
  2. 국립산림과학원, 2009, 산지전용허가 기준의 개선방안, 71.
  3. 국토연구원, 2005, 계획적 국토관리를 위한 산지관리제도의 개선방향, 114.
  4. 국토연구원, 2006, 도시관리계획의 토지이용관리기능 제고방안 연구, 11.
  5. 김기호, 1996, 게쉬탈트 이론을 적용한 도시경관관리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논문집(국토계획), 31(3), 143-157.
  6. 김영도, 2010, 산지전용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1-78.
  7. 김태경, 김제국, 권대한, 2007, 개발행위허가제도 운용실태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논문집(국토계획), 42(3), 51.
  8. 박영규, 2002, 환경친화적 산지개발의 기준과 지표 설정에 관한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법제처, 2010, 자치법규 도시계획조례.
  10. 산림청, 2003, 산지전용허가기준의 세부검토기준에 관한 규정(제2003-71).
  11. 산림청, 2005, 산지전용허가기준의 세부검토기준에 관한 규정(제2005-109).
  12. 산림청, 2006, 산지전용허가기준의 세부검토기준에 관한 규정(제2006-61).
  13. 산림청, 2007, 산지전용허가기준의 세부검토기준에 관한 규정(제2007-118).
  14. 산림청, 2008, 산지전용허가기준의 세부검토기준에 관한 규정(제2008-131).
  15. 산림청, 2008, 산지전용허가기준의 세부검토기준에 관한 규정(제2008-70).
  16. 산림청, 2009, 산지관리법(9722호).
  17. 산림청, 2009, 산지전용허가기준의 세부검토기준에 관한 규정(제2009-153).
  18. 산림청, 2009, 산지전용허가기준의 세부검토기준에 관한 규정(제2009-78).
  19. 산림청, 20011, 산지전용허가기준의 세부검토기준에 관한 규정(제2011-7)
  20. 산림청, 2009, 임상도.
  21. 산림청, 2010, 산지관리법 시행규칙(137호).
  22. 산림청, 2010, 산지관리법 시행령(22073호).
  23.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06, 산지경관 유지를 위한 산지전용제도 개선방안 연구, 57-59.
  24. 임승빈, 신지훈, 1995, 경관 영향평가를 위한 물리적 지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1(10), 157-166.
  25. 정욱주, 2009, 농촌의 산림경관 유지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농촌계획), 15(2), 3.
  26.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6, 산지를 활용한 친환경적 골프장 조성에 관한 연구, 15-17.

Cited by

  1. Landscape Analysis to Assess the Impact of Development Projects on Forests vol.8, pp.10, 2016, https://doi.org/10.3390/su810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