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limate Change KML Contents Publishing by using Meteorological Model

수치모델을 이용한 기후변화 KML 콘텐츠 출판 연구

  • 안승만 (건국대학교 신기술융합학과) ;
  • 최영진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
  • 엄정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 전상희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
  • 성효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생활학과)
  • Received : 2011.09.23
  • Accepted : 2011.10.24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visualizing climate change contents from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 and providing useful tool to anyone who want to use them for communication and actual movement. As a results, we have built a process and user interface for publishing Arrow KML, BWS KML, and DI KML. Arrow KML provide wind rose service and wind attribute information for each arrow. BWS KML provide a wind power index and DI KML provide a thermal comfort. All KML contents are more reliable because those are visualized from the scientifically verified climate change prediction model. Further study will focus on searching for climate change contents mining and useful contents design for wide range of climate change mitigation/adaptation activity.

기후변화 홍보 및 교육 콘텐츠로 활용되도록 수치모델을 시각화 설계하여 KML로 전자 출판하는 인터페이스 구현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Arrow KML, BWS KML, DI KML을 콘텐츠화 하였다. Arrow KML은 선행연구로부터 도출된 시각화 설계를 개선하여 바람장미와 같은 정보를 제공하였고 개개의 바람기호에 대한 속성정보를 조회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불어 사람들이 느낄 쾌적성의 변화를 불쾌지수(DI) KML로 콘텐츠화 하였다. 출판된 콘텐츠가 여러 공간정보와 통합되어 시각화되고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Google Earth를 기반으로 출판될 KML 자료 용량 계산식을 제시하였으며 Arrow KML 콘텐츠들의 Scale Factor 조정을 통한 표출효과 비교 및 백터형 KML과 아이콘 KML의 표출 효과 비교를 통해 출판 목적에 따른 활용방법을 제시하였다. 관련 연구 및 콘텐츠들은 과학적인 예측자료를 시각화하여 제공하였기 때문에 국민들과 소통하고 협업하는 콘텐츠로 다양하게 활용될 것이다. 더불어 보다 친숙한 기후변화 지수 및 실무에서 활용도와 가치가 높은 KML 콘텐츠가 보급 될 수 있도록 연구범위를 확장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2008, 신생활.산업기상기술개발연구(1), 국립기상연구소
  2. 국립기상연구소 정책연구과, 2010, 세계기상기술동향, 국립기상연구소
  3. 김해동, 1999, "우리나라 불쾌지수 분포특성 연구", 환경과학논집, 4(1), pp.1-12.
  4. 문정옥. 2009, "미국의 IT를 활용한 열린 정부 구현전략 소개: "Data.gov"를 중심으로", 방송통신정책 21(16), pp.100-105
  5. 변재영, 최영진, 서범근, 2010, "중규모 모델 WRF로부 터 모의된 한반도 풍력-기상자원 특성", 대기 20(2).
  6. 안승만, 성효현, 최영진, 전상희, 최성욱, 김성수, 2010, 기상자원 DB와 WEB 2.0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 개발, 한국기후변화학회 춘계학술발표회
  7. 윤정호, 전성우, 이재호, 김현서, 2011, 기후변화 적응 대국민 인식현황 및 분석, 한국기후변화학회 하계학술발표회, pp.227-228.
  8. 이대근, 김규랑, 최영진, Laurence S. Kalkstein, Scott C. Sheridan, 2011, 도시 고온건강경보시스템 개발 및 검증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 2011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165.
  9. 이영균, 안승만, 성효현, 최영진, 김규랑, 엄정희, 2009: 풍력자원 다차원 시각화를 통한 재생에너지 활용 연구, 한국지도학회지 9(2), pp.1-7.
  10. 정제호, 2009, 플랫폼의 대확장: 웹에서 모바일로, 정책 연구센터@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11. Brice Tim, 2009, The application of virtual globe software in fire weather forecasting,AMS 25th IIPS
  12. Dobson J. G, Todd Pierce, and Mark Phillips, 2009, Developing geospatial decision support tools for local NWS office and other regional decision makers, AMS 25th IIPS
  13. Emmitt G. D., S. Greco, S. A. Wood, and S. T. Shipley, 2009, Airborne Doppler Wind Lidar: in-flight visualization and analysis using Google Earth.
  14. Josie Wernecke, 2009, The KML Handbook: Geographic Visualization for the Web, Addison- Wesley.
  15. Petersen, P., 1927, Zur Bestimmung der Windstarke auf See. Annalen der Hydrographie 55, pp.69-72.
  16. Shipley, S. T., 2008, Comparison of Virtual Globe technologies for depiction of radar beam propagation effects and impacts, AMS 25th IIPS
  17. Shipley, S.T., A. Peterlin and S. Cantrell (2009) Radar visualization and occultation in 4-dimensions using Google Earth, AMS 25th IIPS.
  18. Stellman, K., C. Pieper, K. S. Lander, A. F., D. Hansing, and T. Brice, 2009: How enterprise GIS is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National Weather Service, AMS 25th IIPS.
  19. Tim Wilson, 2008, OGC(R)KML Version: 2.2.0, Open Geospatial Consortium Inc.
  20. Zaccheo T. S., Michael S., and David B. H.., 2009, Design of web-based GIS tools to support routine quality monitoring of remote sensed products from next generation LEO and GEO missions, AMS 25th IIPS.
  21. Zhao, Q. et., al., 2009, A snowmelt runoff forecasting model coupling WRF and DHSVM, Hydrol. Earth Syst. Sci., 13, 1897-1906. https://doi.org/10.5194/hess-13-1897-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