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Chloride Ion of Ground Water in the West Coast District of Jeollabuk-Do using Spatial Interpolation

공간보간법을 이용한 전라북도 서해안 지역의 지하수 염소이온 분석

  • 이근상 (전주비전대학 지적부동산과) ;
  • 임동길 (전북도청 기획관리실) ;
  • 최연웅 (조선이공대학 토목건설과) ;
  • 조기성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1.08.19
  • Accepted : 2011.09.21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In this study, the data that examined the chloride ion concentration of ground water wells in the west coast of Jeollabukdo applying the GIS spatial estimation method were analyzed. In particular, through the designation of a validation point among ground water wells and then the analysis of error characteristics of the chloride ion concentration by each method of IDW (Inverse Distance Weight), Spline, and Kriging Interpolation method which is proper for estimating salt water intrusion was selected. The main conclusion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rror characteristics of various spatial estimation methods by using the data from the chloride ion concentration of 485 ground water wells, the IDW method was found to be the most appropriate for estimating chloride ion concentration by salt water intrusion. Second, analyzing the average chloride ion concentration of the targeted regions has revealed that Gunsan-si with the record of $541mg/{\ell}$ did not meet water quality standards even for industrial use. Both Gimje-si and Gochang-gun satisfied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s and Buan-gun with $272mg/{\ell}$ was slightly below the standards for drinking water. Third, concerning the results of analysis according to administrative districts, as the areas adjacent to the west coast such as Daemyeong-dong, Joong-dong, Jangjae-dong and Guemam-dong in Gunsan-si are found to have very high chloride ion concentration, and both Hoehyeon-myeon and Daeya-myeon bounded by the Mankeong river did not meet water quality standards even for industrial use. From these facts, it is concluded that salt water intrusion has a great effect on Gunsan-si generally.

본 연구에서는 GIS 공간보간법을 이용하여 전라북도 서해안지역의 지하수관정 염소이온 농도를 분석하였다. 특히 해수침투를 평가하기 위해 지하수관정중 검정점을 지정하였으며, 역거리가중치, 스플라인 그리고 크리깅 보간법에 의한 염소이온 농도의 오차특성 분석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으로서 첫째, 485개 지하수 관정의 염소이온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공간 보간법의 오차특성을 분석한 결과 IDW 방법이 해수침투에 의한 염소이온 농도를 추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지역의 평균 염소이온 농도를 분석한 결과, 군산시가 $541mg/{\ell}$로서 공업용수 수질기준에도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김제시와 고창군은 먹는물 수질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안군은 $272mg/{\ell}$로서 먹는물 수질기준에 약간 미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행정구역별 분석에서 군산시는 서해안에 접해 있는 대명동, 중동, 장재동, 금암동의 평균 염소이온 농도가 매우 높게 분석 되었으며, 만경강과 접해 있는 회현면과 대야면도 공업용수 수질기준에도 미달하는 등 전반적으로 해수침투에 의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2, "폐공관리통합지침".
  2. 건설교통부, 2000, "지하수 정보관리시스템 유지보수 보고서", p.162.
  3. 건설교통부, 2003, "국가지하수 정보센터 설치․운영 계획보고서", p.65.
  4. 김경호, 장창덕, 2007, "층상 해안대수층에서 해수침투특성에 대한 정성적 고찰", 건설기술논문집, 제26권, 제2호, pp.57-70.
  5. 김규범, 손용철, 김종욱, 김대호, 이창원, 김양희, 2006, "지하수 정보관리체계 고찰 및 Web-GIS 기반의 국가지하수정보지도 구축 모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9권, 제3호, pp.107-122
  6. 김만규, 2001, "GIS를 이용한 지하수개발 설계지원시스템", 한국GIS학회지, 제9권, 제2호, pp.207-225
  7. 농림수산식품부, 2008, "해수침투조사사업 보고서", p.699.
  8. 이명재, 이진용, 목종구, 여인욱, 이강근, 박유철, 안경환, 원종호. 2007, "다중 추적자 시험을 통한 폐공의 지하수 오염가능성 평가", 대한지질학회, 제43권, 제2호, pp.241-252.
  9. 이사로, 김용성, 원종호, 2006, "GIS 및 원격탐사를 이용한 포항시 지하수 잠재가능성도 작성 및 검증", 한국GIS학회지, 제14권, 제1호, pp.115-128.
  10. 장정욱, 윤여진, 1995, "지하수 개발후 폐공발생시의 처리방법에 관한 연구 보고서", 대한주택공사
  11. 전라북도 보건환경연구원, 2009, "전라북도 보건환경연구원보", 제17권, pp.151-178
  12. 조시범, 손호웅, 2004, "지하수오염 예측을 위한 GIS 활용연구", 지구물리, 제7권, 제2호, pp.121-134.
  13. 최선영, 황세호, 박권규, 신제현, 윤왕중, 2004, "해수침투 조사자료의 통합적 해석을 위한 GIS의 적용", 한국GIS학회지, 제12권, 제3호, pp.49-60.
  14. 함태성, 2010, "지하수의 체계적 보전․관리를 위한 입법적 검토", 환경법연구, 제32권, 제1호, pp.475-507.
  15. 환경부, 2001,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http://likms.assembly.go.kr/law/jsp/ LawSrch.jsp.
  16. Bear, J., 1979, "Hydraulics of groundwater", McGraw-Hill.
  17. Cruz, J.V. and Silva, M.O., 2000, "Groundwater salinization in Pico Island(Azores, Portugal): origin and mechanics", Environmental Geology, Vol.39, pp.1181-1189. https://doi.org/10.1007/s002540000109
  18. Fetter, C.W., 1994, "Applied Hydrogeology(3rd Ed.)", Macmillan.
  19. Zhou, X., M. Chen, X. Ju, X. Ning and J. Wang, 2000, "Numerical simulation of sea water intrusion near Beihai, China", Environmental Geology, Vol.40, pp.223-233. https://doi.org/10.1007/s00254000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