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에서는 격자 형태의 지형학적 분산 개념을 이용한 유출해석 시 적절한 격자 해상도 선정을 위해 배수경로 길이의 통계학적 특성과 유역의 동수역학적 매개변수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배수경로 길이는 지리정보체계의 8방향 흐름방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산정하였으며, 이로부터 유역의 동수역학적 매개변수를 산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사용된 지형도는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1:5,000과 1:25,000 축적을 이용하였으며 각각 5, 10, 15, 20 m와 20, 30, 50, 100, 150, 200 m의 격자 크기를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하천망의 규모에 따라 격자 해상도별 배수 경로 길이의 통계적 특성이 변화함을 볼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유역의 동수역학적 매개변수 역시 변화함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양상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볼 때 격자 형태의 지형학적 분산 개념을 이용하여 유출해석을 수행할 경우 1:5,000 지형도의 경우 하천망이 발달된 유역은 격자 해상도 5m, 하천망의 발달이 적은 지역의 경우에는 5~20m의 격자 해상도에서 유역의 지형학적 특성과 동수역학적 특성을 적절히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25,000 지형도는 두 경우 모두 50 m 이하에서 이상의 특성들을 비교적 적절히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hen interpreting leakage using the concept of geographical dispersion based on grid, to choose an appropriate spatial resolution,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drainage path length and the pattern of change of hydrodynamic parameters have been observed. Drainage path length has been calculated using an 8-direction algorithm from digital elevation model, from which the hydrodynamic parameters of the watershed were estimated. The scales of topographical map for this analysis are 1:5,000 and 1:25,000, appling grid sizes 5, 10, 15, 20 m and 20, 30, 50, 100, 150, 200 m, respectively. As results of this analysis, depending on the scale of stream networks,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drainage path length by spatial resolution and hydrodynamic parameters of the watershed have been chang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when interpreting leakage using the concept of the geographical dispersion based on grid, in the case of 1:5,000 scale topographical map, a spatial resolution of 5 m will be better showing geographical and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to apply to the well developed stream network in basins, spatial resolution of 5~20 m to the less developed stream network in basins. And in the case of 1:25,000 scale topographical map, spatial resolution below 50 m is more desirable to show above two characteristics to apply to both c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