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ket oriented Typology and Development Directions of Conventional Markets

재래시장의 시장 지향적 분류에 따른 발전방향

  • Kim, Ju-Yeong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Sogang University) ;
  • Park, Jeong-Eun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김주영 (서강대학교 경영학과) ;
  • 박정은 (이화여자대학교 경영학과)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re are about 1,500 small or large traditional markets in Korea. Those conventional markets have been struggling for survival in rapidly changing market environment with highly intensified competition by accelerating the entrance of the Large-scale Discount Store and Super Supermarket which are managed and supported by Large companies like Samsung and Lotte. The loosing power of conventional markets have threatened the local merchants' survival and have influenced local economics falling down. To create better value for the customers who have more preference for department store and discount stores than conventional markets, conventional markets should have market orientation, which has three sub dimensions; customer orientation, competitor orientation and inter-functional coordinations. First objective of study is to find the appropriate roles of conventional markets in local areas. Second is to find out the market orientation functions for conventional markets to be survival in local markets in the long terms. Finally, this study will suggest some policies for the appropriate types of successful conventional markets considering various local situations. To achieve those objectives, we did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 we review the previous reports and studies of policies for conventional markets and local economy development, and propose some pros and cons of the previous policies. Secondly, we develop a market orientation framework of conventional markets, in which we suggest the developmental types and functions of market-orientation of conventional markets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market and economic conditions of local areas. Then we formulate and discuss the study's contributions, manageri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policy development. Especially for the policy development, we suggest the efficiency and economical effects of policy, human being development and management system, and the role of government and protection of local merchants in the development process.

현재 우리나라에는 약 1500여개의 재래시장이 있다. 이들 재래시장은 삼성과 롯데와 같은 대기업에 의해 운영되는 SSM과 할인점 등의 시장 진입으로 인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고 급변하는 유통환경의 변화에 따라 생존의 위협을 받고 있다. 또한 재래시장의 파워가 약해짐으로 인해 지역 상인들의 생존이 위협을 받고 있고, 지역 경제 또한 악화되고 있다. 따라서 백화점과 할인점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에게 보다 나은 가치를 제공해 주기 위해 재래 시장은 보다 시장지향적인 전략을 취해 나가야 할 것이다. 시장지향적 전략은 다음 세 가지 하부 개념으로 이루어진다. (Narver와 Slater,1990): 고객 지향성 (customer orientation), 경쟁지향성 (competitor orientation), 그리고 기능간 조정(inter-functional coordinations). 본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지역 사회에서의 재래시장의 적절한 역할을 제안하는 것이다. 둘째는 재래시장이 지역에서 장기적으로 생존하기 위해 필요한 시장 지향적인 기능을 알아보고 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다양한 지역사회와 다양한 상황에서 재래시장이 지향해야할 성공적인 재래시장 유형을 개발하기 위해 적절한 정책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우선 재래시장과 지역 경제 발전을 위한 기존의 연구보고서와 정책 보고서를 살펴보고 기존 정책의 장-단점을 제시하였다. 둘째로 재래시장의 시장지향적인 유형과 기준을 제시하였고, 지역 시장과 지역의 경제 상황 특성에 따라 재래시장의 기능과 발전 형태에 대해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본연구의 공헌점과 미래 정책 개발에 있어서의 시사점 등을 토론 하였다. 특히 정책 개발 방향에 있어 본 연구는 정책의 효율성과 경제적 효과, 인력 개발과 운영 시스템, 그리고 이러한 개발과 정에서의 정부의 역할과 지역 상인의 보호 방안등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논의를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