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truction of an Exposure Risk Map and Spatial Knowledge Base for Asbestos in Korea

석면 공간지식베이스 구축을 통한 석면 노출위험도 작성

  • Hwang, Jae-Hong (Geological Research Div.,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Lee, Byung-Joo (Geological Environment Div.,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황재홍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
  • 이병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Received : 2011.12.02
  • Accepted : 2011.12.22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Asbestos is a toxic material that can lead to lung cancer and other diseases. There is no information regarding areas in Korea that contain asbestos in nature; consequently we need to manage such areas with c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local graded map of asbestos exposure risk based on the natural occurrence of asbestos in rocks. We first developed a means of evaluating the asbestos exposure risk and produced thematic maps based on a field survey. In addition, we constructed a knowledge base for asbestos through analysis, representation and processes about asbestos data and prepare for the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model for asbestos exposure risk. The spatial analysis of asbestos exposure risk is based on a weighted-overlay analysis using expert opinion and the literature, and a fuzzy-overlay analysis using the uncertainty in the data. The map of asbestos exposure risk, compiled according to the weighted and fuzzy operations, is expected to be used to ensure safety and to reduce the risk of exposure to asbestos.

석면은 강한 독성이 있는 물질로 폐암 및 폐와 관련된 질환에 치명적이다. 최근 자연 상태의 석면이 함유된 지역에 대한 정확한 정보의 부재로 석면이 함유된 지역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효율적인 석면관리를 위해서 석면위험지역을 지역적으로 등급화 할 수 있는 자연 상태의 석면 노출위험도를 제작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석면 위험지역을 평가할 수 있는 주제를 발굴하고 필요에 따라 현지조사를 통해 공간적으로 매핑 할 수 있는 주제도를 작성한다. 또한 석면 데이터에 대한 분석 표현 및 프로세스들을 정리하여 석면 지식베이스 구축을 하고 석면노출위험을 위한 평가모델을 마련한다. 석면 노출위험도 작성을 위한 공간분석은 문헌 및 전문가의 의견에 기반을 둔 가중치 분석과 불확실한 데이터에 사용하는 퍼지 연산자들을 이용한 공간 중첩분석을 수행한다. 가중치 및 퍼지 연산에 따라 작성된 석면 노출 위험도는 지역을 계층적 관리함으로써 석면 안전 및 보상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동묵, 2009, 환경성 석면노출의 건강영향, 한국보건학회지, 35(2), 71-77.
  2. 기상청, 2011, http://www.kma.go.kr/weather/observation/data_monthly.jsp(기상청연보), 기상청.
  3. (사)한국광물학회, 한국광해관리공단, 2010, 석면 표준분석법 : 토양물 중 석면함유량 분석, 23(2), 171-183.
  4. 윤충식, 2009, 석면과건강에 대한 이슈, 한국환경보건학회지, 35(5), 426-432.
  5. 엄상호, 이문성, 1963, 한국지질도 대흥도폭(1 : 50,000), 상공부 국립지질조사소.
  6. 이민희, 2010, 국내 폐석면광산 정밀조사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평가기준 마련, 자원환경지질학회지, 43(4), 393-400.
  7. 이용진, 김용배, 장은철, 조태진, 박찬호, 이영기, 안연광, 유성, 조성준, 최재웅, 2010, 일부 석면광산 인근 주민의 흉막반 양성률 : 전산화 단층 촬영(CT) 소견, 대한직업환경의학회 2010년 추계학술대회, 431-432.
  8. 최진범, 손일, 노진환, 2011, GIS 기법을 이용한 폐석면광산의 위해성 평가, 한국광물학회지, 24(1), 43-53.
  9. 島村, 1931, 한국지질도 청양도폭 (1:50,000), 조선총독부 지질조사소.
  10. Chang, N.-B., Parvathinathan, G., and Breeden, J.B., 2008, Combining GIS with fuzzy multicriteria decision-making for landfill siting in a fast-growing urban region, Journal of Enviromnental Management, 139-153.
  11. Dixon, B., 2005, Groundwater vulnerability mapping: A GIS and fuzzy rule based integrated tool, Applied Geography, 327-347.
  12. Pathak, D.R. and Hiratsuka, A., 2011, An integrated GIS based fuzzy pattern reconition model to compute groundwater vulnerability index for decision making, Journal of Hydro-environment Research, 5, 63-77. https://doi.org/10.1016/j.jher.2009.10.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