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텐셜 필드를 이용한 화재 응급 대피 시스템 설계

Design of Fire Emergency Evacuation System using Potential Field

  • 투고 : 2011.05.26
  • 심사 : 2011.09.07
  • 발행 : 2011.09.25

초록

본 논문은 화재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대피자를 로봇에 비유하여 퍼텐셜 필드 방식으로 최적의 대피 경로를 탐색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장애물은 화재가 발생된 위치를 나타내게 되며, 한정된 공간에서 센서를 통해 화재가 발생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서 전역적인 탐색이 가능해진다. 건물 내에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와 복합 감지 센서로부터 상황 정보를 습득하여 무선으로 서버에 전송하면 퍼텐셜 필드 방식으로 최적의 대피 경로를 탐색하여 유도등을 대피 방향으로 동작시키며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에 무선을 이용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제안한 화재 대피 알고리즘의 기능 및 성능 테스트를 통해 제안 알고리즘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proposed that the method be searched for optimal route of evacuation by algorithm using potential field in specific situation, fire. When robot met an obstacle to be indicated it to ignition point, the installed sensor could be detected the point in restricted area. In according as the data of a fire detection sensor and a sensor complex in a building, the information was transmitted to server which computed optimal route of evacuation by algorithm using potential field. After that, it was able to blow a siren and mark the safe-path with using wireless device such as smart-phone.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method in functional test, fire emergency evacuation algorithm using potential field, was advanced in circumstance of simul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영헌, 임동진, "화재 대피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한 연구," 2002년도 대한전기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01-205쪽, 2002년
  2. 최원령, 이경회, "건물화재시 재실자의 피난형태 예측 모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4권 제4호, 177-184쪽, 1988년
  3. 이재홍, 문승진, "화재 발생시 대피정보 시스템 제안,"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0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323-326쪽, 2010년
  4. 맥스포, http://www.maxfor.co.kr/
  5. 이종호, 김동원, "퍼지시스템과 포텐셜 필드를 이용한 다중 이동로봇의 충돌회피 최적경로 연구," 전자공학회논문지, 제47권 IE편, 제2호, 66-72쪽, 2010년 6월
  6. 남헌성, 이지홍, 유준, "전위장을 이용한 로봇 경로 계획의 구조적 Local Minimum 을 극복하는 경로 계획 방법," 전자공학회논문지, 제33권 제9호, 1355-1365쪽, 1996년 9월
  7. R. C. Arkin. Behavior-Based Robotics. MIT Press, Cambridge, Massachusetts, 1998.
  8. R. R. Murphy, Introduction to AI Robotics, MIT Press, 2000.
  9. Y. K. Hwang, N. Ahuja, "A potential field approach to path planning," IEEE Transactions on Robotics and Automation, Vol. 8 , No. 1, pp. 23-32, 1992. https://doi.org/10.1109/70.127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