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I Study of the Degenerative Radial Tear of Medial Meniscus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부의 퇴행성 파열에서 MRI를 이용한 두께의 변화

  • Kwak, Ji Hoo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Gil Medical Center, Gachon University) ;
  • Sim, Jae A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Gil Medical Center, Gachon University) ;
  • Kim, Nam Ki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Gil Medical Center, Gachon University) ;
  • Lee, Beom Ko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Gil Medical Center, Gachon University)
  • 곽지훈 (가천의과학대학교 길병원 정형외과) ;
  • 심재앙 (가천의과학대학교 길병원 정형외과) ;
  • 김남기 (가천의과학대학교 길병원 정형외과) ;
  • 이범구 (가천의과학대학교 길병원 정형외과)
  • Received : 2011.05.11
  • Accepted : 2011.08.06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Purpose: To evaluate the thickness of the posterior horn of the medial meniscus accompanying with degenerative radial tear.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70 cases which show degenerative meniscal tear with variable degree of meniscal degeneration from February 2000 to February 2010. All cases were older than 40 years and 57 cases were men and 113 cases were women. Mean age were 55-year-old. We grouped the cases into 3 categories. Group A were composed with cases which showed horizontal and radial tear in posterior horn of medial meniscus. Group B showed horizontal tear only and group C showed intrasubstance degeneration without meniscal tear. Results: The mean thickness of medial meniscus posterior horn in group A, B, C were 7. 44 mm, 6.52 mm, 6.04 mm respectively. Group A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the thickness of medial meniscus posterior horn than group B, C. Group B also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thickness than group C. The degree of meniscal degeneration was highest in group A, which showed significant higher meniscal degeneration than group B and C, and, group B showed higher degeneration than group C,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group A and B regarding the degree of meniscal degeneration. Conclusion: The thickness of medial meniscus posterior horn was increased when accompanied with radial tear, which may elicit pain caused by meniscal impingement.

목적: 퇴행성 내측 반월상 연골 퇴행성 파열 시 방사형 파열의 동반 여부 시 연골 후각부의 두께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2월부터 2010년 2월까지 만 40세 이상에서 내측 반월상 연골의 퇴행성 변화 또는 파열이 자기공명영상으로 확인된 17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57예, 여자 113예였고, 평균 연령은 55세였으며, 수평 파열과 함께 방사형 파열이 동반된 군(Group A), 연골 후각부의 횡 파열만 있는 군(Group B), 파열 없이 내측 반월상 연골의퇴행성 변화만 확인된 군(Group C) 으로 구분하여 후각부의 두께를 측정하고 연골의 퇴행정도를 grade 1, 2, 3로 평가하였다. 결과: 시상면에서 측정한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부의 평균 두께는 A, B, C 군이 각각 7.44 mm, 6.52 mm, 6.04 mm였고, A군이 B, C군보다 의미있게 연골 후각부의 두께가 증가하였으며 B군도 C군과 비교하여 연골 후각부의 두께가 증가하였다. 반월상 연골의 퇴행 정도는 A군이 가장 높았으며 A군이 B, C군보다 퇴행 정도가 의미있게 높았지만 A군과 B군과의 차이는 없었으며, B군이 C군보다 퇴행 정도가 높았다(p<0.05). 결론: 방사형 파열이 동반된 내측 반월상 연골 퇴행성 파열 시 반월상 연골 후각부의 두께가 증가하므로 치료 시 이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