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vestigation of Scientific Terms in Physics Unit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중학교 과학 교과서 물리 단원에 수록된 과학 전문 용어 조사

  • Received : 2011.07.28
  • Accepted : 2011.10.10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Language skills in science education seem to have a great impact on student achievement. Most of the language skills affecting students' science learning can be accounted for an understanding of scientific terms.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selecting and grading the scientific terms for science education. As a basic research, we investigated scientific terms contained in science textbooks, because they are the most basic and selected terminologies.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f scientific terms in physics unit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we made a list of 556 scientific terms by grade level. This includes 249 words for grade 7, 170 words for grade 8, and 137 words for grade 9.

본 연구는 과학 교육용 과학 전문 용어 목록을 만들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중학교 과학 교과서 물리 단원에 수록된 과학 전문 용어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7학년 249개, 8학년 170개, 9학년 137개, 총 556개의 과학 전문 용어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다루는 어휘수의 차이가 매우 심함을 알 수 있었고, 교육인적자원부의 편수자료와 물리학용어집, 표준국어대사전 간에 불일치가 상당히 많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수정, 보완 작업을 거쳐서 수준별로 평정된 과학 전문 용어 목록이 완성되면 도서 및 사전 편찬, 각종 검사 제작, 교사 교육, 학습능력 향상 등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2007). 교과서 편수자료, 3: 기초과학편. 교육인적자원부.
  2. 국립국어연구원(2000). 표준국어대사전 편찬 지침. 국립국어연구원
  3. 국립국어원(1999). 표준국어대사전, 상, 중, 하.두산동아.
  4. 국립국어원(2007). 전문 용어 연구. 태학사.
  5. 국립국어원(2008). 개정 표준국어대사전. http:// stdweb2.korean.go.kr/main.jsp.
  6. 기유리(2009). 과학 뜻풀이 수업을 통한 학생들의 용어 개념에 대한 효과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광해(1990). 어휘 교육의 방법. 국어생활, 22, 108-125.
  8. 김광해(2003). 등급별 국어 교육용 어휘. 박이정.
  9. 김문오(2007). 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국립국어원.
  10. 김양진(1997). 중학교 과학 교과서"힘과 운동"단원의 용어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한샘(2008). 전문용어 정비의 현황과 과제. 한말연구, 23, 93-120.
  12. 김한샘(2010). 국어 교육용 어휘 선정을 위한 교과서 어휘 조사 연구 : 초등학교 교과서 어휘 분석. 국어교육연구, 47, 63-90.
  13. 김현주(1997). 학생과 교사의 지리용어인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남경식(2008). 과학 용어로 인한 중학생의 어려움과 과학 용어 활용 글쓰기를 통한 해결 방안.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박종원(2010). 과학문장 읽기를 통한 학생들의 과학적 이해 과정 분석 :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27-41.
  16. 방상규(2005). 중학교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어휘 분석과 한자 용어 이해 증진에 관한 연구 : 9학년 '화학단원' 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손명희(2007). 6학년과 7학년 과학교과서 물리영역 어휘 등급의 연계성 분석.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신명선(2004). 어휘 교육의 목표로서의 어휘 능력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 113, 263-296.
  19. 윤은정(2004). 중학생용 과학적 문장이해력 검사도구 개발.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윤은정, 박윤배(2009).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및 실험 관찰 물리영역에 수록된 과학 전문 용어 조사. 초등과학교육, 28(3), 331-339.
  21. 이상미(2007). 9학년 과학교과서의 물리영역 어휘 등급 분석.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이상현(1999). 중학교 과학교과서의 물리용어 조사. 과학과교육, 7, 159-176.
  23. 이선영(2002). 어휘 지도가 내용 교과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이수현(2005). 한국어 교육을 위한 기본어휘 선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혜영(2008). 8학년 과학교과서의 물리 영역 어휘 분석.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임종효(2004). 초등학교 과학과 물리 영역의 용어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최기선(2006). 전문 용어의 정비. 국립국어원.
  28. 한국물리학회(2005). 물리용어조정안. http:// www.kps.or.kr.
  29. 한재영(1994).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수록된 비전문 용어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Church and Mercer(1993).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on computational linguistics using large corpora. Computational Linguistics, 19(1), 1-24.
  31. Gardner, P.L. (1974). Language difficulties of science students. The Australian Science Teachers Journal, 20(1), 63-76.
  32. Merzyn, G. (1987). The language of school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9(4), 483-489. https://doi.org/10.1080/0950069870090406
  33. Wellington and Osborne(2001). Language and literacy in science education. Open University Press. (임칠성 등 역(2010). 과학 교실에서 언어와 문식력. 교육과학사.)

Cited by

  1. 과학 용어 교육을 위한 과학 교과서 수록 물리 용어 분석 vol.33, pp.4,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4.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