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Study Trends of Wild ginseng, Bovis Calculus, Ursi Fel, Moschus and The Study on Applied Possibility as Obesity medications

산삼, 우황, 웅담, 사향의 연구 동향 분석 및 비만 치료제로써의 응용 가능성 탐색 연구

  • Kim, Min-Woo (Dep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Won University) ;
  • Song, Yun-Kyung (Dep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Won University) ;
  • Lim, Hyung-Ho (Dep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Won University)
  • 김민우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교실) ;
  • 송윤경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교실) ;
  • 임형호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교실)
  • Received : 2011.12.03
  • Accepted : 2011.12.18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Objectives: After organizing segmentations related to obesity from classics and each studies,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value of wild ginseng, bovis calculus, ursi fel and moschus as a obesity medicine. Methods: We found out 4 drugs which are wild ginseng, bovis calculus, ursi fel and moschus from the classics, such as "Shin-Nong-Bon-Cho-Kyung", "Myoung-Eui-Byul-Lok", "Bon-Cho-Gang-Mok", "Bon-Cho-Jong-Shin", "Bon-Cho-Bi-Yo", "Bon-Cho-Gu-Jin" and "Deuk-Bae-Bon-Cho", we searched websites such as RISS,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rtal,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Korean pharmacopuncture institute, the Korean academy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and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as well. Results: 1. We couldn't fin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efficacy of improving obesity through wild ginseng, bovis calculus, ursi fel and moschus from the classics. 2. Wild ginseng had a study dealing with the efficacy of anticancer, obesity, toxicity, immunity, sulfation, diabetes, plasma proteins, depression, hypertension, endometriosis and hair loss. Especially among 6 studies related to obesity, apart from the study that treated extract of wild ginseng directly to the cell or oral administration to the animals, also have studies that had an efficacy of improving obesity through injecting pharmacopuncture to acupuncture point and vein, etc. 3. Bovis calculus had a study about efficacy related to arthritis, liver, inflammation of cornea, obesity, anticancer, immunity, antacid, heart, lumbar pain, hypertension, toxicity, a digestive organ and sasang constitution, especially in case of obesity, had each studies about oral administration of complex prescription and about cell unit experiment of pharmacopuncture. 4. Ursi fel had a study about efficacy related to liver, arthritis, inflammation of cornea, immunity, obesity, anticancer, antacid, lumbar pain, digestive organ, toxicity, cell protection, skin ailment, etc. Especially in case of obesity, had each studies about oral administration of animal experiment and about cell unit experiment of pharmacopuncture. 5. Moschus had a study about efficacy related to liver, the central nervous system, arthritis, inflammation of cornea, immunity, obesity, anticancer, hypertension, heart, lumbar pain, etc. Especially in case of obesity, had one study about oral administration of complex prescription. Conclusion: Through the result of probability as a obesity medicine of wild ginseng, bovis calculus, ursi fel and moschus, we could identify the possibility of each drug as a obesity medicine. Also in the future, it is considered that studies about one or complex prescription and pharmacopuncture as a obesity medicine will be needed.

Keywords

References

  1. Must A., Spadano J., Coakley EH., Field AE., Colditz G., Dietz W. The Disease Burden Associated With Overweight and Obesity. JAMA. 1999;282:1523-9. https://doi.org/10.1001/jama.282.16.1523
  2. Ro Y. M.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disease. J. of KAHP. 2004;2:72-7.
  3. Kopelman PG. Obesity as a medical problem., Nature. 2000;404:635-43.
  4. 안병철, 정효지. 과체중-비만의 사회경제적 비용 추계. 한국영양학회지. 2005;38(9):786-92.
  5.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학. 서울:군자. 2006: 390-6.
  6. 박상용, 이병열. 비만 치료에 대한 침구 및 약물치료의 임상적 연구. 대전대학교 논문집 한의학편. 1994; 16(3):39-56.
  7. 황덕상. 저주파 전침 자극이 허벅지 둘레에 미치는영향.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6;5(1):1-8.
  8. Miwa H, Kino M, Han LK, Takaoka K, Tsujita T, Furuhata H, Sugiyama M, Seno H, Morita Y, Kimura Y, Okuda H. Effect of ultrasound application on fat mobilization. Pathophysiology. 2002; 9(1):13-9. https://doi.org/10.1016/S0928-4680(02)00017-2
  9. Alster TS, Tanzi EL. Cellulite treatment using a novel combination radiofrequency, infrared light and mechanical tissue manipulation device. J Cosmet Laser Ther. 2005;7(2):81-5. https://doi.org/10.1080/14764170500190242
  10. 송미영, 박지훈, 이정호, 김호준, 이명종. 피하지방 감량에 있어 경피침주요법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7;7(1):71-85.
  11. 황미자, 신현대, 송미연 한국에서 비만치료에 쓰이는 한약에 대한 문헌연구 - 2000년이후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6;16(3):65-81.
  12. 송윤경, 임형호. 비만처방에서 마황의 임상활용에 대한 고찰 :용량, 효과, 부작용 등의 측면에서.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7;7(1):1-7.19.
  13. 吳普. 神農本草經. 서울:醫聖堂. 2003:152, 242, 244.
  14. 陶弘景. 名醫別錄.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86:28, 72.
  15. 李時珍. 本草綱目. 서울:高文社. 1985:405, 1402, 1535, 1567.
  16. 吳儀洛. 本草從新. 서울:행림출판. 1989:1, 252, 256, 258.
  17. 汪昻. 本草備要. 서울:高文社. 1990:3, 206, 211-2.
  18. 黃宮繡. 本草求眞. 서울:一中社. 1992:2, 135, 269, 300.
  19. 엄길. 得配本草. 北京:中國中醫藥出版社. 1997:31, 264, 268, 270.
  20. 박봉기, 조종관, 권기록, 유화승. 6개월간 산삼약침 요법을 시행 받은 IIIB기 편평세포폐암 환자에 대한 증례보고. 대한약침학회지. 2007;10(3):143-7.
  21. 권기록, 윤휘철, 김호현. B16/F10세포를 이식한 C57BL/6 생쥐에서 산삼약침의 항암효과 및 Doxorubicin에 의한 생식독성 완화효과. 대한침구 학회지. 2006;23(1):105-20.
  22. 조병준, 권기록. Colon26-L5 대장암 세포를 이용한 간전이 모델에 산삼약침 처치가 혈중 cytokine에 미치는 영향. 대한약침학회지. 2006;9(1):127-37.
  23. 권기록. NCI-H460 비소세포폐암 세포로 유도된 폐암 누드마우스에 산삼 약침의 항암 효과. 2010; 13(1):5-14.
  24. 곡경승, 이선구, 권기록. pH 및 전해질 조절 山養山蔘 蒸溜藥鍼의 Apoptosis에 關한 實驗的 硏究. 대한침구학회지. 2004;21(6):1-17.
  25. 조희철, 이선구, 권기록. 농도별(濃度別) 산양산삼(山養山蔘) 증류약침(蒸溜藥鐵)의 Apoptosis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대한약침학회지. 2004;7(2):5-17.
  26. Jang SB, Lim CS, Jang JH, Kwon KR. Anti-metastatic mechanism of mountain cultivated wild ginseng in human cancer cell line. 대한약침학회지. 2010;13(1):37-43.
  27. 金成鎭 ,申舜植 ,徐富一 ,池鮮渶. 山蔘, 長腦蔘, 人蔘 의 抗癌 效果에 대한 비교연구. 대한본초학회지. 2004;19(2):41-50.
  28. 안영민, 박희수, 권기록. 산삼과 산양삼 추출물의 항암 및 항산화 효능. 대한약침학회지. 2007;10(1): 5-16.
  29. 방선휘, 권기록, 유화승, 귄기록. 산삼약침 혈맥주입을 시행한 비소세포성폐암 환자 2례. 대한약침학회지. 2008;11(2):13-9.
  30. 임세영, 이수진, 권기록. 산삼약침이 Colon26-L5암세포주를 이용한 간전이 모델의 항암 및 면역증진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6;23(1): 121-34.
  31. 민병일, 김호현, 서일복, 권기록. 산양산삼 추출액의 항암효과 및 Doxorubicin에 의한 고환독성 방어효과. 대한약침학회지. 2007;10(1):85-100.
  32. 박정숙, 이태원, 한건. 야생 산삼 추출물의 조직배양 뿌리가 다양한 암세포주에 미치는 세포성장 저해 효과. 한국생약학회지. 2009;15(1):1-7.
  33. 이명선. 인체 결장암세포에서 항암제와 산삼배양근에 의한 p53 유전자 발현. 산업과학연구지. 2010; 27(2):1-7.
  34. 이명선. 인체 암세포에서 산삼배양근에 의한 apoptosis 유도. 산업과학연구지. 2008;25(2):55-62.
  35. 이명자. 인체 자궁암세포에서 cisplatin과 산삼배양근추출물에 의한 apoptosis유도. 한국전자현미경학회지. 2010;40(3):133-8.
  36. 권기록, 조아라, 이선구. 정맥주입용(靜脈注入用) 산양산삼(山養山蔘) 증류약침(蒸溜藥鍼)의 급성(急 性).아급성(亞急性) 독성실험(毒性實驗) 및 Sarcoma- 180 항암효과(抗癌效果)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대한약침학회지. 2003;6(2):7-27.
  37. 송시환, 양덕춘, 정세영. 산삼배양추출물의 ICR 마우스 골수세포를 이용한 복강 투여 소핵시험.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05;20(1):58-63.
  38. 송시환, 양덕춘, 정세영. 산삼배양추출물의 배양 Chinese Hamster Lung 세포를 이용한 염색체이상 시험. 한국독성학회지. 2005;21(1):57-62.
  39. 송시환, 양덕춘, 정세영. 산삼배양추출물의 비글견을 이용한 단회 경구투여 독성시험. 한국독성학회지. 2005;21(1):51-5.
  40. 송시환, 양덕춘, 정세영. 산삼배양추출물의 세균을 이용한 복귀돌연변이시험.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004;19(4):193-7.
  41. 이휘용, 유정석, 육태한, 홍권의. 수종의 약침제제 견정혈 자입이 활력징후 변화에 미치는 영향-황기약침, 산삼 약침, 생지황 약침을 중심으로. 대한침구학회지. 2007;24(5):207-17.
  42. 권기록. 정맥 주입용 산삼약침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약침학회지. 2004;7(1): 15-26.
  43. 황석연, 박선우, 박정숙, 한건. 랫트에서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TCDD) 유발 생체 독성에 대한 조직배양 산삼부정근 사포닌의 치유효과. 대한약학회지. 2006;50(4):220-7.
  44. 최경운, 이평재, 김호현. 배양산삼 추출액의 Doxorubicin 독성 완화 효과. 대한본초학회지. 2009;24(3):13-9.
  45. 이상훈, 이향숙, 이준무. 간유(肝兪)(BL18) 및 곡지 (曲池)(LI11) 산삼약침 처치가 비만쥐의 지질구성, cytokine, 간장기능,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경락 경혈학회지. 2007;24(4):181-200.
  46. 김병우, 권기록. 산양산삼 추출물이 지방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약침학회지. 2007;10(3): 29-35.
  47. 최은주, 이준무, 원승환, 권기록. 산양산삼약침의 지질강하 및 항산화효과에 대한 생화학적 및 분자 생물학적 검토. 대한약침학회지. 2006;9(1):5-20.
  48. 이은정, 조해림, 이대위, 정춘식, 김종훈, 김영식. 조직배양산삼 부정근 메탄올 추출물이 식이성 고지혈증에 미치는 영향. 생약학회지. 2003;34(2):179-84.
  49. Yun Se-Na, Moon Sang-Jung, Ko Sung-Kwon, Im Byung-Ok, Chung Sung-Hyun. Wild ginseng prevents the onset of high-fat diet induced hyperglycemia and obesity in ICR mice. Arch Pharm Res. 2004;27(7):790-6. https://doi.org/10.1007/BF02980150
  50. 박원필, 이은, 권기록. 산양산삼약침이 고지방식이에 의한 당뇨병 유발 흰쥐에 미치는 영향. 대한약침학회지. 2005;8(2):97-108.
  51. 신흥묵. 산삼(Wild Panax Ginseng)과 Red-Mold Rice 혼합물의 메토트렉세이트로 처치된 RAW 264.7 세포 내에서 세포 퇴화와 시토킨 발현의 보호를 통한 대식세포 활성화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09;30(6):69-79.
  52. 안상현, 김진택, 신흥묵. 장뇌산삼의 억제를 통한 RAW 264.7 세포에서의 항염증 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7;21(2):498-503.
  53. 권순주, 정대규. 산삼, 장뇌삼, 인삼의 면역증강효과 비교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4;15(2):89- 101.
  54. 김영진, 이준무, 이은. 산양산삼약침의 면역조절기능. 대한경락경혈학회지. 2010;27(1):31-47.
  55. 안상현, 조성준, 윤창환, 조민경, 신흥묵, 김진택. 장뇌산삼이 Benzopyrene으로 유도된 간조직의 와 COX-2의 면역조직학적 분포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5;19(6):1568-72.
  56. 김형석, 박희수, 권기록. HepG2 세포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산삼 추출물의 보호효과 - DNA chip을 이용하여-. 대한약침학회지. 2007;10(1):121-35.
  57. 장해영, 박희수, 권기록, 임태진. 자연산 산삼, 산양삼 및 인삼의 항산화능 비교연구. 대한약침학회지. 2008;11(3):67-78.
  58. 이동희, 권기록. 산양산삼 증류약침의 혈맥주입 후 나타나는 혈장의 Proteom 분석. 대한약침학회지. 2006;9(2):17-37.
  59. 권기록, 강태식, 이선구. 자연산 산삼 증류약침의 혈맥주입 전.후 혈장의 Proteom 분석. 대한약침학회지. 2004;7(3):5-25.
  60. 홍민희, 임희경, 박지은, 전능재, 이영재, 조문제, 김소미. 산삼 배양근 추출물의 혈압강하 및 혈관이완 효과.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2008;51(2):102-7.
  61. 권선오, 최수민, 김명환, 이봄비, 박무원, 이혜정, 박히준, 함대현. 산삼과 인삼 메탄올 추출물 아만성 복용의 Mice Tail Suspension Test에서의 항우울 효과에 대한 비교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9;26(4): 99-106.
  62. 안규성, 황인철. 산삼배양근을 함유한 생약추출물이 탈모방지 및 육모 촉진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인체예술학회지. 2009;10(4):221-6.
  63. 김성혜, 권기록, 박희수. 산삼약침이 자궁내막증 유발 흰쥐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6;23(5): 55-67.
  64. 조동욱. RAPD 분석법을 이용한 산삼, 웅담, 녹용 판별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1995; 1(1):471-6.
  65. 신순식, 최영현, 김경철, 이용태, 엄현섭, 김창식. 산삼 감정 기준의 객관성. 동의한의연. 2001;5: 107-14.
  66. 주영승. 산삼(山蔘)의 종류 및 진위(眞僞) 감정. 한약응용학회지. 2008;8(1):1-11.
  67. In, Jun-Gyo;Kim, Min-Kyeoung;Lee, Ok-Ran;Kim, Yu-Jin;Lee, Beom-Soo;Kim, Se-Young;Kwon, Woo- Seang;Yang, Deok-Chun. 증폭 불응 돌연변이계로 한국산 산삼의 분자 확인. 고려인삼학회지. 2010;34(1):41-6.
  68. 신순식, 김경철, 김창식. 한국 山蔘의 형태학적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2;16(6):1260-2.
  69. 이규화, 이경준, 박훈, Sri Wilarso Budi. 한국내 각지에서 채집된 산삼의 균근(菌根) 형태와 감염율. 고려인삼학회지. 2006;30(4):206-11.
  70. 김준한, 문혜경, 강우원, 김종국. 한국산 장뇌산삼의 부위별 유용성분함량 및 추출용매조건의 영향.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2003;23:150-1.
  71. 이장호, 권기록, 차배천. HPLC를 이용한 인삼, 홍삼, 산양산삼 및 홍산삼의 성분 비교 분석. 대한약침학회지. 2008;11(2):87-95.
  72. 안지영, 강상구, 강호덕. 국내 5개 지역의 장뇌삼과 산삼의 유전 분석. 한국임학회지. 2009;98(6):757-63.
  73. 김정일, 이종일, 조덕현. 白頭山蔘, 長廬蔘, 러시아山蔘의 特徵鑑別에 關한 硏究.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004;17(3):358-64.
  74. 장문식, 유병삼, 변상요. 산삼 및 재배인삼의 폴리아세틸렌 함량 특성. KSBB Journal. 2003;18(6): 440-2.
  75. 권기록, 서정철. 산삼과 장뇌삼 중 고려삼과 서양삼의 Pyrosequencing법에 의한 감별. 대한본초학회지. 2004;19(4):45-50.
  76. 이범수, 인준교, 김무성, 양덕춘. 산삼과 재배인삼 의 구별을 위한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primer 개발.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004;17(1): 73.
  77. 유병삼, 장문식, 변상요. 산삼과 재배인삼의 세포배양 및 Ginsenoside 생성 특성. KSBB Journal. 2003;18(2):133-9.
  78. 정형범, 정귀택, 박돈희. 산양삼과 인삼의 특성 및성분비교. 한국생물공학회지. 2009.
  79. 위종성, 박희수, 권기록. 인삼, 산양삼 및 산삼의 부위별 Proteome분석. 대한약침학회지. 2007;10 (2):5-18.
  80. 정희선, 임청산, 차배천, 최석호, 권기록. 인삼.산양삼.자연산 산삼의 ginsenoside 함량 분석 및 홍삼화 후의 변화 관찰. 대한약침학회지. 2010;13(1):63-77.
  81. 한영주, 권기록, 차배천, 권오만. 인삼과 산양삼, 산삼의 HPLC를 이용한 부위별 성분 분석 비교. 대한약침학회지. 2007;10(1):37-53.
  82. Mohammad Babar Ali, Kee-Won Yu, Eun-Joo Hahn, Kee-Yoeup Paek. 구리가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산삼부정근 배양에서Saponin과 생리적으로 산삼에 미치는 영향. 원예과학기술지. 2005;23(1):47.
  83. 인준교, 이범수, 김종학, 김진주, 양덕춘. 산삼배양근의 기내배양을 통한 고기능성 ginsenosides의 생산.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005;18(1):136-7.
  84. Zhi-Gang Qian, Kee-Won Yu, Eun-Joo Hahn, Kee-Yoeup Paek. 산삼부정근 배양에서 이차대사산물의 함량증가를 위한 새로운 elicitor의 적용. 원예과학기술지. 2005;23(1):47.
  85. 신미희. 산삼의 배양 및 그 응용에 관한 연구. 대한화장품학회지. 2001;27(2):45-56.
  86. Mohammad Babar Ali, Eun-Joo Hahn, Kee-Yoeup Paek. 생물반응기 내 산소농도가 조직배양 산삼의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원예과학기술지. 2004;22(1):121.
  87. 인준교, 권우섭, 이범수, 김종학, 민진우, 양덕춘. 인공타액처리에 의한 산삼배양근의 향기성분 변화 분석. 고려인삼학회지. 2009;5:97-186.
  88. 리혁, 강태환, 녕효봉, 조성찬, 한충수. 산삼배양근의 원적외선 건조특성. 비아오시스템공학. 2009;34 (3):175-82.
  89. 황종현, 유광원, 박성선, 고종호, 오성훈, 서형주, 이상화. 산삼배양근의 저장 중 품질변화 억제.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8;37(10):1312-7.
  90. 양혜진, 기염청, 정기화, 류기형. 압출성형 산삼배양근의 발효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8;37 (12):1654-9.
  91. 한재윤, 정기화, 류기형. 압출성형 산삼배양근의 이화학적 성질 및 침출특성의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8;37(8):1018-24.
  92. 김준한, 문혜경, 강우원, 김종국. 추출용매조건이 한국산 장뇌 산삼 추출물의 유용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2003;9:3-106.
  93. 차배천, 윤휘철, 이대호, 박재석, 권기록. 열처리 및 발효과정이 인삼 및 산양삼의 ginsenoside 함량에 미치는 영향. 대한약침학회지. 2010;13(2):33-49.
  94. 정헌상, 강태수, 우관식, 백기엽, 유기원, 양승준. 산삼배양근 첨가가 알콜 발효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2005;12(4):402-10.
  95. 김재원, 이신호, 노홍균, 홍주헌, 윤광섭. 산삼배양근 추출물의 항산화 특성-식품소재 첨가물로 이용.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2010;17(6):861-6.
  96. 손상익, 박종걸, 황효선, 우관식, 정헌상, 강태수, 백기엽, 유기원. 산삼배양근을 이용한 증류주의 제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5;10:1-530.
  97. 김재원, 이혜림, 윤광섭. 산삼배양근을 첨가한 돔배기의 제조와 이화학적, 조직학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 (초).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2010;1:258.
  98. 배귀석, 남경표, 김혜숙, 이상구, 최행석, 민우기, 주종원, 맹원재, 장문백. 산삼배양액 이용에 관한 반추위 미생물 대사 연구.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2003; 45(6):987-96.
  99. 김준한, 박주석, 이기동, 임명섭, 최광규. 산양산삼, 홍삼추출물 첨가 속성발효 멸치어간장의 제조 및 품질평가.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2009;1:160-1.
  100. 김준한, 박주석, 이기동, 임명섭, 최광규. 속성발효 갈치어간장 제조시 산양산삼,홍삼추출물 첨가가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2009; 1:160.
  101. 진상근, 김일석, 김수정, 정기종, 이제룡. 산삼 배양액 급여 돈육의 지방산, 아미노산 조성 및 관능적 특성.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006;26(3):349-55.
  102. 진상근, 김일석, 정현정, 김동훈, 이제룡. 산삼 배양액 급여가 돈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식품학회. 2006;26(3):337-42.
  103. 설재원, 박재홍, 채준석, 강형섭, 류경선, 강춘성, 박상열. 산삼 배양액 급여가 육계의 육질에 미치는영향 연구. 한국가금학회지. 2010;37(2):151-8.
  104. 설재원, 황인호, 채준석, 강형섭, 류경선, 강춘성, 박상열. 산삼 배양액을 급여한 육계에서 근육의 프로테옴 분석. 대한수의학회지. 2005;45(2):155-61.
  105. 박재홍, 신오식, 류경선. 산삼 배양액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 능력 및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2005;32(4):269-73.
  106. 박재홍, 신오식, 류경선. 산삼 배양액의 음수급여가 산란계의 생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2005;11:8-133.
  107. 장해동, 한은주, 전원경, 백기엽, 김효진, 신승오, 김인철, 박준철, 김진동, 김인호. 산삼 부정근박 급여가 육성-비육돈의 생산성, 혈액성상 및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2008;50(5): 677-86.
  108. 설재원, 박재홍, 채준석, 강형섭, 류경선, 강춘성, 박상열. 산삼배양액 급여에 따른 육계의 생산성 및 질병 저항성 효과. 대한수의학회지. 2010;50(2):85- 91.
  109. 설재원, 채준석, 강형섭, 강춘성, 인동철, 박상열.산삼배양액을 급여한 돼지에서 근육의 프로테옴 분석. 한국임상수의학회지. 2011;28(1):75-80.
  110. 유창연, 이재근, 성은수, 김병준, 권순성, 고은정, 안형신, 이종윤. 생물반응기 배양에 의한 산삼 수확후 배양액이 무의 초기 생장에 미치는 효과. 농업과학연구지. 2009;20:55-60.
  111. 배양산삼 분말 및 그 발효산삼배양액 분말 첨가가 비육돈의 생산성 및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수의학회지. 2011;28(1):75-80.
  112. 장해동, 김해진, 민병준, 조진호, 진영걸, 유종상, 이재정, 한무호, 김인호. 발효산삼 배양액 부산물 급여가 비육돈의 생산성, 혈액성상, 육질특성 및 육내 Ginsenoside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2007;49(3):329-40.
  113. 장해동, 김해진, 조진호, 진영걸, 유종상, 민병준, 박준철, 김인호. 발효 산삼 배양액 부산물 급여가 산란계의 산란율, 계란 품질, 혈액특성 및 난황내 진세노사이드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2007;34(4):271-8.
  114. 진상근, 김일석, 정현정, 김동훈, 이제룡. 돈육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에 미치는 산삼 배양액 급여 영향.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006;26(3):337-42.
  115. 인준교, 양덕춘. 산삼 배양근의 현황과 전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004;17(1):1-18.
  116. 박훈, 박애경. 산삼의 연구. 고려인삼학회지.2007:311-20.
  117. 양덕춘. 안정성 검사를 통한 산삼배양근의 실용화.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003;16(1):1-32.
  118. 정경연, 김갑성, 금갑성. 사향 우황 웅담 복합제제(OK)약침이 백서의 류마티스 관절염중 혈액학적인 변화 및 Collagen 의 분포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1999;16(3):255-68.
  119. 정경연, 김갑성, 윤종화. 牛黃 . 態膽 . 麝香 複合製劑 藥鍼刺戟이 LPS誘發 關節炎의 免疫反應에 미치는 影響. 대한침구학회지. 2001;18(1):113-28.
  120. 황병태, 김희철, 황우준. 우황(牛黃).웅담(熊膽) 약침(藥鍼)이 Adjuvant 관절염(關節炎)에 미치는 영향(影響). 대한약침학회지. 1997;1(1):35-52.
  121. 도원석, 김경호, 김갑성. 楡白皮, 桂枝, 牛膝, 蜂毒 및 牛黃 . 態膽 . 麝香복합제제 藥鍼이 mouse의 LPS 誘發 關節炎의 血液學的 變化에 미치는 影響. 대한침구학회지. 2001;18(1):157-69.
  122. 위통순, 나창수, 윤여충. 자침과 우황․웅담 약침이 백서의 Adjuvant Arthritis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2;19(2):164-76.
  123. 나창수, 김정상, 권오섭, 황우준. 흰쥐의 관절염에 미치는 熊膽․牛黃 藥鍼과 猪膽․牛黃 藥鍼의 효능비교. 대한침구학회지. 1999;16(1):533-47.
  124. 이병철, 한명관, 나창수, 한명권. 藥鍼이 Freund's Complete Adjuvant와 Peptidoglycan Polysaccharide에 의해서 誘發된 白鼠의 關節炎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통의학지. 1997;7(1):46-56.
  125. 황병태, 나창수, 황우준. 사향(麝香).우황(牛黃).웅담(熊膽) 약침(藥鍼)이 부자(附子)로 유발(誘發)된 간손상(肝損傷)의 회부(恢復)에 미치는 효과(效果)에 관한 관찰(觀察). 대한약침학회지. 1997;1(1):1-21.
  126. 나창수, 홍석, 김희철, 금희철. 麝香․牛黃․熊膽 藥鍼이 肝損傷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대한한의학회지. 1996;17(2):251-63.
  127. 황병태, 김정상, 황우준. 약침(藥鍼)이 부자(附子)로 유발(誘發)된 간손상(肝損傷)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한 전자현미경적(電子顯微鏡的) 연구(硏究). 대한약침학회지. 1997;1(1):22-34.
  128. 최영주, 이미경, 손여원, 이흠숙, 김영중, 민홍기. 우황과 사향의 간세포 보호효과. 응용약물학회지. 1996;4(3):271-4.
  129. 박태호, 성락술, 이영종, 성낙술. 웅담, 우황 및 웅황탕(熊黃湯)이 galactosamine에 의한 흰쥐의 급성간염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5;20(2): 127-36.
  130. 나창수, 김정상, 김희철, 김병수, 황우준. 熊膽, 牛黃 藥鍼의 效能 觀察을 위한 微細構造的 硏究. 대한한의학회지. 1997;18(1):430-45.
  131. 한나영, 서형식. 웅담․우황약침액이 다종의 각막염 유발균에 미치는 영향. 대한약침학회지. 2010; 13(2):101-10.
  132. 서형식. 점안용 웅담.우황.사향약침액의 유효성평가. 대한약침학회지. 2009;12(3):41-7.
  133. 서형식. 점안용 우황약침액의 안전성 및 유효성평가. 대한약침학회지. 2009;12(3):61-72.
  134. 서형식. 점안용 우황약침액의 안점막자극실험. 대한약침학회지. 2008;11(2):81-5.
  135. 서형식. 점안용 웅담.우황약침액의 안점막자극실험. 대한약침학회지. 2008;11(3):99-104.
  136. 서형식. 점안용 웅담.우황.사향 약침액의 안점막 자극실험. 대한약침학회지. 2008;11(3):105-11.
  137. 박중양, 김병탁, 금병탁. 麝香.牛黃.三七根 複合方이 高脂血症 및 腦損傷에 미치는 影響.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1999;8(1):425-49.
  138. 조희철, 이시형, 신조영, 김강산, 조남근, 권기록, 임태진. 웅담과 우황약침이 지방세포 대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7;24(4):125-42.
  139. 나창수, 김정상, 박근형. 약침에 사용되는 우황 , 웅담과 저담의 항미생물 활성에 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1997;14(1):420-6.
  140. 손은화, 박재현, 김경란, 김병오, 이동권, 표석능. 우황이 생쥐의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생약학회지. 1998;29(1):48-55.
  141. 은재순, 강성영, 한종현. 암세포주에 대한 우황 50% MeOH 엑스와 함암제의 병용효과. 우석대학교 논문집. 1994;16:31-52.
  142. 차용석, 금재규, 최용태. 웅담(態膽)우황 및 향일 규유약침자극(向日葵油藥鍼刺戟)이 생쥐 피부암의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1993; 10(1):9-19.
  143. 이휘용, 이진복, 조이현, 송범용, 육태한. 녹용약침과 웅담,우황(BU)약침이 정상인의 심박변이도(HRV)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10;27(1): 65-74.
  144. 이진복, 송범용, 육태한. 홍화자약침과 웅담.우황 약침이 심박변이도(HRV)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10;27(2):11-21.
  145. 유은주, 김종인, 고형균. 웅담(熊膽).우황(牛黃).사향(麝香) 약침액(藥鍼液)이 Nitric Oxide 소거(消去)에 미치는 영향(影響). 대한침구학회지. 2006;23(4): 115-21.
  146. 우창훈, 이경민, 이봉효, 임성철, 정태영, 서정철 웅담합우황(熊膽合牛黃) 약침액(藥鍼液)의 NitricOxide에 대한 억제효과(抑制效果). 대한침구학회지. 2007;24(2):221-9.
  147. 정시영, 박재우, 신정미, 김지영, 윤인애. 급성기 요통에 대한 침치료와 우황,웅담 사향약침 병행치료의 효과 비교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11;28(4): 105-10.
  148. 서정철, 서보명, 이윤경, 최성훈, 김경운, 윤종석, 임성철, 정태영, 한상원. 좌섬요통에 대한 BU 약침의 효과. 대한약침학회지. 2005;8(2):5-10.
  149. 윤대환. 우황(牛黃) 및 Pear Phenolic compound가 백서(白鼠)의 혈압(血壓) 변화(變化), 혈장(血漿) Renin, ANP에 미치는 영향(影響). 대한본초학회지. 2006;21(2):143-50.
  150. 소경순, 정찬길, 이상운, 박병모, 김재형, 강대인, 조후리, 김광호. 우황(牛黃).웅담약침액(熊膽藥鍼 液)(BU)의 급성독성(急性毒性)에 관한 실험적(實驗 的) 연구(硏究). 대한약침학회지. 2001;4(3):68-83.
  151. 나창수, 김정상, 안영선, 박석천, 김종석. 웅담(熊 膽).우황(牛黃), 저담(猪膽).우황(牛黃)을 배합별(配 合別)로 제조(製造)한 약침(藥鍼)이 위운동(胃運動) 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1998;19(1): 318-28.
  152. 남현석. 태음인의 우황약침. 대한약침학회지. 2002;4(3):105-8.
  153. 정창영. 시판 우황 및 담즙류의 성분 비교 연구.생약학회지. 1991;22(1):60-1.
  154. 하인식, 김승환, 차봉진, 권종원, 양중익, 민신홍. 효소반응법을 이용한 우황 및 우황함유 액상 제제중 총담즙산의 정량. 한국제약학회지. 1991;21: 67-71.
  155. 장호송, 남상윤, 강종구. 마우스에서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TCDD)에 의해 유발된 간독성에 대한 웅담의 방어효과. 생약학회지. 2001;32(2):121-7.
  156. 金炳卓. 熊膽의 Carbon tetra chloride에 依해 損傷된 白鼠의 肝藏에 미치는 效果. 원광대학교 학위논집. 1979;2:189-96.
  157. 김현도, 이규재, 박승규, 권기록. 웅담이 $CCl_4$로유발된 mouse의 간 손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약침학회지. 2005;8(3):31-8.
  158. 윤성식, 서형식. 웅담약침액이 다종의 각막염 유발균에 미치는 항균력에 대한 실험. 대한약침학회지. 2010;13(1):45-52.
  159. 서형식. 점안용 웅담약침액의 안점막자극실험. 대한약침학회지. 2008;11(3):93-7.
  160. 연광해, 최윤호, 채옥희, 송창호. Compound 48-80에 의한 비만세포 활성화와 IgE에 의한 혈관투과성 증가에 대한 웅담의 억제효과. 대한체질인류학회지. 2009;22(1):71-83.
  161. 연광해, 최윤호, 임정민, 김지현, 채옥희, 한의혁, 김형태, 이무삼, 송창호. 비만세포 활성화와 피부 혈관투과성 증가에 대한 웅담의 억제효과. 대한체질인류학회지. 2007;5:1-65.
  162. 정재환, 이진용, 김덕곤, 정규만. 웅담(熊膽) 및 우루소데옥시콜린 산(酸)의 항(抗)알레르기 효과(效果)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1996;10(1):299-321.
  163. 한충택, 박대훈, 김남호, 황지윤, 서홍덕, 위명복, 정배동, 권명상. 웅담의 투여가 고 콜레스테롤 섭취 흰쥐의 체내 콜레스테롤 축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험동물학회지. 2003;19(1):52-60.
  164. Jeong Sook PARK, Dong Ho YOO, In Jeong LEE, Eunmiri ROH, Youngsoo KIM, Kun HAN. Therapeutic Effect of Whole Bear Bile and Its Components against Croton Oil-Induced Rectal Inflammation in Rats. Biomolecules & Therapeutics. 2010;18(1):83-91. https://doi.org/10.4062/biomolther.2010.18.1.083
  165. 김욱, 문용석, 정효순, 최인장. 암세포주의 p53 단백질 발현에 대한 웅담의 영향. 대한해부학회지.2005;38(1):49-54.
  166. 주성수, 김성근, 유영민, 류인왕, 김경훈, 이도익. 생쥐 뇌소교세포주에서 웅담추출활성성분(우르소데옥시콜린산)의 항산화 및 세포보호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2006;38(3):452-5.
  167. 박정훈, 최인화. 족삼리(足三里)에 시술한 웅담 약침이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동물 모델의 각질층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05;26 (3):13-26.
  168. 조동욱. RAPD 분석법을 이용한 산삼, 웅담, 녹용등의 판별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1995; 1(1):471-6.
  169. 김대원, 김도균, 안선경, 조동욱. RAPD(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법을 이용한 한약재의 판별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1997;3(1) 153-67.
  170. 이숙연, 유봉신, 문혜령, 김성경. 시판 웅담의 미량금속 정량에 관한 연구. 생약학회지. 1982;13(3): 102-5.
  171. 엄창국, 양봉석, 성경일, 홍병주. 연변지역에 있어 서 천연산 웅담과 인공사육산 웅담의 화학적 성분 비교.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1995:311.
  172. 박재석, 김성욱, 이규재, 권기록. 사향이 로 유발된 mouse의 간 손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약침학회지. 2006;9(1):45-52.
  173. 최은욱, 이장헌, 신상덕, 마응천. Mongolian Gerbil의 뇌허혈 유발에 따른 뇌조직 손상에 있어서 사향 함유 우황청심원액과 영묘향 함유 우황청심원액의 조직학적 효능 비교. 한국응용약물학회지. 2000;8 (3):255-61.
  174. 이보영, 강석봉. 麝香이 생쥐의 腦損傷에 미치는 影響. 대한한의학회지. 1995;16(2):299-311.
  175. 최은욱, 김기남, 신상덕, 조명행, 마응천, 마웅천. 영묘향함유 우황청심원액과 사향함유 우황청심원 액의 중추신경계에 대한 약리효과 비교시험. 대한약학회지. 2000;44(5):470-7.
  176. 허재혁, 김세길, 안일회, 신선호, 문병순, 성강경, 금세길. 中風急性期에 活用되는 麝香에 關한 文獻 的 考察. 대한한의학회지. 1995;16(2):100-14.
  177. 임석린. 사향(麝香)의 수용성분(水容性分)이 생쥐 복강내(腹腔內) 거식세포(巨食細胞)의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2;6 (2):147-55.
  178. 임석린. 사향추출물이 생쥐 대식세포의 염증 유발 싸이토카인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1;18:315-24.
  179. 은재순, 김대근, 송정모. 사향과 항암제 Mitomycin C의 병용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3;17(6): 1404-8.
  180. 최은욱, 조명행, 신상덕, 마응천. 사향함유 우황청심원액과 영묘향함유 우황청심원액의 혈압강하 작용 및 적출심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약리효능 비교. 생약학회지. 2000;31(3):310-9.
  181. 배남규, 권인선, 조영채. 한국인의 10년간 비만수준의 변화양상, 대한비만학회지. 2009;18(1):2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