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stume Styles of Femme Fatale in Film Noir - focused on < Double Indemnity(1944) > -

필름 느와르에 나타난 팜므 파탈의 복식유형 연구 - <이중배상(1944)>을 중심으로 -

  • Kim, Hye-Jeong (Dept. of Clothing Industry,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김혜정 (한경대학교 의류산업학과)
  • Received : 2011.02.07
  • Accepted : 2011.07.04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Femme Fatale in Film Noir is a wicked woman character who seduces the male partner to a ruin. In the film, the dress style is of extreme importance for the personality creation of the character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the plot. With this background, I have looked over the Femme Fatale dress style that appears in the movie . First, it expresses Femme Fatale which stresses the feminine trait by a dress style with enlarged chest and hip parts and long, slim silhouette with tight waist and knee line. Second, the Femme Fatale with pretended purity presents narcissistic satisfaction like a saint virgin by wearing a neck-high one-piece dress embellished with frills, but the use of mirror represents self-alienation and the vanity of purity. Third, the Femme Fatale with its military dress style presents authoritative sternness which leads seduced male into ruin with its destructive power. Fourth, wearing jersey type or knitted wear that sticks to the body presents sensual Femme Fatale. Fifth, the tulle, chiffon, and white handkerchief used for the creation of grotesque Femme Fatale represents harmlessness and prohibition of immoral behavior, and the black gloves, pillbox, and the number on the tulle present her uneasy psychological state from the fear of being discovered after murdering her husband. On the other hand, the see-through tulle presents alluring sensual beauty. Sixth, the combination of the dialogue in the final sequence and drapery type as in Greek goddess represents the saint virgin of salvation who acknowledges her own fault and returns to her purity again. In addition, accessories and others made from shining material represent hidden conspiracy through simple dress and contradictory dynamics, and shoes embellished with bonbon, etc represent sexual implications in connection with male.

Keywords

References

  1. 최민선(2010), "팜므파탈의 시각화에 대한 연구: <무방비 도시>와 <인사동 스캔들>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문화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유한나(2009), "한국영화에 나타난 팜므파탈 이미지와 캐릭터스타일링에 관한 연구: 의상, 헤어스타일, 메이크업을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박선정(2009), "팜므파탈의 토탈패션이미지 분석: 영화<발몽>과 <사랑보다 아름다운 유혹>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장미영, 조규화(2008), "영화<친절한 금자씨>의 복식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 패션비즈니스 12(1) pp.16-29.
  5. 박진배(2001), 영화 디자인으로 보기, 디자인하우스, p.89.
  6. 이형식(2001), 영화의 이해. 건국대학교 출판부, p.252.
  7. 이형식(2001), 영화의 이해. 건국대학교 출판부, pp.253-254.
  8. Wiliam A. Straw, "Problems in the Historiography of Cinema: the Case of Film Noir", MA thesis, McGill Univrsity, Montreal(1980), p.87
  9. 이수연(1998), "필름느와르의 유혹", 영화연구, 14, p.167 재인용.
  10. 수잔 헤이워드(2002), 영화사전, 이영기(역), p.423.
  11. 박진배(2001), 영화 디자인으로 보기, 디자인하우스, p.91.
  12. 이형식(2001), 영화의 이해. 건국대학교 출판부, pp.21-22.
  13. John Belton(2003), 미국영화, 미국문화, 이형식(역), pp.233-234.
  14. 토마스 샤츠(1996), 할리우드 장르의 구조, 한창호, 허문영(역), 한나래, p.184.
  15. 이수연(1998), "필름느와르의 유혹", 영화연구, 14, p.178.
  16. John Belton(2003), 미국영화, 미국문화, 이형식(역), p.236.
  17. 이형식(2001), 영화의 이해. 건국대학교 출판부, p.205.
  18. 수잔 헤이워드(2002), 영화사전, 이영기(역), p.67.
  19. 제프리 노웰(2005), 세계영화사, 이순호外(역), 열린 책들, p.408.
  20. 토마스 샤츠(1996), 할리우드 장르의 구조, 한창호, 허문영(역), 한나래, p.200.
  21. 토마스 샤츠(1996), 할리우드 장르의 구조, 한창호, 허문영(역), 한나래, p.184.
  22. 제프리 노웰(2005), 세계영화사, 이순호外(역), 열린 책들, p.376.
  23. 영화감독사전(한겨레 신문사, 2001), pp.291-292.
  24. cine korea co(2003), <이중배상(1938>DVD 자료.
  25. 제프리 노웰(2005), 세계영화사, 이순호外(역), 열린 책들, p.346.
  26. The fashion book,(Paidon Press, 2001), London, p.52.
  27. Gerda Buxbaum(ed.)(2005), Icons of fashion, New york; Pretel. p.44.
  28. 백영자, 유효순(1998), 서양의 복식문화, p.329.
  29. 앤드류 터커, 탬신 킹스웰(2000), 패션의 유혹. 예담, p.61.
  30. Gerda Buxbaum(ed.)(2005), Icons of fashion, New york; Pretel. p.52.
  31. 앤드류 터커, 탬신 킹스웰(2000), 패션의 유혹. 예담, p.59.
  32. cine korea co(2003), <이중배상(1938> DVD 자료.
  33. 블레인 브라운(1997), 영화 조명핸드북, 김창유(역), 책과 길, p.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