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easibility Study for Tidal Power Plant Site in Garolim Bay Using EFDC Model

EFDC모형을 이용한 가로림만의 조력발전 위치 타당성 검토

  • Shin, Bum-Shick (Research Center for Waterfront and New Ocean Energy Development, Kwandong University) ;
  • Kim, Kyu-Han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Kwandong University) ;
  • Kim, Jong-Hyun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Kwandong University) ;
  • Baek, Seung-Hwa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University of Incheon)
  • 신범식 (관동대학교 첨단해양공간개발연구센터) ;
  • 김규한 (관동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종현 (관동대학교 토목공학과) ;
  • 백승화 (인천대학교 도시환경공학부 도시건설공학전공)
  • Received : 2011.12.13
  • Accepted : 2011.12.26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Fossil fuel energy has become a worldwide environmental issue due to its effect on global warming and depletion in its supply. Therefore, the interest in developing alternative energy source has been rising. Ocean energy, especially, has gained strength as an alternative energy source for its unlimited supply with low secondary risks. Among all the ocean energy, the west coast of Korea holds the field of large-scale energy development because of its distinctive tidal range. Tidal power plant construction at the sea may expedite multi development effects such as bridge roles, tourism resource effects and adjustability of flood inundation at the inner bay. This study introduces the validity of tidal power plant construction at Garilim Bay in west coast of Korea by examining anticipated hydraulic characteristics using EFDC model. Through EFDC numerical simulations, the feasibility of Garolim Bay as a tidal power plant field has been proved. And the most effective tidal power plant construction would be to install hydraulic turbine in the west side of bay entrance where ebb current is stronger, and install water gate in the east side of bay entrance where the flood current is superior.

해양에너지는 무궁무진한 부존량을 지니고 있으며 2차적인 환경문제를 야기 시키는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더욱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서해안은 조수간만의 차가 크기 때문에 해양에너지 중에서도 조력발전을 통한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창출이 유리한 지역이다. 아울러 조력발전을 위한 발전소를 해상에 설치 할 경우, 댐 건설에 따른 교량효과, 관광자원효과 및 만내 하천범람을 조절효과 등 다목적의 개발 기대효과를 얻을 수 있다. 조력발전을 위해서는 외해 조석과 발전소 운전에 따른 조지수위 변화에 따라 결정되는 가용수두가 크고, 비교적 광역의 조지면적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용수두가 클 뿐만 아니라, 만입구가 좁고, 만내에 넓은 조지면적을 지닌 서해안에 위치한 가로림만에 조력발전소를 건설할 경우, 조력발전에 따른 효과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수리특성의 변화를 EFDC모델을 이용한 수치모형실험을 통해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조력발전 입지로서의 가로림만의 입지타당성을 확인하였으며, 대상지역은 창조시의 유속보다는 낙조시의 유속이 빠르기 때문에 낙조시 유속이 빠른 서측수로에 수차발전기를 설치하고 동측수로에 수문을 설치해야 하는 등의 설계 지견을 얻을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승윤, 김형철, 김평중, 박경수, 고준영, 전상백, 이승민, 박종수 (2009). 가로림연안 수질환경의 특성과 장기변동, 해양환경안전학회, 15(4), 315-328.
  2. 유승흔, 이주석 (2008). 가로림만의 환경가치평가, 경제학연구, 56(3), 5-28
  3. 가로림 조력발전(주) (2011). 가로림조력 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서(초안)
  4. 국립해양조사원 (2010). 조화/비조화상수자료(홈페이지, http://www.khoa.go.kr).
  5. 가로림만 연안관리지역계획 (2006). 해양수산부
  6. Baker A.C.,(1991), Tidal Power, Peter Peregrinus Ltd. London, United Kingdom
  7. Smagorinsky, J. (1963). "General circulation experiments with the primitive equation, I. The basic experiment." Monthly Weather Review, 91, 99-164. https://doi.org/10.1175/1520-0493(1963)091<0099:GCEWTP>2.3.CO;2
  8. Hamrick, J. M.,(1992). A three dimensional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mputer code: Theoretical and computational aspects. Special report, The college of William and Mary, Virginia institute of marine science, Glouceslter point, V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