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Design in Smart Space - Centered on Future Housing Gallery of Construction Companies -

스마트 공간에서 감성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건설사 미래 주택전시관을 중심으로 -

  • 김미실 (조선대학교 디자인경영) ;
  • 문정민 (조선대학교 실내디자인과)
  • Received : 2011.10.31
  • Accepted : 2011.12.09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Various thoughts about the concept of space have brought a variety of paradigms to the trend. Just as existing information innovation applied activity and function of physical space for computers to overcome time and space limits, future space transplants intelligence to all the objects as organic whole in electronic and physical space by using IT technology to create emotional space. The most universal housing space in our living has had considerable changes in application of life style and technology. However, advanced technology space which corresponds to acceptance and desires of residents does not meet the needs and emotion of residents because of its limited network system. Therefore, it should be transformed into smart space which stimulates human emotion in the trend of advanced technology culture. As future residential space needs technological elements and design process which can stimulate human emotion, this study is to analyse it as a base of emotional design. This study aims to present characteristics of space image for space realization which meets the age of smart technology in terms of unifying smart space with emotional design, focusing on four future housing galleries shown by construction companies. First, the study speculated smart space in theory and classified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smart space into connectivity, sensitivity, reiteration and variability according to changes in space paradigm. Second, the study identified the background and main points emotional design appeared, analysed types of smart space based on characteristics of experimentation, connectivity and symbolism and speculated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design in each type. In respect to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design in smart space, organic connection and sensitivity are remarkably presented through experimentation and reiteration is presented through organic connection and experimentation, and variability through symbolism and experimentation.

Keywords

References

  1. 한국과학기술원, 감성디자인 기반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처, 1993
  2. 오영근, 건축 . 감성디자인의 언어, 시공문화사, 2002
  3. 권영걸, 공간디자인 16강, 도서출판국제, 2001
  4. 김억.박희령.이지현, 바디 메타포(유비쿼터스 기술과 환경), 스페이스타임, 2008
  5. 도널드 노먼, 생각 있는 디자인, 인지공학섬리연구회 편역, 학지사, 1998
  6. 강민수, 디지털기술과 감성기술을 이용한 미래 공간의 특성과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매한건축학회논문집 26권 4호, 2010
  7. 민병택.지용규, 어포던스 디자인을 적용한 스마트공간 구축 요인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회 vol.9. No.3, 2008
  8. 박수정, 도요이토 공간디자인에 나타난 감성적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논문집 통권8호, 2005
  9. 문희범, 지능형 공간기술의 적용에 관한 기초 연구, 국민대 석론, 2010
  10. 박희령, 유기체론과 감각론적용을 통한 유비쿼터스 공간디자인연구, 홍대박사, 2006
  11. 배은경, 주거환경 변화에 의한 스마트 홈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학회논문집 통권6호, 2008
  12. 백승경, 생태요소를 적용한 감성 공간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통권49호, 2005
  13. 오영근, 공간디자인에서의 감성적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통권43호, 2004
  14. 오영근, 몸 움직임에 따른 감성표현과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통권66호, 2008
  15. 은이선, 현대 실내디자인에 표현된 디지털 미디어의 비주얼 인터페이스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통권 58호, 2006
  16. 이상철,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의 공간디자인 개념 적용, 대한전기학회 추계학술논문집, 2009
  17. 이윤신.정철모.김용성, 스마트 기술 발달로 인한 주방 공간의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 25권, 2006
  18. 이장욱, 감성디자인을 적용한 체험 전시공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논문집 통권 52 집, 2008
  19. 정은주, 감성 인터랙션 공간디자인의 개념적 접큰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논문집 통권9호, 2005
  20. 전송이, 감성적 디자인으로 접근한 패션 리테일 샵 공간의 연속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통권 232호, 2008
  21. 조은란, 과학관 전시공간에 나타난 감성적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 5권 4호 통권 14호, 2010
  22. http//www.prugio.com/valley/
  23. http://www.xi.co.kr/
  24. http//www.hillstate.co.kr/
  25. http//www.weveap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