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tical Analysis of Segmented Arc Plasma Torch for Plasma Wind Tunnel Facility

플라즈마 풍동 시설용 분절형 아크 플라즈마 토치의 이론적 설계변수 해석

  • 서준호 (전북대학교 고온플라즈마응용연구센터구축사업단) ;
  • 최수석 (서울대학교 핵융합로공학 선행연구센터) ;
  • 최성만 (전북대학교 기계항공시스템공학부) ;
  • 홍봉근 (전북대학교 고온플라즈마응용연구센터구축사업단)
  • Received : 2010.12.03
  • Accepted : 2011.06.24
  • Published : 2011.08.30

Abstract

A parametric study is conducted for the design of segmented arc plasma torch with the input power and current of 0.4 MW and 300 A, respectively. For this purpose, we use the analytical relationship between input power, current condition, plasma temperature, inner diameter (R) and length (L) of the torch constrictor based on arc channel model. The results reveal that arc plasma temperatures increase monotonically as ��L increases or R decreases for the ranges of R ${\leq}$ 7.5 mm and L ${\leq}$ 1.25 m. For larger valuse of ��R and L than 7.5 mm and 1.25 m, respectively, however, they show non-linear behavior corresponding to the variations of ��L, which stands for the generation of unstable arc plasma. From this parametric study, optimum ranges of R and L are suggested as 5.5 mm ${\leq}$ R ${\leq}$ 7.5 mm and 0.25 m ${\leq}$ L ${\leq}$ 0.5 m for 0.4 MW class segmented arc plasma torch, under which stable arc plasma can be achieved at the input currents of ~300 A.

아크 채널 모델을 이용하여 플라즈마 온도를 매개로 플라즈마 입력전력과 전류 조건에 따른 간극 반지름(R) 및 간극팩 묶음 길이(L) 변수 계산이 가능한 해석해를 유도하고 이를 이용하여 300 A 전류조건에서 0.4 MW 급 분절형 아크 플라즈마 토치에 대한 해석적 설계 변수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 결과, R��${\leq}$ 7.5 mm, L ${\leq}$ 1.25 m 인 범위에 대해, L이 길어지거나 R이 작아질 때, 플라즈마 온도는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이상의 범위에서는 증가하다 감소하는 비선형 현상이 존재하여 주어진 전류 및 전력조건에서 아크 플라즈마의 형성이 불가능하거나 불안정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입력전류가 300 A 일 때, 아크 플라즈마 온도를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지는 0.4 MW 급 분절형 아크 플라즈마 토치의 간극 반지름 R 및 간극팩 묶음 길이 L의 설계범위를 각각 5.5 mm ${\leq}$ R ${\leq}$ 7.5 mm, 0.25 m ${\leq}$ L ${\leq}$ 0.5 m 범위로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상목, "우주개발 정책 방향," KSAS 매거진, 제3권, 제1호, 2009, pp.4-7
  2. 공현철, 임창호, 최홍택, "주요 국가의 우주개발 장비 비전 비교 연구," 한국항공우주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2006, pp.514-517
  3. Purpuraa, C., Filippisa, F., Grapsa, E., Trifonia, E., and Savinob, R., "The GHIBLI plasma wind tunnel: Description of the new CIRA-PWT facility," Acta Astronaut., Vol. 61, 2007, pp.331-340 https://doi.org/10.1016/j.actaastro.2007.01.046
  4. Marieu, V., Reynier, Ph., Marraffa, L., Filippisa, F., and Caristia, C., "Evaluation of SCIROCCOplasma wind-tunnel capabilities for entry simulations inCO2 atmospheres," Acta Astronaut., Vol. 61, 2007, pp.604-616 https://doi.org/10.1016/j.actaastro.2006.12.006
  5. Takahashi, Y., Kihara, h., and Abe, K., "Numerical Investigation of Nonequilibrium Plasma Flows in Constrictor- and Segmented- Type Arc Heaters," J. Thermophys. Heat Transfer, Vol. 24, No. 1, Jan.-Mar. 2010, pp.31-39 https://doi.org/10.2514/1.43565
  6. Funaki, I., Kubota, K., Okuno, Y., Sato, H., Fujino, T., "Numerical study of low-power MPD arcjet," AJCP, Mar. 2008, pp.570-573
  7. 신재렬, 이대성, 오세종, 최정열, "하이드라진 아크젯 추력기의 수치적 모델링," 한국항공우주학회지, 제36권, 제9호, 2008, pp.907-915 https://doi.org/10.5139/JKSAS.2008.36.9.907
  8. Fauchais, P., and Vardelle, A., "Thermal plasmas," IEEE Trans. Plasma Sci., Vol. 25, Dec. 1997, pp.1258-1280 https://doi.org/10.1109/27.650901
  9. Raizer. Y. P., Gas Discharge Physics, Springer-Verlag, 1991
  10. Zukov, M. F., Zasypkin, I. M., Timoshervskii, A. M., Mikhailov, B. I., and Desyatkov, G. A., Thermal Plasma Torches : Design, Characteristics, Application, Cambridge International Science Publishing Ltd., 2007
  11. Boulos, M. I., Fauchais, P., and Pfender, E., Thermal Plasmas :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Volume 1, Plenum Press, 1994
  12. 이정일, 김규홍, 김종암, 노오현, "아크히터 내부의 유동장 계산," 한국항공우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I), Nov., 2003, pp.601-604
  13. 이정일, 김규홍, 김종암, "아크히터 내부의 난류 효과에 대한 고찰," 한국항공우주학회지, 제33권, 제5호, 2005, pp.1-8 https://doi.org/10.5139/JKSAS.2005.33.5.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