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spect of Weed Occurrence by Methods of Weed Control in Rice Field

논에서 잡초 방제방법에 따른 제초효과

  • Kim, Yoon-Ha (School of Applied Bio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ang, Sang-Mo (School of Applied Bio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han, Abdul Latif (School of Applied Bio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Joon-Hee (School of Applied Bio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In-Jung (School of Applied Bio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1.03.15
  • Accepted : 2011.03.24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In present study we focused on the weed occurrence and diversity in rice field according to methods of weed control. Experiments comprised of no herbicide treatment (NHT), herbicide treatment (HT) and golden apple snail treatment (GAST) within the three months (July to September) of growing rice. According to results, five to seven different weed species were found in NHT, while two to four different weed species were found in HT and GAST. Monochoria vaginalis was dominant species during growing period in NHT and HT while Lemna paucicostata was the dominant in July but Persicaria hydropiper was dominant for August and September. Simpson's dominance index was highest in GAST(0.96)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NHT 0.27 and HT : 0.51). The similarity coefficient was 50.31%, 4.65% and 0.38% for NHT versus HT, NHT versus GAST and HT versus GAST,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weed species diversity, dominance and similarity coefficient were varied in different weed control methods of rice growing.

본 연구는 잡초방제방법에 따른 논 포장내 잡초발생과 다양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실험은 3개월(7월~9월)동안 무제초제, 제초제 처리 및 왕우렁이 처리로 잡초방제방법을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무제초제구에서는 5~7종류의 잡초종이 발견된 반면, 제초제 처리구 및 왕우렁이 처리구에서는 2~4종류의 잡초종이 발견되었다. 무제초제구 및 제초제 처리구에서는 실험기간동안 물달개비가 우점종 이었으나, 왕우렁이 처리구에서는 좀개구리밥과 여뀌가 우점종이었다. 왕우렁이 처리구에서 우점도 지수는 0.96으로 무제초제구(0.27) 및 제초제 처리구(0.51)에 비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유사성 계수는 무제초제구와 제초제 처리구에서 50.31%, 무제초제구와 왕우렁이 처리구에서 4.65% 및 제초제 처리구와 왕우렁이 처리구에서 0.38%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잡초종 다양성, 우점도 지수 및 유사성 계수는 잡초방제방법에 따라 확연히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연충, 송득영, 이상복, 성기영, 박정화. 2002. 벼 재배양식에 따른 잡초다양성 변화. 한국잡초학회지22(3):254-258.
  2. 권오도, 박흥규, 안규남, 이인, 신서호, 신길호, 신해룡, 국용인. 2010. 벼 친환경재배에서 왕우렁이의 잡초방제효과 및 피해. 한국잡초학회지 30(3): 282-290.
  3. 김도익, 고숙주, 최덕수, 강범용, 임경호, 김선곤, 김종선. 2010. 유기농업 논과 과수원에서 생물다양성. 한국유기농업학회 상반기 학술발표회 146-168.
  4. 김도익, 김선곤, 최경주, 강범용, 박종대, 김정준, 최동로, 박형만. 2007. 전남지역 왕우렁이의 발생 생태 및 피해. 한국응용곤충학회지 46(1):109- 115.
  5. 박태선, 구본일, 강신구, 최민규, 박홍규, 이경보, 고재권. 2010. ACCase 및 ALS 저해 제초제들에 대한 저항성 강피의 반응과 대체약제들의 효과. 한국잡초학회지 30(3):291-299.
  6. 성기영, 전원태, 조현숙, 김민태, 김충국. 2009. 녹비 연용 벼 재배 논에서 잡초발생 조사. 한국잡초학회지 29(3):204-212.
  7. 안설화, 이상복, 류철현. 2008. 벼 기계이앙 논에서 잡초방제와 벼 생육에 대한 대두박 및 대두박과 쌀겨의 혼합효과. 한국잡초학회지 28(3):236-241.
  8. 윤성탁, 박상헌, 김영휘. 2007. 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친환경 벼 생산체계의 관한 연구-EM 등 친환경 농자재 처리수준이 벼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5(2):207-218.
  9. 이상계, 이용환, 김지수, 이병모, 김미자, 신재훈, 김한명, 최두회. 2005. 유기 및 관행벼 재배지 병해 와 잡초 발생 및 방제에 관한 연구.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3(3):291-300.
  10. 이상범, 고문환, 나영은, 김진호. 2002. 왕우렁이의 생리.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농학회지 21(1):50-56.
  11. 이용환, 이상민, 성좌경, 최두희, 김한명, 류갑회. 2006. 유기 논농업 토양관리 기술개발.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4(2):205-217.
  12. 임일빈, 국용인, 강종국, 김선, 황재복. 2005. 올미 (Sagittaria pigmaea Miq.)의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 및 방제 특성. 한국잡초학회지 25(1):28-35.
  13. 제10차 람사르협약 당사국총회. 2008.
  14. 황인택. 2003. Acetolactate Synthase 저해 제초제에 대한 식물체내 저항성 발현 기작. 한국잡초학회지 23(1):11-27.
  15. Margalef, D.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Amer. Natur. 97:357-374.
  16. Shannon, C. 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25 p.

Cited by

  1. Evaluation of a Crank-type Walking Cultivator for Upland Farming vol.39, pp.1, 2014, https://doi.org/10.5307/JBE.2014.39.1.001
  2. Growth Responses of Rice and Barnyardgrass Varieties to Flooding at Early Growing Period vol.59, pp.3, 2014, https://doi.org/10.7740/kjcs.2014.59.3.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