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지역 여대생의 에고노미 성향이 셀프 메이크업 및 외모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gonomy Tendency on Their Self-makeup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University Women in Jeonbuk Province

  • 박효원 (전북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
  • 김용숙 (전북대학교 의류학과.인간생활과학연구소)
  • Park, Hyo-Won (Dept. of Clothing & Textiles,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Yong-Sook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 투고 : 2011.11.21
  • 심사 : 2011.12.15
  • 발행 : 2011.12.3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gonomy tendency on their self-makeup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university women in Jeonbuk province.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Frequency analyses, reliability analyses, cross-tabu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Factors of university women's egonomy tendency were individuality, value, luxury good, style, design, appearance, and economic feasibility. University women were classified into the egonomy retarde group(G1), the value pursuing group(G2), the economic feasibility pursuing group(G3), and the highly egonomy pursuing group(G4). G1 were indifferent to their makeup methods and appearance management, had the least experience in buying recommended cosmetics or idea cosmetics. G2 invested time and efforts in makeup and managed their appearance with cosmetics or folk remedies, had less experience in buying artist brand cosmetics. G3 performed makeup frequently, were not much interested in appearances while showing the most frequen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using cosmetics of folk remedies, and spent small amount of money to buy cosmetics. G4 showed high frequencies of all factors of self-makeup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had the most experience in buying artist brand cosmetics and spent much amounts of money to buy cosmetics. Self-makeup behavior was affected by their tendencies to pursue individuality, values, appearanc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was affected by their tendencies to pursue luxury goods, appearance, and economic feasibi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혜원 (1995). 의상사회심리학. 서울: 교문사.
  2. 김나경 (2011). "2011년 대한민국 20대의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 LGERI 리포트.
  3. 김난도, 최인수, 윤덕환 (2010). 2011대한민국 소비지도 소비자는 무엇을 원하는가. 한국경제신문 한경 BP.
  4. 김민주 (2008). 세상을 소비하는 인간, 호모콘수무스. 교보문고.
  5. 김민주, 김정원, 이정아, 이재구 (2010). 2011 트렌트 키워드. 서울: 미래의 창.
  6. 김선희 (2003). "외모에 대한 사회, 문화적 태도와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1권 5호.
  7. 김성남, 이경숙 (2007). "20-40대 여성의 외모관심도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패션비즈니스학회지 11권 4호.
  8. 김수영, 이소영, 조웅희 (2004). "전통매체의 속성을 간직한 뉴미디어." 제일기획.
  9. 김영신 (2009). 소비자트렌드의 이해. 충남대학교 출판부.
  10. 김유성, 박옥련 (2010). "자기애 성향에 따른 집단별 미용추구혜택이 미용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16권 3호.
  11. 김은희 (2003). "화장품 광고에 나타난 메이크업 이미지 변천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해정 (2008). "자기애성향에 따른 외모관여도 및 의복 소비가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효춘 (2009). "에고노미 시대, 나에게 푹 빠진 사람들." 시사저널 1005호,
  14. 대한상공회의소 (2008). 후기정보화시대의 새로운 소비트렌드와 기업의 대응과제. 10월 16일.
  15. 문권모 (2005). "자기 중심적 소비심리를 사로 잡아라." LG주간경제 11월 9일.
  16. 박선희 (2001). "현대여성의 화장행위와 성격유형과의 관계성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수진, 박길순, 김서연 (2006). "여대생의 메이크업에 대한 행동 및 의식 조사 연구: 대전, 충남지역 중심으로." 한국패션뷰티학회지 4권 4호.
  18. 박은정, 정명선 (2010). "여대생의 자기애적 성격과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8권 4호.
  19. 박정현 (2011). "한국소비자들의 7가지 라이프 스타일." LG경제연구원 6월 13일.
  20. 박주현 (2010). "여성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외모관리행동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박현주, 박숙현 (2011). "과시소비성향에 따른 패션과 뷰티관여도." 한국의류학회지 35권 1호.
  22. 배정숙, 류현혜 (2004). "성인여성의 메이크업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메이크업 표현과 사용정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권 2호,
  23. 서유미 (2009). "국내 TV 홈쇼핑에 런칭된 Make-up 색조 브랜드." 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미향 (2011). "샹그릴라 신드롬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의류산업학회지 13권 2호.
  25. 이윤주 (2010). "나르시시즘은 어떻게 진화했나." 한국아이닷컴 7월 28일.
  26. 이현정, 김미영 (2004). "의복 이미지와 화장이미지에 관한 기존 연구 분석." 복식 54권 7호.
  27. 정명선 (2003). "성인 여성의 신체적 매력성 자아지각이 자존심과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 53권 3호.
  28. 정윤희, 유태순 (2008). "포스트 디지털 세대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패션행동 및 화장행동과의 관계." 의류산업학회지 10권 4호.
  29. 조기여 (1997). "자기효능감, 퍼스널 스페이스, 의복근접도, 화장근접도와의 관계." 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최수경, 강경자 (2006). "신체 만족도와 화장 태도에 따른 성인 여성의 매슬로우 욕구와 화장행동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4권 3호.
  31. 한승수 (2005). "자아표현적 소비성향과 브랜드 애착간 관계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홍성태 (2005). 대한민국 여성 소비자. 세종서적.
  33. 홍지영 (2009). "IMF 이후 10년, Fashion&Beauty 소비 트렌드." 제일기획.
  34. Kaiser, S. B. (1990).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Symbolic Appearance in Context.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35. Kernberg, O. F. (1976). Boderline Conditions and Pathological Narcissism. New York: Jason Aronson.
  36. Workmam, J. E. and K. P. Johnson (1991). The Role of Cosmetics in Impression Formation. Clothing & Textiles Research Jourmal Vol. 10, No.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