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lectromagnetic Card System of Arcade Games within the Framework of Relieving Speculation

사행성 완화 관점에서 아케이드게임의 전자카드제에 관한 연구

  • 박종일 (세종대학교 대학원 디지털콘텐츠학과) ;
  • 김동현 (세종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과) ;
  • 허문행 (안양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과)
  • Received : 2011.10.10
  • Accepted : 2011.11.28
  • Published : 2011.12.20

Abstract

This study establishes the theory of minimizing the Speculation occurring and creates the promotion of the domestic Arcade Game. The study analyzed the present Game Rating of speculation standard in this field and compared the domestic instances with international ones. The study therefore proposes that the domestic game industry should adopt the future model of electromagnetic-card that will lead to the basis of the industry that is not under the system at present. The new system will also verify the useful alternative that will enhance the domestic Arcade Game.

아케이드게임 산업의 경우 사행성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행성 기준 등 과 관련된 심의제도 및 문제점 전반에 대해 분석하였다. 차제에 획기적인 사고전환을 위해, 국내 실정에 맞는 새로운 미래 모형으로 전자카드제를 도입하는 방향으로 연구하여 아케이드게임의 경품지급 허용과 네트워크화도 도모하여 음성적인 산업에서 제도권으로 들어와 산업 기틀을 다지고, 외국사례를 점검하여 사행성을 완화하는 방향에서 국내 아케이드게임물에 적용하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향후 게임업체에 유용한 대안을 제시하고, 가능한 빠른 시기에 도입되는 것이 현재 어려운 여건 하에 있는 아케이드게임 산업을 진흥시키는 데에 초석을 다지는 계기가 되리라 판단되어 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남근, 사행성게임의 판정기준과 법률적 취급에 관한 의견, 국회도서관보, 2006.
  2. 김정규‧윤재호‧이정현, 국내 비금융기관의 지급결제업무 취급현황, 한국은행, 2008.
  3. 김정오, 김창수, 사행성 게임물과 과잉규제의역설, 2008.
  4. 박종일, 이용자보호를 위한 사회적 보루 게임물 등급분류제도 변천사, 게임WE 9월호, 2010
  5. 박태순, 사행성게임의 내재적 특성에 관한 고찰,한국게임학회 논문지 제7권, 2007.
  6. 손봉숙, 사행성 게임은 도박이다, 2006
  7. 이은주, 한국 경품취급게임의 사행성기준에 관한연구, 2005.
  8. 원혜영, 사행성 게임산업의 실태와 문제, 2006.
  9. 조완묵, 우리민족의 놀이문화, 1995.
  10. 황선철, 국외 주요 전자화폐 현황 및 시사점,금융결제원, 2008.
  11. 국민권익위, 게임물의 사행성 근절을 위한 심의및 관리체계 개선, 2011.
  12. 게임위, 전국 일반게임제공업소 영업실태 확인.점검 결과보고, 2011.
  13. 게임위, 2011 게임물등급분류연감, 2011.
  14. 사감위, 사행산업의 사행성 유발요인과 통제전략,2010.
  15. 사감위, 세계 주요국의 전자카드 제도 연구,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2010.
  16. 영등위, 게임물의 사행성기준에 관한 연구2003.
  17. KOCCA, 2011 대한민국 게임백서,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