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opular Culture Paradigm Represented on the Costume of Historical Dramas in 2000's

2000년대 사극의상에 표현된 대중문화 패러다임

  • Lee, Young-Hae (Dept. of Clothing & Textil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ang, Soon-Che (Dept. of Clothing & Textil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이영혜 (가톨릭대학교 의류학과) ;
  • 강순제 (가톨릭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11.08.23
  • Accepted : 2011.11.05
  • Published : 2011.11.30

Abstract

This study puts the significance on the trends, the characteristics, the factors and background of the typical diversification of 2000's historical dramas and of their costume in conjunction with the popular culture. We analyzed the materials like the official web-sites, the articles and promotional photos based on 47 TV historical dramas and 21 historical movies. And we, approaching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culture in connection with the social, cultural, economic, emotional and technical aspects, considered the trends of the historical dramas and their connection with the paradigms of the contemporary popular culture.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2000's historical dramas & their costume, in the process to widen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rose the values of popular culture, economic values, traditional values. Second, the diversification of the costumes in historical dramas, derived from the diversification of the era Genre characters and this i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culture in 2000's such as the diversity, the nature of mixture, flexibility and the orientation of variation. Third, the new media environment and the imaging technology of 2000's raised completeness of the historical dramas and their costume. As the technical background placed the emphasis on realistic representation. Fourth, the costume of historical dramas in 2000's reflected the intention of the production in consideration with the emotional aspects of popular culture.

Keywords

References

  1. 남수경 (2005), 영화 스캔들 의상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현정, 양취경 (2005), 영화 위험한 관계와 스캔들의 의상비교 연구, 복식, 55(4), pp. 107-123.
  3. 안인희 (2004), 조선후기 춘향전과 영화 춘향전 복식의 시대성과 유행성 비교, 복식, 54(6). pp. 139-151.
  4. 장민정 (2007), 한국 사극영화 복식의 표현성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이언영, 이인성 (2007 a), 영화에 나타난 전통 복식의 현대적 표현과 미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복식, 57(7), pp. 122-136.
  6. 김영인, 전여선 (2008), 한국영화와 TV 드라마 전통복식에 나타난 색 이미지와 상징성, 복식, 58(2), pp. 34-47.
  7. 한은희, 한자영, 유송옥 (2005), 명성황후가 등장하는 TV사극에 나타난 의상에 관한 연구, 복식, 55(6), pp. 62-75.
  8. 유미진 (2007), TV사극의상의 미학적 고찰.TV사극 '주몽'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최원경, 김혜리, 조윤경 (2009), 퓨전사극드라마 '주몽'과 '태왕사신기'에 나타난 전투복 스타일링 비교, 복식, 59(5), pp. 101-114.
  10. 원혜은 (2003), 史劇드라마 衣裳制作에 관한 硏究, 명지대하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봉현숙 (2000), TV사극드라마의 의상의 고증에 대한 연구,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사학위논문.
  12. 이금희, 남궁윤선 (2008), TV사극변천에 따른 드라마 의상의 변화와 가치분석 - MBC사극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2(11), pp. 1680-1691.
  13. 김창남 (1995), 문화와 문화 실천, 서울: 한울 아카데미, p. 57.
  14. 이상길, 안지현 (2007), 다문화주의와 미디어 문화연구: 국내 연구동향의 검토와 새로운 전망의 모색, 한국언론학보 51(5), pp. 58-79.
  15. 송도영 (2007), 한국 대중문화의 혼성적 형성과정과 한류문화 담론, 담론 201, pp. 36-74.
  16. 박준규 (2006), 겨울연가와 디아스포라적 정체성, 한류와 21세기 문화비전, 경기: 청동거울, p. 142.
  17. 손병우, 양은경 (2006), 한류와 21세기 문화비전, 경기: 청동거울, pp. 286-309.
  18. 김창화 (2007), '한류'와 21세기 동북아시아 대중문화의 정체성, 공연문화연구, 14, pp. 185-205.
  19. 강현구, 김종태 (2003), 대중문화와 뉴미디어, 서울: 월인, pp. 31-35.
  20. 이언영, 이인성 (2007 b), 퓨전한복의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p. 112.
  21. 김성훈, 김창은 (2004), 영상 디자인에 나타나는 퓨전현상에 과한 연구, 디자인 과학 연구 12, p. 37
  22. 강성민 외 (2003), 21세기 문화키워드 100, 한국출판 마케팅연구소, pp. 369-371.
  23. 이동연 (2006), 한류문화자본의 형성과 문화민족주의, 한류와 21세기 문화비전, 경기: 청동거울, pp. 256-264.
  24. 강현구, 김종태 (2003), 대중문화와 뉴미디어, 서울: 월인, pp. 81-114.
  25. 자료검색일 2009. 3. 2,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729
  26. 자료 검색일 2009. 3. 2,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851
  27. 두산백과사전, 서울: 두산동아.
  28. 신응철 (2005), 대중문화 비평과 비평가로서의 지식인 - 대중문화의 이해방식과 지식인의 역할을 중심으로, 해석학연구, 15, pp. 185-216.
  29. 차태호 (2007), 문화와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매스미디어와 트렌드를 중심으로, 정보디자인학연구, 10, pp. 192-202.
  30. 이치한, 허진 (2002), 한류현상과 한.중 문화교류,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 종합 연구소, 30, pp. 499-513.
  31. 박현주 (2008), DMB의 이용과 그 사회문화적 함의에 대한 이해: 미디어 이용행태의 변화와 일상문화의 미시적 구성방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8(1), pp. 121-160.
  32. 차태호 (2008),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광고에 관한 고찰, 정보디자인학 연구, 11(6), p. 97.
  33. 김영삼 (2006), 현대패션에 나타나는 대중문화의 영향에 관한 연구, 복식, 56(7), p. 60.
  34. 원용진 (2003),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서울: 한나래, p. 35.
  35. 강현구, 김종태 (2003), 대중문화와 뉴미디어, 서울: 월인, pp. 17-19.
  36. 김수이 (2006), 한류, 21세기 한국문화의 국가적 아젠다, 한류와 21세기 문화비전, 경기: 청동거울, pp. 51-68.
  37. 윤고은 (2009. 8. 3), "드라마는 수출주력상품, 수익구조 개선해야." 자료 검색일 2009. 8. 3, http://blog.naver.com/tgohye?Redirect=Log&logNo=30066668394
  38. 이금희, 남궁윤선 (2008), TV사극변천에 따른 드라마 의상의 변화와 가치분석 - MBC사극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2(11), pp. 1680.
  39. 이금희, 남궁윤선 (2008), TV사극변천에 따른 드라마 의상의 변화와 가치분석 - MBC사극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2(11), pp. 1689.
  40. 김영명 외 (2003), 21세기 문화키워드 100, 한국출판 마케팅연구소, pp. 193-195.
  41. 김수이 (2006), 한류, 21세기 한국문화의 국가적 아젠다, 한류와 21세기 문화비전, 경기: 청동거울, pp. 23-27.
  42. 이경희, 김호정 (2007. 2. 16), "역사에서 콘텐츠" 한.중.일 삼국지, 자료검색일 2011. 8. 1,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2637750
  43. 강현구, 김종태 (2003), 대중문화와 뉴미디어, 서울: 월인, pp. 10-19.
  44. 이준목 (2008. 2. 10), "사극, 전통에서 퓨전으로의 진화", 자료검색일 2008. 2. 11, 데일리안, http://www.dailian.co.kr/news/news_view.htm?id=100274&page=&dsearch=사극&dtitle
  45. 김영인, 전여선 (2008), 한국영화와 TV 드라마 전통복식에 나타난 색 이미지와 상징성, 복식, 58(2), pp. 41-42.
  46. 이지영, 최민우 (2005. 9. 8), "최신패션 뺨치는 사극의상", 자료검색일 2008. 4. 24, http://blog.joinsmsn.com/media/folderlistslide.asp?uid=jylee71&folder=2&list_id=5302077t
  47. 이금희, 남궁윤선 (2008), TV사극변천에 따른 드라마 의상의 변화와 가치분석 - MBC사극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2(11), pp. 1686.
  48. 이언영, 이인성 (2007 a), 영화에 나타난 전통 복식의 현대적 표현과 미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복식, 57(7), pp. 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