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통합적 하구관리 지원을 위한 우리나라 하구역 연구사업 현황과 정책방향 제언

Suggestions on the Estuarine Research Projects for Integrated Estuarine Management in Korea

  • 투고 : 2011.06.10
  • 심사 : 2011.11.29
  • 발행 : 2011.11.30

초록

200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하구환경 관리는 수십 년간 지속된 개발 일변도의 하구이용에서 벗어나 통합적 관점에서 하구환경을 보전하려는 정책적 변화가 시작되었으나, 그 동안 축적된 연구와 경험의 부족으로 이를 시행할 수 있는 지원 제도가 구축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통합적 하구환경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연구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하구관리 정책지원을 위한 연구사업 현황을 크게 하구정책의 수요 충족, 인식 증진 및 지식기반 확충이라는 3가지 측면에서 해외 사례와의 갭 분석을 통해 검토하고,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에 기초한 계층화 분석을 기반으로 통합적 하구관리 지원을 위한 정책적 방향을 모색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하구역 연구사업은 하구환경 관리를 위한 통합적 관점의 정책방향 설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 단위의 인식증진 활동,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을 지원하는 직접적인 내용이 향후 연구사업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며, 하구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통합적 하구관리정책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현행 환경관리체제에 내재된 근본적인 문제와 우리나라 하구역 연구사업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의 개발이 요구된다.

Estuaries have been used competitively and exploited for the past decades in Korea. To preserve the environment of the estuaries from the integrated perspective, new policies have started to change such exploitative development in 2000s. Due to the poor knowledge-base,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support system which enables to execute such policies effectively.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limits of the estuarine management research projects in Korea, which is being perform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t was studied through Gap Analysis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advanced practices as well as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on expert survey in terms of the three aspects: how well the estuarine management research projects in Korea meets the demands of policy making and administration; raises the awareness of citizens about the merit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establishes knowledge-based support system. This project turned out to reflect adequately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building estuarine management systems. But consideration of other ministries was relatively scarce. But the contents which directly support community-based activities and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citizens' awareness were judged to be insuffici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Gap Analysis, research about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estuarine ecosystems, which can support to develop policy alternatives in detail, was relatively more necessary. Therefore, to support estuarine policy management effectively, the development of a realistic plan, which can overcome fundamental issues inherent in the Korean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nd the limitation of the estuarine management research projects in Korea itself, is needed.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해양부, 2009. 갯벌관리 정책에 관한 국제비교 연구: 와덴해 3국과 우리나라 갯벌관리를 대상으로.
  2. 류종성, 2009. 미국 워싱턴 주 퓨젯 사운드 파트너십의 생태계기반 관리, 해양국토21, 제4권, pp. 36−59.
  3. 조근태, 조용곤, 강현수, 2005.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동현출판사.
  4. 이강현, 노백호, 조현정, 이창희, 2011. 하구의 지형적.자연서식지.이용개발 특성에 따른 유형 분류,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6(2): 53−69.
  5. 이창희, 강대석, 남정호, 이병국, 유혜진, 2001. 하구.석호 육해전이수역 통합 환경관리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한국해양수산개발원.
  6. 이창희 외, 2004. 지속가능한 하구역 관리방안 I, 경제사회연구회 소관연구기관 하구역관리 협동연구시리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7. 지속가능발전위원회, 2006. 지속가능한 하구역 관리체계 구축방안 연구.
  8. 환경부, 2006. 물환경관리 기본계획-4대강 대권역 수질보전기본계획, 요약 보고서.
  9. 환경부, 2006. 물환경관리 기본계획-4대강 대권역 수질보전기본계획, 요약 보고서.
  10. Costanza, R., R. d'Arge, R. de Groot, S. Farber, M. Grasso, B. Hannon, K. Limburg, S. Naeem, R.V. O'Neill, J. Paruelo, R.G. Gaskin, P. Sutton, and M. van den Belt., 1997. The Value of the World's Ecosystem Services and Natural Capital. Nature, 387: 253−260. https://doi.org/10.1038/387253a0
  11. Fairbridge, R.W., 1968. The Encyclopedia of Geomorphology (ed.), Hutchinson and Ross.
  12. Puget Sound Partnership, 2010a. Puget sound action agenda, updated May 27th 2009, Available at http://www.psp.wa.gov/aa_action_ agenda.php.
  13. Puget Sound Partnership, 2010b. 2009 State of the Sound Report, Available at http://www.psp.wa.gov/downloads/SOS09/09-04534- 000_State_of_the_Sound-1.pdf.
  14. Townend, I., 2002. Marine science for strategic planning and management - the requirement for estuaries. Marine policy, 26(3): 209−219. https://doi.org/10.1016/S0308-597X(02)00003-9

피인용 문헌

  1. Emergy-Based Value of the Contributions of the Youngsan River Estuary Ecosystem to the Korean Economy vol.18, pp.1, 2013, https://doi.org/10.7850/jkso.2013.18.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