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비냉각형 고효율 태양광 채광시스템 및 응용에 관한 연구

Un-Cooled High Efficient Solar Lighting System and its Application

  • 이호열 (명지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광통신연구실) ;
  • 김명진 ((주)옵티베이스) ;
  • 신서용 (명지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광통신연구실)
  • 투고 : 2011.10.28
  • 발행 : 2011.11.30

초록

본 논문은 포물 반사경 방식 및 프레넬 렌즈 방식을 이용한 태양광 집광장치 및 이의 응용에 관한 것이다. 본 시스템은 대구경 반사경과 더불어 2차 광학계를 도입하여 광섬유로 입사되는 빛의 입사각을 광섬유의 개구수보다 작게 함으로써 집광효율을 극대화하였다. 또한 광섬유 단면에 입사하는 빛의 에너지 밀도를 낮게 하기 위해 광섬유 다발 직경 크기와 동일한 평행광이 광섬유로 입사되게 함으로써 반사경을 사용한 집광 시 문제가 되는 열발생 문제를 별도의 냉각장치 없이 근원적으로 차단하였다. 최근 각광받고 있는 식물공장에 주로 쓰이는 LED와 같은 인공광원 대신 본 연구에서 개발한 태양광 집광장치를 식물공장에 적용하여 인공조명과 태양광의 혼합조명장치를 통해 식물을 재배하였다. 그 결과 낮 시간대에 인공조명에 소요되는 전기에너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었다. 혼합조명장치에서는 조도센서를 활용하여 항상 일정량의 빛이 식물에 제공되도록 LED등의 밝기를 조절하였다. 하루 10시간 기준으로 100형 규모의 식물공장에 태양광 채광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한 달에 약 28,080KWh의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다.

This paper describes solar light collecting system which employs parabolic reflector and Fresnel lens and its industrial application. We have introduced second-stage optical system so that it makes optical fiber overcome its numerical aperture limitation and also it makes focused light become collimated, which results in decreased light energy density. As result of these, light collecting efficiency become maximized and the system does not require separate cooling apparatus any more. The developed solar lighting system together with artificial light source like LED has been applied to plant factory as a hybrid lighting source. This makes us save electric energy for artificial lighting during day time. The intensity of LED light in the hybrid lighting system is controlled automatically according to ambient-light-sensor installed in the system so that the light intensity for a plant always keeps the same level no matter how the sun light changes. For a plant factory whose size is 330 square meters, when solar lighting system is applied, 28,080KWh electric energy can be saved per month.2 times.

키워드

참고문헌

  1. 정유근, "태양광 채광시스템의 건축물 적용사례", 조명 전기설비, 21(3), pp.2- 112, 6월 2007
  2. 정주희, 이종수, 김정태, " 거울형 태양광 채광시스템의 공간 유형별 적용현황 분석", Journal of the KlEAE, 8(6), 12.월., 2008 .
  3. Ralf Leutz, Akio Suzuki, "Nonimaging Fresnel lenses: design and performance of solar concentrator", Springer, 2001.
  4. 채수조, "하이브리드 태양광 집광장치", 광한국 신 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pp.53-56, 6월, 2009
  5. 박현국, "광섬유형 태양광 채광/조명 기술", 세라미스트, 13(3), pp.3-92, 6월 2010
  6. Theodore G. Stem, Mickey Cornwall, Bela Kaincz, James W. Mildice, "Point focus solar concentrator using reflector strips of various geometries to form primary and secondary reflectors", US Patent, 4,784,700, 1988.
  7. 임상훈, "특수집광기를 활용한 자연채광장치 개발", 과학기술부, 2001
  8. 신승봉, 정창현, 이경구, 오치환, 유기선, 강희전, 박종선, 최창호, "유리광섬유를 이용한 자연채광 시스템과 그 특성", CICS 2009 정보 및 제어 학술대회 논문집, pp.3-469, 10월 2009.
  9. 박영칠, "집광형 태양열 집열기의 태양추적시스템", 대한설비공학회 1999년도 자동제어부문 강연회, pp.3-283, 11월,1999
  10. 이상우, 집식물공장과 LED 인공광을 이용한 식물재배", 광학과 기술, 14(3) pp.3-41, 7월, 2010
  11. http://www.sunnyfield.co.kr/. (주) 카스트친환경 농업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