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gmenting the Effect of School Resilience of the Poor Children by Children's Satisfaction i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학교적응유연성 유형에 따른 이용 아동의 세분화(동질적) 집단 특성연구 - 지역아동센터 이용 만족도가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1.06.28
  • Accepted : 2011.09.23
  • Published : 2011.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egmenting the effect on the school resilience of the poor children by children's satisfaction i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275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 3rd-6th graders,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in Cheongju City. As a result, User Satisfaction of Community Child Center gave meaningful affection to school life among school resilience.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who are satisfied with friendships and cognitive activity program gave meaningful affection of study and school grade by statistics. Also, it shows According to School Resilience(interest and attitude),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should be divided to 4groups, and providing services need to concer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hildren group.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이용 만족도가 학교적응유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학교 적응유연성 유형에 따른 이용 아동의 세분화(동질적) 집단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청주시 지역의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초등학교 3-6학년 2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지역아동센터 이용 만족도가 학교적응유연성 중학교생활에 대한 흥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친구관계와 인지활동 프로그램에 만족하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은 학업 및 성적에 대한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둘째, 학교적응유연성 유형에 따른 이용 아동의 세분화(동질적) 집단 특성을 4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지역아동센터의 집단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수립에 함의를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