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thway from Domestic Violence to Adolescents' Internet Game Addiction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Attachment -

청소년의 가정폭력노출경험이 인터넷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 부모애착의 매개효과 -

  • Received : 2011.06.01
  • Accepted : 2011.08.23
  • Published : 2011.11.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pathway through which adolescents'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could lead them to become addicted to Internet games. A total of 709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used as subjects and data from the 'domestic violence on children and adolescent' section of the 2010 National Data on Domestic Violence were used. The results of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s showed that the subjects'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did not directly affect their addiction to Internet games but that it indirectly affected their addiction through decrease in parental attachment. This can be interpreted to mean that when parents who should be a source of safety for their children become agents and recipients of violence, adolescents come to feel alienated because they cannot form any secure attachment to their parents and cannot build trust or emotional stability in their real-life parents, and they accordingly become absorbed in the virtual world of gam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then used to discuss action plans for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adolescents' internet game addiction.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정폭력노출경험이 인터넷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부모애착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 예방 및 개입에 필요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여성가족부의 "2010년 전국가정폭력 실태조사" 중 '아동 및 청소년 가정폭력 실태 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최종 분석대상은 중 고등학생 총 709명이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분석결과, 가정폭력노출경험은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부모애착의 감소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애착 대상인 부모가 폭력행동의 주 객체가 될 때, 청소년은 부모에게 정서적 유대감이나 안정감을 얻지 못하게 되고 현실세계의 부모와의 관계에서 애착 안정감이 결여됨에 따라 이를 대체하기 위하여 가상의 게임세계에 유대감이나 애정을 두어 몰입하게 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 예방 및 개입을 위한 실천방안이 논의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