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교육과학기술부 (2008).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6-75호 및 제2007-79호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4).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 교육과학기술부 (2008).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6-75호 및 제2007-79호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3).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 교육과학기술부 (2008).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에 따른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5).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신생인쇄조합.
- 교육과학기술부 (2009).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서울: (주)두산.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서울: 교학사.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서울: 금성출판사.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서울: 더텍스트.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서울: 도서출판 지학사.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서울: 동화사.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서울: 두산동아.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서울: 미래엔 컬처그룹.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서울: 비상교육.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서울: 성지출판.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서울: 웅진씽크빅.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서울: 지학사.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서울: 천재교육.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서울: 천재문화.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서울: 천재문화.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익힘책 3. 서울: 교학사.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익힘책 3. 서울: 금성출판사.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익힘책 3. 서울: 더텍스트.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익힘책 3. 서울: 도서출판 지학사.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익힘책 3. 서울: 동화사.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익힘책 3. 서울: 두산동아.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익힘책 3. 서울: 미래엔 컬처그룹.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익힘책 3. 서울: 비상교육.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익힘책 3. 서울: 성지출판.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익힘책 3. 서울: 웅진씽크빅.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익힘책 3. 서울: 지학사.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익힘책 3. 서울: 천재교육.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익힘책 3. 서울: 천재문화.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익힘책 3. 서울: 천재문화.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교사용 지도서. 서울: 두산동아.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교사용 지도서. 서울: 비상교육.
- 교육인적자원부 (2007).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 천재교육.
- 구자용 외 (2003). 통계학(개정판). 서 : 자유 아카데미.
- 김경란 (2007). 분포개념 발달 관점에서 본 초 중등 확률통계 교육과정 및 교과내용의 분석. p10,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미옥 (1989). 초․중․고 확률 및 통계영역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민연 (2010). 중학교 수학교과서 개정에 따른 9단계 통계 단원에 대한 7차 교과서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용대 외 (2009). 통계학개론(제5개정판). 서울: 도서출판 영지문화사.
- 김응환․이석훈 (2008). 통계교육. 서울: 경문사.
- 남주현 (2007). 초․중등 통계교육을 위한 통계적 방법론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송순희․이영하․김미옥 (1989). 초 중 고 수학 교과서의 확률 통계 영역의 연계성에 관한 분석(제 1보). 한국수학교육학회지.
- 윤소진 (2007). R. W. Tyler의 관점에 의한 9단계와 10단계 수학 교과내용의 연계성에 관한 고찰.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윤현진 외 (2009). 수학과 교육내용 개선 방안 연구 -'이산수학', '확률과 통계'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9-3-3.
- 이명근 (1984). 대학 교양과정 연계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영하 (2009). 통계적 개념 발달과 통계교육. 서울시 2009 중등 수학과 1, 2급 정교사 자격연수자료, 627-642.
- 이영하 (2009). 확률과 통계 영역의 지도. 광주광역시 중등학교 정교사(1급) 수학과 자격연수자료.
- 이영하 (2002). 확률과 통계. 2002년 서울시 1급 정교사 연수자료.
- 이영하․남주현 (2005). 통계적 개념 발달에 관한 인식론 적 고찰.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4(3), 457-475.
- 이외숙 외 (2007). 통계학 입문(제2판). 서울: 경문사.
- 이정희 (1992). 확률 및 통계 영역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중권 (2004). 세계 여러 나라의 수학교육과정. 서울: 경문사.
- 최지안 (2008). 중학교 1학년 통계단원에서 나타난 분포개념에 관한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Bakker, A. (2004). Design research in statistics education; On symbolizing and computer tools. Dissertation Utrecht University, the Netherlands.
- Cobb G. W., & Moore D. S. (1997). Mathematics Statistics and Teaching,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104, 801-823 https://doi.org/10.2307/2975286
- Fisher R. A. (1925). Statistical methods for research workers. Oliver and Boyd of Edinburgh in Scotland.
- Garfield J. B. (2002). The challenge of developing statistical reasoning. Jour. of Statistics Education, 10(3).
- Garfield J. B., & Ben-Zvi D. (2004). Research on statistical literacy, reasoning and thinking: Issues, challenges, and implications. In D. Ben-Zvi & J. Garfield (Eds.), The challenge of developing statistical literacy, reasoning, and thinking(pp 397-409).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 Huff D. (1954). How to lie with statistics, Norton
- Moore D. S. (1990). Uncertainty, In the L. S. Steen(Ed), On the shoulders of giants; New approaches to Numeracy 95-137,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 Wild C., & Pfannkuch M. (1999). Statistical thinking in Empirical inquiry,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67, 223-266 https://doi.org/10.1111/j.1751-5823.1999.tb00442.x
Cited by
- A Study on Didactical Analysis of Dot Plots and Box Plots for Developing Students’ Informal Statistical Inference vol.29, pp.4, 2019, https://doi.org/10.29275/jerm.2019.11.29.4.577
- 연구공동체 활동을 통한 한 경력교사의 전문성 신장 : 수학적 창의성 촉진을 위한 대푯값 과제의 변형과 실행을 중심으로 vol.58, pp.4, 2019, https://doi.org/10.7468/mathedu.2019.58.4.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