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비모수추정법에 의한 부산시 가정용수 수질개선에 대한 지불의사액 추정

Estimating Willingness to Pay for the Tap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Busan Using Nonparametric Approach

  • 표희동 (부경대학교 해양산업경영학과) ;
  • 박철형 (부경대학교 경제학부) ;
  • 추재욱 (부경대학교 대학원 자원경제학과)
  • 투고 : 2010.12.07
  • 심사 : 2011.01.31
  • 발행 : 2011.02.28

초록

이 논문은 비모수추정법에 의한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하여 부산시 가정용수 수질개선에 대한 지불의사액을 추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는 생활용수를 관리하는 정책입안자들에게 수질개선에 따른 경제적 편익의 정보를 제공하고, 부산시의 생활용수 개선사업을 수행여부나 수행규모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정보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비모수추정법은 모수추정법에서 가정되는 모형분포의 적합도, 모형설정, 이분산 등의 가정과 검정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추정이 용이하고 보수적 추정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논문은 조건부가치측정법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층화된 무작위표본추출법에 의한 개인면접방법을 통하여 665개의 표본을 선정하였다. 추정결과 가정용수 수질개선에 대한 부산시 가구당 월 평균 지불의사액은 2009년 기준 3,190원에서 3,331원이고, 중앙값은 가구당 월 1,750원으로 추정되었다. 부산시민 전체의 가정용수 수질개선에 대한 연간 경제적 편익은 평균WTP를 적용할 경우 502억원, 중앙값 WTP를 적용할 경우 275억원으로 추산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상수도 수질정책의 시행여부를 결정하는 비용편익분석이나 다양한 생활용수 수질개선정책에 있어서 편익의 유용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The paper is to estimate willingness-to-pay (WTP) for residential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Busan, using non-parametric approach. There are several significant advantages of non-parametric approach, compared to parametric methods. That is, no probability distribution assumption is necessary so that there are no needs to assume or test goodness of fit, model specification and heteroscedasticity statistically. For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contingent valuation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for 665 respondents, who were sampled by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by personal interview method. The result of mean WTP for residential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Busan was estimated to be 3,190 won to 3,331 won per month per household, while median WTP being 1,750 won. Provided that our sample is broadly representative of the Busan's population, an estimate of the annual aggregated benefit of residential water improvement for all Busan households is approximately 50.2 billion won in case of mean WTP or 27.5 billion won in case of median WTP.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승준 (1993). “수질개선의 편익추정: 조건부가치측정법과 반모수 추정법의 적용.” 자원경제학회지, 제3권, 제1호, pp. 183-198.
  2. 김도형, 김경환 (1994). “회피행동 분석을 이용한 서울시 수돗물 수질개선의 편익 측정.” 자원경제학회지, 제3권, 제2호, pp. 337-358.
  3. 김봉구, 조용성, 곽재은 (2001). “팔당호 수질개선에 대한 소비자 지불의사액 추정.” 자원환경경제연구, 제10권, 제3호, pp. 433-459.
  4. 김재홍 (2001). “울산시의 상수도 수질개선의 편익 측정.” 한국정책학회보, 제10권, 제3호, pp.245-262.
  5. 문혜선, 이희찬 (2010). “비모수 접근법에 의한 호텔객실 조망권 가치평가.” 호텔경영학연구, 제19권, 제1호, pp. 21-34.
  6. 박두호, 박윤신, 이광만 (2006). “생활용수에 대한 소비자의 지불의사 추정 및 정책적 의미.”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7호, pp. 563-574. https://doi.org/10.3741/JKWRA.2006.39.7.563
  7. 부산시 (2009). 부산시통계연보, 부산광역시 기획재정관실 창의담당관실 통계분석실.
  8. 부산시상수도사업본부 (2009). http://water.busan.go.kr
  9. 신영철 (1997). “이중 양분선택형 질문 CVM을 이용한 한강 수질개선 편익측정.” 환경경제연구지, 제6권, 제1호, pp. 171-192.
  10. 양진우 (1997). “팔당수원 수질개선의 편익평가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32권, 제4호, pp. 195-207.
  11. 유승훈 (2003). “표본선택모형을 이용한 이중경계 양분선택형 조건부 가치측정모형의 분석.” 재정연구, 제10권, 제1호, pp. 47-80.
  12. 유승훈, 신철오, 양창영 (2006). “원주시 가구의 상수도 수질개선에 대한 지불의사액 추정.” 환경정책연구, 제5권, 제3호, pp. 79-103.
  13. 유승훈, 홍필기 (2007). “무응답 자료처치모형을 이용한 서울시 수돗물 수질개선편익 추정.” 서울도시연구, 제8권, 제10호, pp. 41-54.
  14. 이주석, 유승훈, 곽승준 (2007). “낙동강 수질개선의 편익 추정-1.5경계 양분선택형 조건부가치 측정법을 이용하여.” 경제연구, 제25권, 제2호, pp. 111-129.
  15. 이충기, 이주희, 한상열(1998). “생태관광자원의레크레이션 이용가치.” 관광학연구, 제21권, 제2호, pp. 263-278.
  16. 정기호, 곽승준, 김승우 (1997). “대구시 수돗물 수질개선의 편익분석: 모수 및 준모수접근법 응용.” 자원경제학회지, 제6권, 제2호, pp. 233-258.
  17. 한국수자원공사. (2007).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 사업; 수자원 및 기술 가치 평가시스템 구축, 과학기술부.
  18. 황영순, 엄미정, 김태유 (1999). “부산시의 수돗물공급신뢰도 개선에 따른 가치측정.” 환경경제연구, 제8권, 제1호, pp. 109-126.
  19. Adamowicz, W.L., Fletcher, J.J., and Graham-Tomasi, T. (1989). “Functional form and the statistical properties of welfare measure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Vol. 71, pp. 414-421. https://doi.org/10.2307/1241599
  20. Arrow, K., Solow, R., Portney, P.R., Leamer, E.E., Radner, R., and Schuman, H. (1993). “Report of the NOAA Panel on contingent valuation.” Federal Register, Vol. 58, No. 10, pp. 4601-4614.
  21. Bishop, R., and Herberlein, T. (1979). “Measuring values of extra-market goods: are indirect measures biased?”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Vol. 6, pp. 926-930.
  22. Boman, M., Bostedt, G., and Kristrom, B.A. (1999). “Obtaining welfare Bbunds in Discrete-response valuation studies: a non-parametric approach.” Land Economics, Vol. 75, No. 2, pp. 284-294. https://doi.org/10.2307/3147011
  23. Ayer, M., Brank, B.D.S., Ewing, G.M., and Siverman, E. (1995). “An empirical distribution function for sampling with incomplete information.” Analysis of Mathematical Statistics, Vol. 126, No. 4, pp. 641-647.
  24. Cameron, T.A. (1988). “A new paradigm for valuing non-market goods using referendum data: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by censored logistic regressio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Vol. 15, pp. 355-379. https://doi.org/10.1016/0095-0696(88)90008-3
  25. Cameron, T.A., and James, M.D. (1987) “Efficient estimation methods for closed-ended contingent valuation surveys.”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 69, pp. 269-276. https://doi.org/10.2307/1927234
  26. Duffield, J., and Patterson, D. (1991). “Inference and optimal design for a welfare measure in dichotomous choice contingent valuation.” Land Economics, Vol. 67, pp. 225-239. https://doi.org/10.2307/3146413
  27. Hanemann, W.M. (1984). “Welfare evaluations in contingent valuation experiments with discrete response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Vol. 66, pp. 322-341.
  28. Hanemann, W.M., and Kanninen, B. (1999). The statistical analysis of discrete-response CV data. in Bateman, I.J., and Willis, K.G. (eds.). Valuing environmental preferences: theory and practice of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in the US, EU, and developing countrie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p. 403-491.
  29. Hanley, N.S., and Spash., C.L. (1993). Cost-benefit analysis and the environment. Cheltenham: Edward Elgar.
  30. Houtven, G.V., Powers, J., and Pattanayak, S.K. (2007). “Valuing water quality improvements in the United States using meta-analysis: Is the glass half-full or half-empty for national policy analysis?” Resource and Energy Economics, Vol. 29, pp. 206-228. https://doi.org/10.1016/j.reseneeco.2007.01.002
  31. Kristrom, B.A. (1990). “A non-parametric approach to the estimation of welfare measure in discrete response valuation studies.” Land Economics, Vol. 66, No. 2, pp. 135-139. https://doi.org/10.2307/3146363
  32. Loomis, J.B. (1987), “Balancing public trust resources of Mono Lake and Los Angeles water right: an economic approach.”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3, pp. 1449-1456. https://doi.org/10.1029/WR023i008p01449
  33. McConnell, K.E. (1990). “Models for referendum data: the structure of discrete choice models for contingent valu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Vol. 18, pp. 19-34. https://doi.org/10.1016/0095-0696(90)90049-5
  34. Mitchell, R.C., and Carson, R.T. (1989). Using surveys to value public goods: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Resources for the Future.
  35. Turnbull, B.W. (1976). “The empirical distribution function with arbitrarily grouped, censored and truncated data.”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Vol. 38, No. 3, pp. 290-295.

피인용 문헌

  1. The Study on the Economic Effects of Advanced Water Treatment by using CVM vol.48, pp.9, 2015, https://doi.org/10.3741/JKWRA.2015.48.9.711
  2. Measurement of the Greenhouse Gas Emission Benefits from the Marine Bio-Energy Development Project vol.16, pp.3, 2013, https://doi.org/10.7846/JKOSMEE.2013.16.3.217
  3. A Review on Major Factors for Microalgae Biofuel Commercialization vol.34, pp.4, 2012, https://doi.org/10.4217/OPR.2012.34.4.365